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 과학영재의 합리적 의사결정, 내재적 동기와 전공선택 확신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효능감의 매개효과
Gifted College Students' Rational Decision Making and Intrinsic Motivation in Relation to Their Major Conviction: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Efficacy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5 no.6, 2015년, pp.951 - 970  

양태연 (인천대학교) ,  한기순 (인천대학교) ,  박인호 (인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 과학영재의 전공선택 확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제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전공선택 확신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학창시절 영재교육 경험이 있는 대학생 292명 이었으며, 자료수집을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척도, 동기검사, 진로결정 효능감 검사, 전공선택 확신 검사이다.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Program과 AMOS Program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 과학영재의 전공선택 확신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TLI=.923, CFI=.951, RMSEA=.077로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합리적 의사결정내재적 동기에서 전공선택 확신으로의 경로는 유의하지 않아서 두 경로를 제거한 후 최종 수정모형을 제시하였다. 최종수정 모형의 적합도 TLI=.926, CFI=.951, RMSEA=.075로 적합한 모형이라 할 수 있으며 합리적 의사결정과 전공선택 확신에서 진로결정 효능감이 완전 매개하며, 또한 내재적 동기에서도 전공선택 확신으로 가는데 진로결정 효능감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과학영재들이 대학에서 전공을 선택하고 진로를 결정하는데 진로결정 효능감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밝힘으로써, 영재들의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ated variables to influence gifted college students' career conviction and to propose a structural model. For the study, 292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university affiliated gifted education program during their school days. Rational decision ma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과학영재들의 전공선택 확신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 개인의 성향 및 심리내적인 요인을 주요한 요인으로 보고, 그러한 요인들 중에서 합리적 의사결정, 내재적 동기, 진로결정 효능감을 추출하여 전공선택 확신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이 된 과학영재들이 전공을 확신하는데 진로결정 효능감을 매개로하여 합리적 의사결정과 내재적 동기와의 관계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논의 및 시사점을 정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Janis와 Mann가 말하는 의사결정유형의 정의는 무엇인가? 수많은 결정의 순간에 어떻게 하면 후회가 남지 않을지, 그리고 합리적으로 결정을 할 수 있는가는 인간의 삶에 중요한 이슈이기도 하다. 개인들이 그들의 삶에서 중요한 의사결정에 접근하고 해결하는데 활용하는 전략을 Janis와 Mann(1977)은 의사결정유형이라 하였으며, 그것은 개인들이 삶에서 중요한 의사결정에 접근하고 해결하는 데 활용하는 전략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Arroba(1978)는 특정한 의사결정에 접근하고 결정하는 방식, Harren(1979)은 의사결정과제를 지각하고 그에 반응하는 개인의 특징적 유형, 또는 개인이 의사결정을 내리는 방식이라고 정의를 내리고 있다.
전공선택이 대학생활을 만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유는? 대학 진학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전공선택은 대학생활을 만족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이유는 전공선택에 따라 졸업 후 갖는 직업은 물론 평생의 커리어와 개인적인 삶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또한 대학 교육의 이수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전공 선택은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정재호, 이은혜, 2013).
진로결정과 관련된 자기효능의 이점은 무엇인가? 진로결정 효능감은 개인의 진로 결정과 관련한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느끼는 자신감의 정도이다. 진로결정과 관련된 자기효능은 개인이 진로결정이라는 과업을 시작하고 유지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Lent & Hackette, 1987) 특정 학문분야, 전공 및 직업의 선택, 진로의사결정, 진로탐색활동, 진로태도 등과 같은 영역에서 결정적 예측력을 갖고 있다(이희영, 2003).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진로결정 효능감이 진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강승희, 2010; 김수영, 배성아, 2014; 이종찬, 2013; 조현재, 2014), 진로결정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보고하는 연구결과(김민정, 이희경, 2014; 이순희, 손은령, 2013; 정미경, 2015)를 통해 진로결정 효능감과 전공선택 확신과의 관련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강승희 (2010).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학과 만족도와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 성숙간의 관계. 수산해양교육연구, 22(2), 151-164. 

  2. 고향자 (1992).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3. 김민정, 이희경 (2014). 대학생의 강점인식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강점활용과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5), 1811-1830. 

  4. 김수영, 배성아 (2014).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12), 429-228. 

  5. 류지영 (2007). 영재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영재교육 인식의 차이. 영재교육연구, 17(3), 495-519. 

  6. 박고은, 이기학 (2007). 진로결정 자율성수준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409-422. 

  7. 배병렬 (2009).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8. 손민정 (1999). 동기와 창의성과의 관계 연구- T.Amabile 창의성 이론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신윤정 (2013). 대학생의 진로소명, 진로자기효능감 및 내적동기와 진로적응성의 관계. 상담학연구, 14(1), 209-226. 

