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성별과 생활시간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nder and Time-Use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4 no.6, 2015년, pp.741 - 753  

정하나 (울산여성가족개발원) ,  김유미 (서울대학교 느티나무어린이집)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lementary children's time-us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whether children's gender and time-use effec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articipants were 2,122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KCYPS l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성별에 따라 아동의 생활시간이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아동의 성별과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지낸 생활이 초등학교 3학년 시기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을 탐색함으로써 교육현장 및 가정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성별에 따라 아동의 생활시간이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아동의 성별과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지낸 생활이 초등학교 3학년 시기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학습관련 태도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아동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대한 고찰이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어린 아동의 학업 관련 시간 및 여가시간과 같은 생활시간이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아동의 생활시간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살펴본 후, 성별 및 생활시간이 아동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 이 문항은 보호자가 응답하였으며, 생활시간은 학교 가는 날인 등교일의 경우 몇 시간 몇 분, 학교에 가지 않는 비 등교일의 경우 몇 시간 몇 분인지 측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모두 분으로 환산하였다. 이 연구는 아동의 일상적인 생활시간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므로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아동의 생활시간은 등교일과 비 등교일을 구분하지 않고 합산하여 생활시간을 산출하였다. 아동의 생활시간은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매년 측정되었으므로 생활시간은 1학년, 2학년, 3학년별 생활시간으로 구성된다.
  • 이러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아동 및 청소년시기부터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의 조기 관리를 위해 아동의 생활시간 구성에 관심을 둘 것을 촉발하는 실증적 정보를 제공하는 의의가 있다. 특히 초등학교 방과 후 시간을 타인조절적으로 사용하는 것 보다 자기조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부모의 지도방법을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하는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성별 및 생활시간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 요인인 성취가치, 숙달 목적지향성, 행동통제, 학업시간 관리 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3학년의 성취가치, 숙달목적지향성, 행동 통제, 학업시간 관리를 예측하는 변수와 그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학습관련 태도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아동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대한 고찰이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어린 아동의 학업 관련 시간 및 여가시간과 같은 생활시간이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아동의 생활시간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살펴본 후, 성별 및 생활시간이 아동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목적을 위해 초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종단연구 1, 2, 3차 조사에 참여한 아동 2,122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 학습습관이 생애 초기 다양한 학습 경험이 누적되어서 형성된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보다 어린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습습관에 관한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뿐 아니라 중고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기본 토대를 마련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을 탐색함으로써 교육현장 및 가정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성별에 따라 아동의 생활시간이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따라서 아동이 스스로 관리를 할 수 있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아동의 생활시간은 아동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다고 예상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아동의 생활시간 전반적인 구성 요인과 자기조절학습능력 간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밝힌 연구는 거의 없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생활시간과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러한 경우 타인에 의해 아동의 학습 동기와 행동이 조절되는 타인조절학습(Other-regulated learning)이 일어나는 것이다. 반면 아동이 주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간과 자원이 많이 제공될 경우 아동의 자기조절학습능력 발달이 촉진될 것이라 가정해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에서 스스로 책을 읽는 시간이나 운동을 하는 시간은 청소년이 스스로 관리를 할 수 있는 시간이며(Kwon & Kim, 2010),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경우 독서시간은 개인이 자신의 생애를 관리하고 확대된 사회적 맥락 속에서 자리매김하며 자율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역량인 자율적 행동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Lee & Lee, 20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무엇인가?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에서 인지, 동기, 행동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것으로 학습자가 학습을 스스로 시작하고 조절하며 유지해나가는 목적지향적인 활동이다(Zimmerman, 1990). 즉,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가 되어 스스로 학습목표와 학습동기를 진단하고 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을 관리하며 학습의 모든 과정에서 의사결정을 하여 학습행동의 주인이 되는 자기학습이다(Song & Chung, 1999).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결과적으로 높은 성취를 보인다(Pintrich & De Groot, 1990).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어떠한 경향을 보이는가? 즉,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가 되어 스스로 학습목표와 학습동기를 진단하고 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을 관리하며 학습의 모든 과정에서 의사결정을 하여 학습행동의 주인이 되는 자기학습이다(Song & Chung, 1999).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결과적으로 높은 성취를 보인다(Pintrich & De Groot, 1990). 즉, 자기조절학습을 잘하는 아동은 학업성취도가 높고(Yang, 2002), 학교생활 전반에 걸쳐 적응을 잘 하게 되는 것이다(Lim, 2013).
자기주도적 학습과정은 현실적으로 어린 아동기에 발견되기 어려운 현상인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요구를 알아차리고, 학습목표를 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원을 탐색하고 전략을 만들어 시행한 후 평가하는 엄밀한 의미의 자기주도적 학습과정은 현실적으로 어린 아동기에는 발견되기 어려운 현상이다. 일련의 정신과정을 계획, 수행, 평가하기 위해서는 상위인지능력(meta cognition) 발달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학업에 대한 계획과 실행이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하는 초등학교 저학년과 같은 어린 아동의 경우 스스로 학습환경을 선택하고 학습량을 계획하고, 스스로 학습을 시작하고 학업적 성취에 대해 책임을 진다는 의미의 자기조절학습(self regulated learning)의 개념이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e, Y. (2006). The reflection on the concept of self-directed learning for adults and new possibilities of self-directed school learning.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4(2), 299-319. 

