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DISC 행동유형이 직무만족과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DISC Behavioral Styles on Job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ies among Newly Hired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1, 2015년, pp.43 - 52  

문미영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대학원) ,  황선영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behavioral styles of 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and Conscientiousness (DISC) were examined and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e among newly hired nurses were explored. Methods: For this explanatory correlational research, 176 newly hired clini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DISC 행동유형에 따라 신규간호사의 DISC 행동유형을 분류하고, 신규간호사의 DISC 행동유형이 직무만족과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인 신규간호사들의 DISC 행동유형은 사교형 42.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DISC 행동유형이 직무만족과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의 DISC 행동유형이 직무만족과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규간호사의 DISC 행동유형이 직무만족과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신규간호사의 DISC 행동유형을 고려한 간호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ISC 행동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인간의 행동유형은 미국의 한 심리학 교수에 의해 4가지로 모형화되었는데, 이는 주도형, 사교형, 안정형 및 신중형(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 Conscientiousness, DISC)의 행동유형으로서 내적 성향뿐만이 아닌 관찰 가능한 인적자원의 행동패턴에 주목한다. DISC 행동유형은 인간이 환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또한 그 환경 속에서 자기 개인의 힘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자기주장이 강하고 추진력이 뛰어난 주도형(Dominance), 낙관적이고 친화력이 있는 사교형(Influence), 일관된 태도로 한결같은 안정형(Steadiness), 논리적이고 사실에 입각한 신중형(Conscientiousness)으로 분류된다고 하였다[4].
신규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실무현장에서의 예측 불가능한 응급상황과 다양하고 복잡한 간호업무수행 요구 등에서 우선순위와 의사결정에 대한 집중도가 요구되는데[15], 특히 신규간호사는 개인의 행동특성에 따라 직무만족과 간호업무수행에도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직무의 만족정도는 간호사에게 있어 환자에게 생명을 다루는 직업적인 특성으로서 전인간호를 이끌어 내며 양질의 간호를 수행하게 하여 간호업무수행에 큰 영향력을 끼치게 되고 병원조직의 원활하고 효과성 있는 운영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16]. 또한 신규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 결여로 인한 간호현장 부적응은 간호정체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혼란과 갈등은 빠른 이직을 초래할 수 있다[17]. 그러므로 신규간호사에게 간호업무수행능력은 전문직 간호사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요건으로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DISC 행동유형의 인식에서 어떤 효과를 볼 수 있는가? DISC 행동유형의 인식은 업무현장에서 개인의 행동유형과 강점을 발견하여 업무의 우선순위와 선호에 대한 정보를 알게 하고 업무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전략적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다[5]. 또한 자신과 다른 우선순위와 선호를 가진 동료를 이해하고, 이들과 협조적으로 지낼 수 있는지 방법을 배울 수 있어 동료와 효과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업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6]. 국내에서 간호사 개인의 특성과 간호조직의 영향을 연구한 결과들에 따르면, 개인적 성격특성에 따라 외적자 극에 의한 수용과 해결방법이 달라지고[7] 직무만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격특성을 고려하여 근무부서를 배치하는 것이 적합하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hortell SM, Kaluzny AD. Health care management: organization, design, and behavior. 5th ed. Clifton Park, NY: Thomson Delmar Learning; 2006. p. 159-168. 

  2. Jun YJ, Kim IA, Han KS, Lim JY. The effects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followership sty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5;11(1):23-31. 

  3. Oh WS.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zation behavior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tudies Kyonggi University. 2000;12:207-224. 

  4. Marston WM. Emotions of normal people. Minneapolis: Persona Press; 1979. p. 18-28. 

  5. GLS Worldwide. Behavioral style insight report for Jane Sample [Internet]. 2011 [cited 2014August 13]. Available from: http://www.glsworld.com/pdf/assessment-sample-reports/development-behavioral-style-insight.pdf 

  6. Bradley A. Everything DiSC workplace profile. Assessment to action [Internet]. [Minneapolis]: Inscape Pub.; 2012. [cited 2014 August 13]. Available from: http://www.resourcesunlimited.com/everythingdisc/disc-everything-disc-workplace-profile.pdf 

  7. Im SB, Kim KE. Clinical nurses' job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5;15(4): 390-399. 

  8. Lee HJ, Kim SN, Sohn IS, Han SS. A study of the degree of duty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nurses's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0;6(1):5-18. 

  9. Institute for Motivational Living. DISC insights [Internet]. 2011 [cited 2014 August 13]. Available from: http://www.discinsights.com 

  10. Bang KH, Jang HK, Jung YM. Relation between the DISC behavior, coping type and level of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employee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10;15(3):17-32. 

  11. Kim JH, Kim HJ, Yum JH. The study on DISC with direct and indirect social support of dental hygienis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4;8(2):127-137. http://dx.doi.org/10.12811/kshsm.2014.8.2.127 

  12. Lee JA, Yoo IY. Teacher-efficacy and job stress according to DISC behavioral types in health teach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 System. 2011;18(4):392-400. 

  13. Rho EK. The influence of job stress, DISC behavioral type and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among some nurses [dissertation]. Gangju: Chosun University; 2011. p. 45-46. 

  14. Kim EK, Lee SY, Eom MR. DICS behavior pattern and medication errors b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1):28-38.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1.28 

  15. Son HM, Koh MH, Kim CM, Moon JH. The clinical experiences of adaptation as a new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1;31(6):988-997. 

  16. Meretoja R, Leino-Kilpi H. Comparison of competence assessments made by nurse managers and practising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3;11(6):404-409. 

  17. Byeon YS, Lim NY, Kang KS, Sung MS, Won JS, Ko IS, et al. Clinical nursing competency for new graduate nurses - a grounded theory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3;10(1):47-56. 

  18. DISC personal profile system. Korea educational consulting institute, trans. Seoul: Korea Educational Consulting Institute; 2004. 

  19. Stamps PL, Piedmont EB, Slavitt DB, Haase AM.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Care. 1978;16(4):337-352. 

  20. Park HT.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of the nurse administrators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nursing serv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7;27(1):228-241. 

  21. Son JT, Park MH, Kim HR, Lee WS, Oh KS. Analysis of RNBSN students' clinical nursing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5):655-664. 

  22. Lee SS. Relationship of DISC behavioral type to job satisfaction among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2;12(4):793-800. 

  23. Kim JH, Kim MY. The study of DISC behavioral pattern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job stress in nurses and dental hygienis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2;6(4):73-82. 

  24. Kim SD, Kim SS, Kim IG. Differences in sport instructo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DISC behavior.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008;13(3):75-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