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행복지수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Happiness Index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5, 2015년, pp.501 - 510  

김영숙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  한미영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resilience, stress and satisfaction in major on the happiness index of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6 to April 10, 2015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Participants were 205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전공만족도가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간호대학생의 행복한 대학생활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전공만족도가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가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전공만족도가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행복지수는 높았고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행복지수는 낮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전공만족도가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의의는 간호대학생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외적요인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해 간호대학생의 행복지수 영향요인을 조사하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역에 국한된 연구대상을 표집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스트레스, 변화가 많은 환경 속에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탄력성, 간호대학생이 전공하는 학과에 대한 만족도 등을 내적요인으로 두고 성인의 행복예측변인으로 입증된 사회적 지지를 외적요인으로 두어 이들 변인 간의 상관관계와 행복지수에 영향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하여 행복지수 증진을 위한 중재의 근거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리학에서 행복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행복은 시대와 문화를 뛰어넘어 전 세계적으로 최대 관심사로 거론되고 있다. 심리학에서는 행복을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이라는 용어로 사용하고 있으며, 개인이 삶의 전문가로서 자신의 기준에 의거하여 자신의 삶을 스스로 평가하는 것이라 정의하고 있다[1]. 즉, 행복이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이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이나 상황적 요구의 변화가 많을 때, 자아탄력성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이러한 잠재력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요인으로 자아탄력성을 들 수 있다. 자아탄력성은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이나 상황적 요구의 변화가 많을 때, 자아통제를 통하여 자신이 처한 환경을 잘 극복하여 효율적으로 적응을 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9].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를 살펴볼때, 주위사람 혹은 의미 있는 타자들의 지지가 가장 높고, 친구, 가족 지지의 순으로 나온 이유는? 이러한 결과는 Ha[22]의 연구결과에서도 주위사람 혹은 의미 있는 타자들의 지지가 가장 높고, 친구, 가족 지지의 순으로 나타난 결과와 동일하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경우 학업이나 임상실습, 동아리 활동 등을 통해 교수, 선후배, 친구등과 함께 많은 시간을 함께 지내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그러므로 이를 감안하여 대학 내에서의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특히 학생들이 자주 이용하는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선배나 교수 등의 의미 있는 타자로부터의 정서적 지지 중재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유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1984;95:542-575. 

  2. Kwon, SM. Positive psychology. Seoul: Hakjisa; 2008. 

  3. Cho HC. A study on the stress involved in preparing for employment on college student's happiness: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Studies on Korean Youth. 2013;24(1):157-184. 

  4. Ahn DJ. Korean college students, happiness failing score. Indaily. 2011 June 18; Sect. News in Weather - News. Available from: http://www.indaily.co.kr/client/news/newsView.asp?nIdx3318&nBcateF1005&nMcateM1001 

  5. Jo GY, Park HS. Predi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12(1):160-169. http://dx.doi.org/10.5762/kais.2011.12.1.160 

  6. Jeong MH, Shin MA.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6;12(2):170-177. 

  7. Son BH, Kim YM, J un IG. A study on nursing students's jobesteem, work values, and satisfaction of their major.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3):240-249. http://dx.doi.org/10.5807/kjohn.2011.20.3.240 

  8. Seligman MEP.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2002. 

  9. Klohnen EC.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70:1067-1079. http://dx.doi.org/10.1037/0022_3514.70.5.1067 

  10. Park HS. Stress, yangsaeng and subjective happiness among femal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4):471-481.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4.471 

  11. Kim GH, Kim KH. Factors related to happiness in first year wome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2;21(2):149-157. http://dx.doi.org/10.12934/jkpmhn.2012.21.2.149 

  12. Kim DC, Lee JS.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on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2):244-254.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2.244 

  13. Watson J. Nursing: human science and human care. A theory of nursing. Norwalk, Connecticut: Appleton-Century-Crofts;1985. 

  14.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30-41.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15. Kim, JH. The college adjustment of adult children of alcoholic [dissertation]. Seoul: Seoul Women University; 2007. 

  16. Oshio A, Kaneko H, Nagamine S, Nakaya M. Construct validity of the adolescent resilience scale. Psychological Reports. 2003;93(3f):1217-1222. http://dx.doi.org/10.2466/pr0.2003.93.3f.1217 

  17. Jung EO. A validation of psychological resilience scale [master's thesis]. Jeonju: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6. 

  18. Yoo JS, Chang SJ, Choi EK, Park JW. Development of a stress scale for Kore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3):410-419. http://dx.doi.org/10.4040/jkan.2008.38.3.410 

  19. Kim KH, Ha HS.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factors of undergraduate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ling. 2000;1:7-20. 

  20. Lee MR, Park BH.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job-prepar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2014;11(4):77-93. 

  21. Suh EK, Koo JS.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COMSSWB):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011;25(1):95-113. 

  22. Ha JY. Impact of self-esteem, family function and social support on stress i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7(2):259-266. 

  23. Song YS. Stressful life events and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1):71-80.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071 

  24. Kim KN. The effec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happiness index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4;8(2):61-72. http://dx.doi.org/10.12811/kshsm.2014.8.2.061 

  25. Han HC, Kang PS. Oh, PS. Influential factors affection the happiness level on the leisure participation motiv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women worker.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011;26(5);495-513. 

  26. Nam MH, Lee MR.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index of health behavior, self-esteem and major satisfaction by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10):363-374. http://dx.doi.org/10.14400/jdc.2014.12.10.363 

  27. Kim SH, Lee SH. The influence of job-seeking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on nursing students's happines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1):63-72. http://dx.doi.org/10.7475/kjan.2015.27.1.63 

  28. Ryff CD, Heidrich SM. Experience and well-being: Explorations on domains of life and how they ma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97;20:193-206. http://dx.doi.org/10.1080/016502597385289 

  29. Lee OH.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2;19(1):29-57. 

  30. Lyubomirsky S, Sheldon KM, & Schkade D. Pursuing happines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005;9(2):111-131. http://dx.doi.org/10.1037/1089-2680.9.2.1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