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하천 복원 후 모니터링과 적응관리 - 안양시 학의천을 중심으로 -
Follow-up Monitoring & Adaptive Management after Ecological Restoration for the Stream - Focused the Hakui Stream in Anyang City -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8 no.6, 2015년, pp.85 - 95  

최정권 (가천대학교 조경학과) ,  최미경 (충남대학교 국제수자원연구소) ,  최철빈 (가천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years, nationwide projects for ecological restoration are implemented with emerging issues on the stream ecosystem. In order to enhance effectiveness of the ecosystem restoration and reduce negative impact, the appraisal of effectiveness through the follow-up monitoring and the adaptive man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일반적으로 일정 구간내 구간 전체의 횡단과 종단에 대하여 진행하는 하천 자연도 평가 (Jo, 1997; Jung, 1996)와는 다르게, 횡단면을 세부적으로 구분 (좌안과 우안, 저수로로 구간을 분류하였고, 좌안과 우안을 다시 제내지, 제방사면, 고수부지 등으로 세분화)하여 소규모 구역의 평가, 관리가 가능한 종합 하천 자연도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에 따른 하천 경관 및 자연성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2007년도 Hong(2007)의 학의천 하천자연도 평가 기준을 이용하여, 하천정비 전(2001년), 최근(2015년) 자연도 평가를 실시하여 하천 변화를 비교하였다. 2001년의 자연도평가를 위해서는, 당시의 경관사진과 2001년 이전의 생태계자료(Anyang city, 2001)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생태하천복원의 효용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지속가능한 적응관리의 실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복원사업에서의 지속적인 하천 관리와 향후 하천생태복원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예측을 수반한 계획의 진행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환삼덩굴과 같은 위해식물이 넓게 활착하여 다른 정수식물의 활착을 방해하거나, 시간 경과에 따른 식생의 과도한 활착이나 하도 퇴적 등의 변수가 발생하였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결과 및 고찰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 그래서 관리계획에 의해 미리 사후관리를 하더라도 변수요인의 작용으로 어느 정도의 예상치 못한 결과가 발생하기도 하고, 시간에 경과함에 따라 완벽한 실행도 그 타당성을 잃게 되는 경우가 있다(Margoluis and Salafsky, 1998). 자연형 하천 사업 이후 복원효 과를 증진시키고 예상치 못한 결과를 보완하고자, 학의천 하천복원 사업 이후 10여 년 동안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간의 모니터링의 결과와 적응관리를 실행한 사례, 그에 대한 평가까지 간략히 서술하였다. 학의천 자연형 하천사업은 식생의 양호한 활착과 콘크리트 호안 철거로 인해, 경관 향상과 생물 서식처 확보를 통한 생물다양성 증가와 같은 계획 본연의 목표를 달성하였다.
  • 또한, 사업구간 내 콘트리트 낙차공을 제거하고 다단계 자연형 낙차공, 여울과 소, 수제, 거석, 하중도 등의 하도 내 공법을 적용하고, 하류 구간에 위치한 학운교 상류에 수질정화 및 생물 서식환경 형성을 위해 고수부지의 지반고를 낮추고 하천수를 유입하여 천변습지를 조성, 호안에는 갯버들을 식재하여 어류, 조류의 은신처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학의천 시범사업은 다양한 공법을 통해 공법별 목표 달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법을 토대로 학의천의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Table 2)(Anyang city, 200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응관리란 무엇인가? 적응관리(Adaptive Management)란 복잡하고 불확실성이 큰 환경에 대한 관리에 있어 순환적 접근방법으로(Jacobson, 2003), 복원 실행후의 모니터링과 유효성 평가로부터 습득한 현장지식을 근거로 지속적 관리․개선을 해나가는 체계적인 과정이다(Nyberg, 1999). 일본에서는 적응 관리를 순응관리라 명명하며 자연재생사업에 있어서 불확실성을 대처하기 위한 수법이라고 정의한다(The Ecological Society of Japan, 2005).
생태복원 사업에서 적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토목공사의 관행적 유지관리 방식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복원사업 이후의 불확실성 대처와 복원 효과 증진을 위해서, 이러한 순환형 적응관리와 개선이 관리방안의 일환으로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생태복원 사업에서는 일반적인 토목공사의 관행적 유지관리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토목공사의 실행과정에 따른 준공 후 유지관리는 준공시점의 물리적 상태를 고정시켜 관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하천생태계의 특성을 반영하는 데는 여러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생태복원 사업 이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응관리가 이루어지고 못하고 있고, 사업의 평가 및 적응관리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Lee et.
일본에서 적응 관리를 어떻게 정의하는가? 적응관리(Adaptive Management)란 복잡하고 불확실성이 큰 환경에 대한 관리에 있어 순환적 접근방법으로(Jacobson, 2003), 복원 실행후의 모니터링과 유효성 평가로부터 습득한 현장지식을 근거로 지속적 관리․개선을 해나가는 체계적인 과정이다(Nyberg, 1999). 일본에서는 적응 관리를 순응관리라 명명하며 자연재생사업에 있어서 불확실성을 대처하기 위한 수법이라고 정의한다(The Ecological Society of Japan, 2005). 미국 캘리포니아의 생태하천 복원사업에서는 유효성 증진을 위해 실행 후 평가(Post-Project Appraisals)를 정례화하고 있다 (Kondolf,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yang city. 2001. Anyang Stream Restoration Project. 

