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DiSC 행동유형 및 조직사회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Job Stress, DiSC Behavioral Type and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among Some Nurses 원문보기

병원경영학회지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20 no.4, 2015년, pp.14 - 30  

노은경 (동강대학교 보건행정학부) ,  신승옥 (동강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dependent role of sub-dimensions of job stress, DiSC(R) type of personal behavior, and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them. Method: Study subjects were 317 registrated nurses emp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8). 본 연구는 이 개념을 국내의 보건의료조직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한 최초의 연구이다.
  •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이들 변수를 독립적으로 다룰 뿐 그들 사이의 관계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과 관련하여 구조적으로 밝히고자 시도된 연구는 없었다. 이러한 요인을 간호현장에서의 인력관리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직무만족의 가장 중요한 원인행동유형과정 중 하나인 직무스트레스와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관련 요인으로서 DiSC 조직사회자본을 간호조직에 적용하여 직무만족에 효과를 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단면적 연구로서 DiSC 행동유형과 영역별 조직사회자본은 직무만족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며 또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직무만족에 대한 간접효과 역시 존재할 것으로 보았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요인 역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만 영역별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는 상이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구축한 최종 연구의 모형은 <그림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은 무엇인가? 병원은 조직구성원의 다양성과 이질성이 현저하여 구성원들 간의 상호의존과 협조가 필요한 조직이다(Shortell, Kaluzny, 2006). 병원의 전문 인력인 간호사는 3교대로 근무 하는 직업특성, 새로운 지식의 급증, 복잡한 인간관계와 근무 조건, 간호 수혜자의 질적 간호요구 등으로 다른 전문분야에 비해 스트레스가 매우 높다(Edwards, Burnard, 2003; 윤숙희, 2004).
간호사의 스트레스가 다른 전문분야에 비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병원은 조직구성원의 다양성과 이질성이 현저하여 구성원들 간의 상호의존과 협조가 필요한 조직이다(Shortell, Kaluzny, 2006). 병원의 전문 인력인 간호사는 3교대로 근무 하는 직업특성, 새로운 지식의 급증, 복잡한 인간관계와 근무 조건, 간호 수혜자의 질적 간호요구 등으로 다른 전문분야에 비해 스트레스가 매우 높다(Edwards, Burnard, 2003; 윤숙희, 2004). 간호사가 경험하는 높은 직무스트레스는 건강을 해치고(McNeely, 2005) 사기의 저하, 타인과의 비협조적인 행동, 타성에 젖은 무감각한 간호행위 등으로 이어져 간호의 질을 낮추고(Schaefer, Moos, 1996), 이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Lu et al.
조직사회자본의 특징과 역할은 무엇인가? 이러한 개인적 특성과 아울러, 직무만족 및 스트레스 관리와 관련하여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 조직사회자본이다(박희봉 등, 2003). 일반적으로 조직사회 자본은 개인들 간의 관계와그 관계들 속에서 형성되는 자원으로서 물적, 인적자원과 같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활용할수록 효용성이 증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조직 구성원간의 협동과 신뢰, 지식의 공유 등을 형성하여 조직의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직 목표를 달성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김왕배, 이경용, 2002; 박희봉, 2009). 그리고 조직사회자본은 조직 몰입 등 직무만족과 관련성이 입증되어 온 변수들에 긍정적 영양을 미친다(김왕배, 이경용,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고종욱, 염영희(2003).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 대한간호학회지, 33(2): 265-274 

  2. 김명숙, 박영배(1999). 간호조직에서 직무특성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성격특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간호과학회지, 29(6): 1434-1444 

  3. 김상진, 한진수(2006). 호텔의 사회자본이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15(2): 41-63 

  4. 김왕배, 이경용(2002). 사회자본으로서의 신뢰와 조직몰입, 한국사회학, 36(3): 1-23 

  5. 김희경, 지현순, 류은경, 전미경(2005).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병원 간호사의 성격유형과 직무만족도, 조직몰입 및 소진비교, 임상간호연구, 11(1): 109-121 

  6. 김희승, 유소영, 김명자, 박재순(2004). 가정전문간호사의 직접간호업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0(3); 261-265 

  7. 남미희, 이세훈(2003). 일개 병원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전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5(1): 1-11 

  8. 민순덕(2006). 학교급식 영양사의 MBTI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9. 박희봉(2009). 사회자본: 불신에서 신뢰로, 갈등에서 협력으로, 서울, 조명문화사 

  10. 박희봉, 강제상, 김상묵(2003). 조직내 사회자본과 지적자본의 형성 및 조직성과 관리에 대한 효과, 한국행정연구, 12(1): 3-36 

  11. 방기현, 장효강, 정용모(2010). 병원 종사자의 DiSC 행동유형 및 스트레스 대처유형과 직무만족, 직무몰입 간의 관계, 한국병원경영학회지, 15(3): 17-32 

