$\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병원 간호사의 폭력경험과 전문직 삶의 질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Experience of Violence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for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5, 2015년, pp.489 - 500  

배연희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이태화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김모임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violence experiences and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for hospital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12 nurses in one general and three special hospital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Sou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병원 폭력은 관계자의 관심부족, 보고 및 중재 체계의 미비, 간호사들의 보고 부족 등으로 인해 임상현장에서의 폭력 상황은 악화되고 있으며[17, 18],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에 따른 직무만족도, 직무 스트레스, 소진, 정서적 반응, 이직의도, 대처 등이 대부분으로[13, 15, 19, 20], 폭력경험에 따른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확인하기 위한 국내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폭력경험에 노출되어 있는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측정함으로써 간호사에 대한 병원 내 폭력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과 전문직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폭력경험과 전문직 삶의 질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서 간호사에 대한 병원 내 폭력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폭력경험을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의사와 동료간호사, 환자 및 보호자로부터 경험한 폭력 중 모두 동일하게 가장 빈도가 높은 폭력은 언어적 폭력(91.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폭력경험과 전문직 삶의 질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는 의사, 동료간호사, 환자 및 보호자 등 다양한 가해자로부터 언어적 폭력, 신체적 위협, 신체적 폭력을 경험하였고, 폭력을 경험할 때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과 전문직 삶의 질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병원 내 폭력예방 서비스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구체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에게 전문직 삶의 질이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부정적인 측면은 소진(Burnout)과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로 소진 (Burnout)은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함에 있어 절망감과 업무 처리에 어려움을 느끼는 감정이고,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는 극단적인 스트레스와 관련된 일로부터 얻는 트라우마로 발생한 부정적인 느낌을 말한다[9]. 간호사에게 전문직 삶의 질이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환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야 하는 간호사들이 전문직 삶의 질 저하로 인해 환자에 대한 관심이 줄고 그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의 공감만족에 대해 조사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는 공감만족이 낮다고 보고되고 있다.
전문직 삶의 질을 구성하는 부정적인 측면은 무엇인가? 긍정적인 측면인 공감만족(compassion satisfaction)은 전문직 서비스직 종사자들이 대상자에게 도움을 제공할 때 느끼는 정서적 만족감으로 동료에 대한 호의와 자신이 남을 도울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서 기인하는 즐거운 감정이다. 부정적인 측면은 소진(Burnout)과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로 소진 (Burnout)은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함에 있어 절망감과 업무 처리에 어려움을 느끼는 감정이고,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는 극단적인 스트레스와 관련된 일로부터 얻는 트라우마로 발생한 부정적인 느낌을 말한다[9]. 간호사에게 전문직 삶의 질이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환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야 하는 간호사들이 전문직 삶의 질 저하로 인해 환자에 대한 관심이 줄고 그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공감만족 이란 무엇인가? 전문직 삶의 질이란 남을 돕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직 종사자들이 느끼는 삶의 질로써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긍정적인 측면인 공감만족(compassion satisfaction)은 전문직 서비스직 종사자들이 대상자에게 도움을 제공할 때 느끼는 정서적 만족감으로 동료에 대한 호의와 자신이 남을 도울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서 기인하는 즐거운 감정이다. 부정적인 측면은 소진(Burnout)과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로 소진 (Burnout)은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함에 있어 절망감과 업무 처리에 어려움을 느끼는 감정이고,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는 극단적인 스트레스와 관련된 일로부터 얻는 트라우마로 발생한 부정적인 느낌을 말한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hin MY. Violence,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nurse' in a general hospital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1. 

  2. Korea Health & Medical Workers' Union. Survey results and analysis of medical workers' emotional labor, verbal abuse, physical violence [Internet]. Seoul: Korea Health & Medical Workers' Union,; 2010. [cited 2015 September 16]. Available from: http://bogun.nodong.org/xe/index.php?midkhmwu_5_4&listStylegallery&document_srl130883&comment_srl115619 

  3. Kim MY, Kim SH, Lim SH. A study of workplace violence by nurses. Nursing Science. 2005;17(2):33-44. 

  4. Rowe M.M, Sherlock H. Stress and verbal abuse in nursing: do burned out nurses eat their young?.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5;13(3):242-248.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4.00533.x 