  2. Anyang city.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3. "Anyang stream Monitoring". 

  3. Ahn BC. 2013. The Constructability Evaluation of Ecological Restoration Construction Using Environment-friendly Design Factor - In the case of Construction of Gucheon Eco-River in Geoge Cit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nology. 

  4. Choi JK. 2013. A Study on Application & Evaluation of Riverbed Techniques for the Formation of Hyporheic Zon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6): 119-133. 

  5. Eco Innovation. 2013. Vegetation Survey Report. 

  6. Hokkaido. 2010. Cultivation manual of willow in Hokkaido http://www.hkd.mlit.go.jp/topics/toukei/chousa/h22keikaku/04_2.pdf (Japanese). 

  7. Hong KH. 2007. A Post-implementation Evaluation for Close-to-Nature Stream Improvement- Focused on the Hakui River. Kyungwon Univ. 

  8. Jacobson C. 2003. Introduction to adaptive management. (Online) URL: http://student.lincoln.ac.nz/am-links/am-intro.html. 

  9. Jo YH. 1997. A Study on Evaluation Method of Stream Naturalnes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Stream Corridor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0. Jo YH. 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valuation Method of Stream Naturalness. Korean Society of Water Quality. 

  11. KICT. 2002. River Restoration Guideline. 

  12. Kim JG. 2007. Ecological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invasive vines for biodiversity and ecological functions in riverine wetland. Seoul Univ. 

  13. Lee SO. 2011. The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Adaptive Management for the Stream Restoration: In the case of the Anyang Stream Restoration Project. Kyungwon Univ. 

  14. Lee PH. 2002.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dynamics of riparian salix in south korea. Kyungsang Univ. 

  15. Lee HY. 2015. Study of Adaptive Management for Ecosystem Restoration Projecte of On-Cheon Stream. Bukyung Univ. 

  16. Lee HW, Kim DS, Lee SH. 2012. A Case Study of Post-Implementation Evaluation for Closeto- Nature Stream Improvement Work.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17. Margoluis R. ? Salafsky N. 1998. Measures of Success: Designing, Managing, and Monitoring,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Projects. ISLAND PRESS. 

  18. Nyberg 1999. An Introductory guide to adaptive management for project leaders and participants, BC Forest Service. 

  19. The Ecological Society of Japan. 2005. Guideline for nature restoration projects, Japanese journal of conservation ecology 10(1): 63-75 (Japanese). 

  20. USA EPA. 2008. Handbook for Developing Watershed Plans to Restore and Protect Our Waters: Chapter 2 Overview of Watershed Planning Process, http://www.epa.gov/owow/nps/watershed_handbook. 

  21. Downs PW ? Kondolf GM. 2002. Post-project appraisals in adaptive management of river channel restoration. Environmental Management 29(4): 477-4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