  10. 양태연, 한기순, 박인호 (2007).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이 인식하는 영재교육의 의미. 영재교육연구, 17(3), 463-492. 

  11. 양태연, 한기순, 박인호 (2011).과학영재 대학생을 위한 진로결정 요인 척도개발 및 타탕화. 영재교육연구, 21(4), 927-943. 

  12. 이순희, 손은령 (2013). 대학생의 낙관성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4), 2525-2544. 

  13. 이신동, 이정규, 최병연 (2011). 영재학교 및 과학고와 대학과의 연계 현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10(1), 73-97. 

  14. 이종찬 (2013).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연구 성과의 비교분석. 취업진로연구, 3(1), 49-66. 

  15. 이희영 (2003) 진로성숙과 상담. 서울: 학지사. 

  16. 정미경 (2015).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간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1(3), 85-106. 

  17. 정재호, 이은혜 (2013). 대학 전공 선택의 배경과 노동시장 성과: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KRIVET Issue Brief, 31. 

  18. 조아미 (2001). 예비청소년지도자의 전공 관련 직업체험이 진로의사결정 효능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 청소년 연구, 12(1), 29-46. 

  19. 조현재 (2014). 대학생의 개인특성이 진로미결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33(4), 103-127. 

  20. 채창균 (2013). 대학생의 실제전공과 희망전공 간 불일치 실태와 과제. KRIVET Issue Brief, 32. 

  21. 한기순, 최호성 (2014). 과학영재학교에서의 AP(Advanced Placement)의 경험과 의미: 대학생이 된 영재학교 졸업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4(6), 1001-1024. 

  22. 홍세희 (2000). 구조 방적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23. Amabile, T. M., Hill, K. G., Hennessey, B. A., & Tighe, E. M. (1994).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Assess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5), 950-967. 

  24. Arroba, T. (1978). Decision-making style as a function of occupational group, decision content, and perceived importance,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1, 219-226. 

  25. Blustein, D. L. (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al processes and career relationships in career develop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8, 110-132. 

  26. Blustein, D. L. (1997). A Context-Rich Perspective of Career Exploration across the Life Role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5(3), 260-274. 

  27. Blustein, D. L., & Flum, H. (1999). A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of interests and exploration in career development. In M. L. Savickas & A. R. Spokane (Eds.), Vocational interests: Meaning, measurement, and counseling use (pp. 345-368). Palo Alto, CA: Davies-Black. 

  28.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29. Deci, E. L. (1992). The relation of interest to the motivation of behavior: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In K. A. Renninger, S. Hidi, & A. Kapp (Eds.), The Role of Interest in Learning and Development (pp. 43-67). Hillsdale, NJ: Erlbaum. 

  30. Deci, E. L., & Ryan, R. M. (1985). The general causality orientations scale: Self-determination in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9, 109-134. 

  31. Flum, H. & Blustein, D. L. (2000). Reinvigorating the study of vocational exploration: A framework for resear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6, pp. 380-404. 

  32. Hanych, J. M. (2001). The role of motivation in dependent decision making. Unpublished manuscrip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33. Harren, V. A. (1978).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ACDM). Preliminary manual. Unpublished manuscript, Southern Illinois Univ., Carbondale, IL. 

  34. Harren, V. A. (1979). A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119-133. 

  35. Harren, V. H. (1984).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L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36. Janis, I. L., & Mann, L. (1997). Decision making a psychological analysis of conflict choice and commitment. NY: The Free Press. 

  37. Jepsen. D. A. (1974). Vocational decision-making strategy types: An exploratory study.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23, pp. 17-23. 

  38. Landis, R. S., Beal, D. J., & Tesluk, P. E. (2000). A comparison of approaches to forming composite measur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3(2), 186-207. 

  39. Lent, R. W., & Hackett, G. (1987). Career self-efficacy: Empirical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0, 347-382. 

  40. Miller, C. H. (1974). Career development theory in perspective, In E. L. Herr(Ed.), Vocational guidance and human development, Boston: Houghton Mifflin. 

  41. Miller, A. L., & Tiedeman, D. V. (1972). Decision making for the 70s: The cubing of the Tiedeman paradigm and its applications in career education. Focus on Guidance, 5(1), 1-15. 

  42. Nieles, S. G., Erford, B. T., Hunt, B., & Watts, R. H. (1997). Decision-making styles and career development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8(5), 479-488. 

  43. Payne, G. C. (1982). The role of coping behavior in the career development of young adults: career adjustment, career decision making style, and job seek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44. Phillips, S. D. (1994). Choice and change: Convergence from the decision-making perspective. In M. L. Savikas & R. W. Lent(Eds.), Convergence in career development theories (pp. 155-163).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45.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3), 422.445. 

  46. Taylor, K. M., & Betz, N. E.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 63-81. 

  47. Tiedeman, D. V. (1961). Decision and vocational development: A paradigm and its implications,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40(1), 15-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