  5. Wells J, Bowers L. How prevalent is violence towards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in the U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2;39(3):230-240.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2.02269.x 

  6. Sofield L, Salmond S. W, Workplace violence: A focus on verbal abuse and intent to leave the organization. Orthopaedic Nursing. 2003;22(4):274-283. http://dx.doi.org/10.1097/00006416-200307000-00008 

  7. Chapman R, Styles I, Perry L, Combs S.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kplace violence in one non-tertiary hospit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0;19(3):479-488.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9.02952.x 

  8. Hahn S, Mu?ller M, Needham I, Dassen T, Kok G, Halfens RJ. Factors associated with pat ient and visitor violence experienced by nurses in general hospitals in Switzerland: A cross -sectional surve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0;19(23):3535-3546.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0.03361.x 

  9. Stamm B. H. The Concise ProQOL Manual. 2nd ed. US: Pocatello; 2010. p. 8-34. 

  10. Kim HJ, Choi HJ. Emergenc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 ration. 2012;18(3):320-328.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3.320 

  11. Hooper C, Craig J, David R. J, Margaret A. W, Reimels E. Compassion satisfaction, burn out, and compassion fatigue among emergency nurses compared with nurses in other selected inpatient specialtie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10;36(5):420-427. http://dx.doi.org/10.1016/j.jen.2009.11.027 

  12. Collins S, Long A. Working with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trauma: Consequences for menta l health-care workers-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3;10(4):417-424. http://dx.doi.org/10.1046/j.1365-2850.2003.00620.x 

  13. Sung MH. Relationship of the experience of violence to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em 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14(2):83-92. 

  14. Yang JH, J ung HY.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response, coping, and burnout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1):103-111. 

  15. Jeon SY, Ha JY. Traumatic event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symptoms amo ng emergency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1):64-73. http://dx.doi.org/10.7475/kjan.2012.24.1.64 

  16. Normandale S, Davies J. Bullying at work: what is happening out there? Community Practitioner. 2002;75(12):474-477. 

  17. Rippon, TJ. Aggression and violence in healthcare profession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0;31(2):452-460.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0.01284.x 

  18. Scott H. Violence against nurses and NHS staff is on the increase.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03;12(7):396. http://dx.doi.org/10.12968/bjon.2003.12.7.11255 

  19. Park HJ, Kang HS, Kim KH, Kwon HJ. Exposure to workplace violence and coping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1;20(3):291-301. http://dx.doi.org/10.12934/jkpmhn.2011.20.3.291 

  20. Kang MJ, Park IS. Types of violence and coping methods experienced by general hospit 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1):92-104. 

  21. Yun YK.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violence experience, assertiveness and burn out of nurses working in psychiatric ward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0. 

  22. Park EO, Kang SJ, Lee EK, Ji EJ, Kang LH, Back CH. Violence experience of clinical nurse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1;7(2):187-202. 

  23. Crilly J, Chaboyer W, Creedy D. Violence towards emergency department nurses by patients.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2004;12(2):67-73. http://dx.doi.org/10.1016/j.aaen.2003.11.003 

  24. Kwon HJ, Kim HS, Hoe KS, Lee KS, Sung YH.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d at medical cent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2):113-124. 

  25. Kim TS, Kim JI. Violence episodes and turnover among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04;.10(4):427-436. 

  26. Whittington R. Attitudes toward patient aggression amongst mental health nurses in the' zero tolerance' era: Associations with burnout and length of experien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2;11(6):819-825. http://dx.doi.org/10.1046/j.1365-2702.2002.00659.x 

  27. Hegney D, Plank A, Parker V. Workplace violence in nursing in Queensland, Australia: A self-reporte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03;9(4):261-268. http://dx.doi.org/10.1046/j.1440-172x.2003.00431.x 

  28. Kim MJ. Kinds of workplace violence for hospital nurses and their reaction after being damaged [ma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8. 

  29. Kim S, Kim JH, Park JY, Suh EY, Yang HJ, Lee SY, et al. Oncolog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a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3):145-155. 

  30. Choi WJ, Cho SH, Cho NS, Kim GS.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violence in the e 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05;16(2):221-2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