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폭력을 경험한 중소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구조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for Nurs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Who Have Experienced Violence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7 no.1, 2020년, pp.29 - 41  

강애정 (국제대학교) ,  전미양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ost-traumatic stress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s mediated b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mong nurs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who have experienced violence and to develop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hat pr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전문직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직·간접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폭력을 경험한 중소병원 간호사들의 전문직 삶의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전략을 개발하는데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 또한 전문직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직·간접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폭력을 경험한 중소병원 간호사들의 전문직 삶의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전략을 개발하는데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소병원 간호사의 폭력 현황에 대해 논의한 후 폭력을 경험한 중소병원 간호사의전문직 삶의 질 모형의 적합도와 영향요인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폭력을 경험한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외상후 스트레스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매개로 전문직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폭력을 경험한 중소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에 대한 구조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문직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직·간접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폭력을 경험한 중소병원 간호사들의 전문직 삶의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전략을 개발하는데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폭력을 경험한 중소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매개로 전문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통해 모형의 적합도와 연구가설을 검정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폭력을 경험한 중소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매개로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구조모형을 구축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폭력을 경험한 중소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관련 변인 중, 외상 후 스트레스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로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폭력을 경험한 중소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모형을 구축하고 검정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87로 모두 정규성 검정 기준에 부합하였다(Table 2).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수가 200명 이상이며, 변수들이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모수 추정을 위해 최대우도법을 사용하였다.
  • 가설 8.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은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칠것이다.
  • 가설 11.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은 공감피로에 영향을 미칠것이다.
  • 가설 6. 외상 후 스트레스는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9. 외상 후 스트레스는 공감피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외상 후 스트레스는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외상 후 스트레스는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7.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은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0.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은 공감피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폭력은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 폭력은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폭력은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에서 폭력이 발생되기 쉬운 이유? 병원 폭력은 업무와 관련된 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언어적 폭력, 신체적 위협 및 폭력으로, 보건의료인에게 직접 표현하지 않더라도 암시적으로 표현하거나 명백하게 폭력을 행사하여 보건의료인의 안전 또는 건강을 위협하는 것을 의미한다[1]. 병원은 환자와 보호자, 의사, 간호사뿐만 아니라 건강관리 요원, 행정 직원까지 다양한 직종의 사람들이 상호 작용하는 특성 때문에 폭력이 발생되기 쉽다[2]. 특히 간호사는 환자와 보호자들이 병원을 이용하는 동안 모든 과정에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업무의 특성 때문에 폭력에 노출되기 쉬우며, 실제 병원 현장에서 발생하는 폭력의 주 피해자는 간호사로 보고되고 있다[3].
병원 폭력의 정의 병원 폭력은 업무와 관련된 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언어적 폭력, 신체적 위협 및 폭력으로, 보건의료인에게 직접 표현하지 않더라도 암시적으로 표현하거나 명백하게 폭력을 행사하여 보건의료인의 안전 또는 건강을 위협하는 것을 의미한다[1]. 병원은 환자와 보호자, 의사, 간호사뿐만 아니라 건강관리 요원, 행정 직원까지 다양한 직종의 사람들이 상호 작용하는 특성 때문에 폭력이 발생되기 쉽다[2].
병원 폭력이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는 화남, 공포, 우울, 불안, 분노, 슬픔등과 같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경험할 뿐 아니라[6] 공감만족은 낮아지고 공감피로는 높아져서 전문직 삶의 질이 저하된다[7]. 전문직 삶의 질이란 타인을 돕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직업인이 자신의 일과 관련하여 개인이 지각하는 삶의 질을 의미하며[8], 근무 상황이나 대상자의 상황이 매우 위험하거나 스트레스 수준이 높더라도 계속 일을 할 수 있게 하는 힘의 원천이 된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The ICN code of ethics for nurses [internet]. Geneva: ICN; 2006 [cited 2018 October]. Available from: http://www.icn.ch/en/ 

  2. Kang AE, Lee MS, Jeon MY. A survey on nurses' experience of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8;25(2):84-91. https://doi.org/10.5953/JMJH.2018.25.2.84 

  3. Hsieh HF, Hung YT, Wang HH, Ma SC, Chang, SC. Factor of resilience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who have experienced workplace violence in Taiwan.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16;48(1):23-30. http://doi.org/10.1111/jnu.12177 

  4. Spector PE, Zhou ZE, Che XX. Nurse exposure to physical and nonphysical violence, bullying, and sexual harassment: a quantitat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4;51(1):72-84.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3.01.010 

  5. Hae HJ, Lee SK. Effects of verbal abuse experience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s of hospital nurses at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8;29(3):665-678. http://dx.doi.org/10.7465/jkdi.2018.29.3.665 

  6. Oh SJ. Association between personal response and barriers to transforming nursing practice for violence experience among ward nurses [master's thesis]. Gimhae: Inje University; 2016. 52 p. 

