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 아동 플레이어 능력의 차이에 따른 기능성 게임 효과의 차이
Effect of Serious Games on Disability Player Performance by Ability Levels 원문보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15 no.6, 2015년, pp.149 - 156  

권정민 (서울교육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게임을 이용하여 지적장애를 가진 청소년의 직무 기술을 훈련하면서 플레이어의 수행 능력 차이에 따른 게임의 효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총 31명의 장애 청소년이 통제집단이 있는 사전, 사후 실험에 참여하였다. 플레이어의 수행능력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상, 중, 하 중 "중"에 속하는 학생들이 가장 변화의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기능성 게임은 다양한 장애 수준 중 "중"정도의 능력을 가진 학생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고 게임을 이용한 훈련은 장애아동의 생산성 향상 훈련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the effect of serious game on the task performance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investigated. A total of 31 students participated in a pre-post-with-control-group-design study. Results indicate that among the high-, moderate-, and low- ability students, the m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게임을 이용한 훈련이 장애인의 능력에 따라 어떻게 다른 효과가 나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 훈련의 효과를 생산성에 집중하여 살펴보았는데, 이를 위해 특정 과제를 정한 후, 게임을 이용한 훈련과 전통적 1:1 훈련이 실제 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 생산성과 관련된 두 가지 요소인 스피드와 정확도에 있어서 플레이어 수행수준에 따라 어떤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게임이 장애 청소년의 직무 기술 향상에 학생의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기능성 게임은 속도와 정확도 모두에 있어서 상, 중, 하 그룹 중 “중” 그룹에 속하는 학생들에게 가장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게임을 이용한 훈련이 장애인의 능력에 따라 어떻게 다른 효과가 나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 훈련의 효과를 생산성에 집중하여 살펴보았는데, 이를 위해 특정 과제를 정한 후, 게임을 이용한 훈련과 전통적 1:1 훈련이 실제 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 생산성과 관련된 두 가지 요소인 스피드와 정확도에 있어서 플레이어 수행수준에 따라 어떤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플레이어 수준에 따른 분석은 의미가 있는데, 그 이유는 지적장애인의 경우 낮은 지적 능력으로 인해 의사소통이 안되고 몸을 뜻대로 움직이기도 어려운 최중도부터 천재적 기질을 보이는 서번트 증후군을 가진 경도까지 다양한 수준을 모두 포함한다.
  • 이에 비용을 최소화하고, 훈련 시간을 단축시키며, 물리적, 사회적으로 안전한 환경에서 직무를 훈련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게임을 이용한 직무 훈련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기능성 게임이란 게임을 이용해 특정 지식이나 기술, 태도 등을 학습하거나 훈련하는 게임으로 이러한 목적을 전면적으로 내세우는 게임의 한 카테고 리이다[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 게임이 직업 훈련으로 사용되는 분야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기능성 게임은 게임의 목적과 동시에 엔터테인먼트도 중요시 여기며, 게임적 요소들이 들어가 있다는 면에서 시뮬레이션과는 차별화된다 [9]. 기능성 게임이 직업 훈련으로 주로 사용되는 분야는 군, 의료, 경영인데, 이들은 물리적 리스크가 크거나, 현실에서 연습 하기에는 비용이 지나치게 커서, 현실에서 연습을 하기 어렵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초점을 맞춘 지적장애를 가진 청소년들에게 기능성 게임은 기술 훈련의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다[10].
기능성 게임이란 무엇인가? 이에 비용을 최소화하고, 훈련 시간을 단축시키며, 물리적, 사회적으로 안전한 환경에서 직무를 훈련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게임을 이용한 직무 훈련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기능성 게임이란 게임을 이용해 특정 지식이나 기술, 태도 등을 학습하거나 훈련하는 게임으로 이러한 목적을 전면적으로 내세우는 게임의 한 카테고 리이다[8]. 기능성 게임은 게임의 목적과 동시에 엔터테인먼트도 중요시 여기며, 게임적 요소들이 들어가 있다는 면에서 시뮬레이션과는 차별화된다 [9].
지적 장애인 노동자의 생산성을 더 낮게 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호주의 연구에 의하면 장애인 노동자와 일반인 노동자를 비교하였을 때 출석률, 병가 등의 신뢰성(reliability)과 채용에 드는 비용, 고용 보험 등의 피고용자 관리비 용에서는 장애인이 더 낫게 나왔지만 생산성을 이루는 직무 기술의 스피드와 정확도에 있어서는 일반인 피고용자보다 각각 28%, 22% 가량 뒤떨어졌 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고 보고한바 있다[3]. 특히 지적 장애인은 낮은 기억력과 학습동기, 주의 유지의 어려움 때문에 어떤 과제를 마스터 하기 위해 긴 시간과 반복적 연습을 필요로 하고 뇌의 실행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수행 과제의 속도와 정확도를 높게 유지하기가 어렵다[4]. 이에 더하여 지적 장애인은 운동적 기능도 떨어져 몸의 움직임이 느리고 둔한 경향이 있다[5]. 이러한 특성들은 지적 장애인 노동자의 생산성을 더 낮게 하는 원인이 되며, 기업체들이 이들을 고용하 기를 꺼려하는 주요 이유 중의 하나가 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epartment of Education, Employment and Workplace Relations. Employer perspectives on recruiting people with disability and the role of Disability Employment Services. Canberra: Author. Retrieved from http://www.deewr.gov.au/Employment/ResearchStatistics/ProgEval/Pages/EmployerPerspectivesonDES.aspx., 2011. 