  12. 신유근(2003). 조직론, 서울, 다산출판사 

  13. 윤숙희(2004). 임상간호사의 성격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8(4): 595-603 

  14. 이연주(2009). 기업구성원의 DiSC 행동유형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5. 이혜진, 김숙녕, 손인순, 한상숙(1999). 간호사의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6(1): 5-17 

  16. 임지영, 박은숙, 박영주(2004). 사회복지시설 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0(2): 185-193 

  17. 장세진, 강동목, 강명근, 고상백, 김성아, 김수영, 김정연, 김정원, 김정일, 김형수, 노상철, 박재범, 손미아, 우종민, 이철갑(2004).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연구(2차년도),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8. 최순자(2004).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기북부지역 교사들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수원대학교 경영대학원 

  19. 최연택, 권경득(2009). 조직구성원의 성격유형(MBTI), 직무행태 및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행동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0. 한국교육컨설팅연구소(2007). PPS(Personal Profile System), 서울, 한국교육컨설팅연구소 

  21. 한애경, 김옥수, 원종순(2007). 임상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응방법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13(2): 125-136 

  22. 한애경, 원종순, 김옥수, 박미경, 장정미(2005). MBTI를 활용한 일 병원 간호사의 성격특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연구, 기본간호학회지, 12(3): 404-412 

  23. 한주원(2006). 개인성격과 감정노동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특성의 조절효과-, 비서학논총, 14(1): 145-167 

  24. 홍용기(2006). 산업조직심리학, 서울, 형설출판사 

  25. Bratt MM, Broome M, Kelber S, Lostocco L(2000). Influence of stress and nursing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of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9(5): 307-317 

  26. Carlson Learning Co(1998). Personal profile system facilitator's kit I,II,III, minneapolis, Carlson learning 

  27. Clarke S, Cooper CL(2004). Managing the risk of workplace stress: health and safety hazards, New York, Rouledge 

  28. Ernstmann N, Ommen O, Driller E, Kowalski C, Neumann M, Bartholomeyczik S, Pfaff H(2009). Social capital and risk management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4(4): 340-347 

  29. Edwards D, Burnard P(2003). A systematic review of stress and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s for mental health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2(2): 169-200 

  30. Herzberg F, Mausner B(1959). The Motivation to work. 2n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31. Hofmeyer A, Marck PB(2008). Building social capital in healthcare organizations: Thinking ecologically for safer care, Nursing Outlook, 56: 145-151 

  32. Kawachi I, Berkman LF(2000). Social cohesion, social capital, and health. In Kawachi I, Berkman LF, Social epidemi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3. Kawachi I, Subramanian SV, Kim D(2008). Social capital and health, New York, Springer 

  34. Kowalski C, Ommen O, Driller E, Ernstmann N, Wirtz MA, Kohler T, Pfaff H(2010). Burnout in nurses-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in hospitals and emotional exhaustio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 1654-663 

  35. Leana CR, van Buren III HI(1999).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and employment practic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4(3): 538-555 

  36. Lu H, While A, Barriball K(2005).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2(2): 211-227 

  37. McNeely E(2005). The consequences of job stress for nurses' health: time for a check-up, Nursing Outlook, 53(6): 291-299 

  38. Muthen LK, Muthen BO(2007). Mplu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with latent variables, Los Angeles, Muthen & Muthen 

  39. Pfaff H, Lutticke J, Badura B, Piekarski C, Richter P(2004). 'Weiche' Kennzahlen fur das strategische Krankenhausmanagement, Stakeholderinteressen zielgerichtet erkennen und einbeziehen, Bern, Hans Huber 

  40. Pervin LA(1968).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as a function of individual-environment fit, Psychological Bulletin, 69: 56-68 

  41. Powell GN(1998). Reinforcing and extending today's organizations: The simultaneous pursuit of person-organization fit and diversity, Organization Dynamics, 26(3): 50-61 

  42. Putnam RD(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Simon & Schuster 

  43. Rousseau DM, Sitkin SB, Burt RS, Camerer C(1998). 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 discipline view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393-404 

  44. Schaefer JA, Moos RH(1996). Effects of work stressors and work climate on long-term care staff's job morale and functioning,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1); 63-73 

  45. Shortell SM, Kaluzny AD(2006). Health care management: organizational design and behavior. 5th Ed., New York, Thomson Delmar Learning 

  46. Tang TL, Sarsfield-Baldwin J(1996).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s related to satisfaction and commitment, SAM Management Journal, 61(2): 25-31 

  47. Van der Gagg M, Webber M(2008). Measurement of individual social capital: questions, instruments, and measures, social capital and health , New York, Springer, 29-50 

  48. Watson D(2000). Mood and temperament, New York, Guilfor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