  7. Yoo DB, Park HJ, Kim PJ. Impact of traumatic events and resilience on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mong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9;22(1):27-37. https://doi.org/10.7587/kjrehn.2019.27 

  8. Stamm BH. Measuring compassion satisfaction as well as fatigue: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fatigue test. In: Figley CR, editor. Treating compassion fatigue, New York: Brunner Routledge; 2002. p. 107-119. 

  9. Stamm BH. The concise ProQOL manua1 2nd ed. [internet]. Pocatello; 2009 [cited 2017 Octoer 01]. Available from: https://programs.caringsafely.org/wp-content/uploads/2018/01/ProQOL_Concise_2ndEd_12-2010.pdf 

  10. Garnefski N, Kraaij V, Spinhoven P.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01;30(8):1311-1327. 

  11. Kim MA, Park KO, You SJ, Kim MJ, Kim ES. A survey of nursing activities in small and medium-size hospitals: reasons for turnove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1):149-165. 

  12. You SJ, Chang HS, Kim MK, Choi YK, Sung YH, Kim ES, et al. Study of the utilization strategy of nursing personnel by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1):157-172. 

  13. Hong YS, Park SY. The level of patient expectation and governing factors in selecting hospital.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1;5(4):15-26. https://doi.org/10.12811/kshsm.2011.5.4.015 

  14. Lee JH. Only 15 medical institutions deployed by the safety personnel. Doctor's News. 2019 January 10; Sect. 01. 

  15. Bae B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1. Seoul: Choungram; 2014. p. 150-152. 

  16. Yun JS. A study of violence experience from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master's thesis]. Ulsan: Ulsan University; 2004. 45 p. 

  17. Foa EB, Cashman L, Jaycox L, Perry K. The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post traumatic diagnostic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1997;9(4):445-451. 

  18. Nam BR, Kwon IH, Kwon JH. Psychometric quali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 traumatic diagnosis scale (PDS-K).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0;29(1):147-167. 

  19. Ahn HN, Lee NB, Joo HS. Validation of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in a korean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3;14(3):1773-1794. https://doi.org/10.15703/kjc.14.3.201306.1773 

  20. Figley CR.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New York: Brunner-Mazel; 1995. p. 1-21. 

  21. Yi KA, Mak KK.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Korean version) [Internet]. 2009 [cited 2018 February 18]. Available from: https://proqol.org/uploads/ProQOL_5_Korean.pdf 

  22. Normandale S, Davies J. Bullying at work: what is happening out there? Community Practitioner. 2002;75(12):474-477. 

  23. Moon IO, Park SK, Jung JM. Effects of resilience on work engagement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4):525-535. https://dx.doi.org/10.11111/jkana.2013.19.4.525 

  24. Kim HJ, Choi HJ. Emergenc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3):320-328.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3.320 

  25. Ju EA, Youn JH, Lee JY, Jang JH, Park HR.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respons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workplace violence against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8;24(2):159-169. 

  26. Lee S, Gwon MG, Kim YJ.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trauma experience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nurses. The Korea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8;26(1):31-37. https://doi.org/10.17547/kjsr.2018.26.1.31 

  27. Lee SL. The effects of traumatic even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Journal of Humanities Therapy. 2015;39:93-124. 

  28. Cheng C. Assessing coping flexibility in real-life and laboratory settings: a multi metho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01;80(5):814-833. https://doi.org/10.1037//0022-3514.80.5.814 

  29. Ehring T, Quack 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in trauma survivors: the role of trauma type and PTSD symptom severity. Behavior Therapy. 2010;41(4):587-598. http://doi.org/10.1016/j.beth.2010.04.004 

  30. Cho GJ. Factors influencing o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master's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2014. 57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