  2. International Labour Office, "World Employment Report 2004-2005: Employment, productivity, and poverty reduction (Geneva)", 2005. 

  3. J. Graffam, K. Smith, A. Shinkfield, U. Polzin, "Employer benefits and costs of employing a person with a disability",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vol.17, pp.251-263, 2002. 

  4. N. Brewer, G.A. Smith, "Cognitive processes for monitoring and regulating speed and accuracy of responding in mental retardation: A methodology",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Vol.87, No.2, pp. 211-222, 1982. 

  5. G.L. Rarick, "Motor performance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G.L. Rarick (Ed.), Physical activity: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pp.225-256, Academic Press, 1973. 

  6. C. Hanley-Maxwell, F.R.Rusch, J. Chadsey-Rusch, A. Renzaglia. "Reported factors contributing to job terminations of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Vol. 11, No. 1, pp. 45-52, 1986. 

  7. Hempleman, B. and Longhi. D., "Employment outcomes for supported employment clients in the Divis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port 10.09a, Washington State, 1996. 

  8. Michael, D. and Chen, S., "Serious games: Games the educate, train, and inform", Course Technology, 2006. 

  9. Ritterfeld, U., Cody, M., & Vorderer, P., "Serious games: Mechanisms and effects", Routeledge, 2009. 

  10. J. Kwon, "Job training of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serious games: content analysis for gamification of occupational training textbook", Korea Computer Game Society Journal, Vol.25, No. 4, 2012. 

  11. J. Kwon, "A pilot study on the job skills training game fo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isability and Employment, Vol.21, No.1, 2011. 

  12. J Kwon, "Serious game content proposal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Korea Game Society, Vol.24, No.3, pp.65-73, 2011. 

  13. Vogt, P. "Dictionary of statistics & methodology: A nontechnical guide for the social sciences", 3rd Ed., p.40, Sage, 2005. 

  14. L. Mechling, D. Gast, & E. Fields, "Evaluation of a portable DVD player and system of least prompts to self-prompt cooking task completion by young adults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Vol. 42, No. 3, pp.179-190, 2008. 

  15. L. Mechling, & F. Ortega-Hurndon, "Computer-based video instruction to teach young adults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perform multiple step job tasks in a generalized setting", Education and Training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 42, pp.24-37,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