  2. Kang, G. S., & Lee, K. N. (2001). Children's Self - Control :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and Children's Reflec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2(4), 115-132. 

  3. Kim, H. Y., & Kim, K. S. (2015). A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young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competence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inquiry skill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4(1), 141-154. 

  4. Kim, J. H. (2015). A Study on the Change of Self Regulated Learning in Middle School Using Diagnostic Classification Model. The Journal of Korea Youth Research, 22(1), 185-208. 

  5. Kim, K. S. (2015). Study of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s learning behaviors with self-regulated competence/problem behaviors. Journal of Life-span Studies, 5(2), 41-56. 

  6. Kim, M. J., & Yu, Y. O. (2011).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ccording to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Type and their Gender.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1), 95-111. 

  7.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Cambridge. 

  8. Koo, S. O., Maeng, S. R., & Yoo, K. H. (2005). A study on relationship of computer games and study achievement.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8(4), 79-86. 

  9. Kwak, H. K., & Choi, B. H. (1999).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 Maternal Control Strategies and Children's Self-Control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1), 165-176. 

  10. Kwon, H. S., & Kim, K. H. (2010).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key competencies in adolescence: Focus on autonomous behaviour.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4(1), 83-102. 

  11. Lee, H., & Kwon, Y. (2012).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s Association, 50(8), 125-135. 

  12. Lee, J. M., & Lee, K. Y. (2011). A study into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key competency of acting autonomously: With a special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book-reading hours.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2(6), 1-13. 

  13. Lim, S. A. (2013). Investigating low- and high-income group differences in structural model: Effects of democratic parenting attitude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27(1), 125-142. 

  14.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3). NYPI Panel Survey User Guide. https://archive.nypi.re.kr:447/brdartcl/boardarticleList.do?brd_idBDIDX_k9Fd9oFi29nooCcJ7kX1I4&srch_ctgry_idxCTIDX00043&menu_nixqZc474Ak 

  15. Park, J. Y. (2012).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cision making abilities in young childre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3(6), 71-84. 

  16. Paris, S. G., & Newman, R. S. (1990). Development asp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87-102. 

  17. Park, S. H. (2013).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Self-Regulated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7(3), 629-646. 

  18. Park, S. J., & Shim, H. W. (2012). The effect of positive parental attitude, ego-resiliency, self-regulated learning structurally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pover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12), 113-135. 

  19. Park, Y. T., & Lee, K. N. (2009). The effects of parental variables and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e and intrinsic locus of control on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8(4), 5-19. 

  20. Park, Y., & Shin, I. (2003).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concept.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8(1), 299-318. 

  21. Pintrich, P. R. (1995). Understanding self-regulated learning.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1995(63), 3-12. 

  22.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 

  23. Shin, S. Y., & Kim, C. S. (2002). An effect of using computer game in learning strategies and the attainment degree of studies.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5(2), 79-89. 

  24. Song, I. S., & Chung, M. K. (1999). Testing of Structure Model on the Self - Regulated Learning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3(3), 71-91. 

  25. Yang, M. (2002).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sian Journal of Education, 3(2), 47-70. 

  26. Zimmerman, B. J. (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25, 3-7. 

  27.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51-5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