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걷기운동 프로그램에 의한 복부 내장지방의 감량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간의 관련성
The Correlations of Walking Exercise Program-Induced Abdominal Visceral Fat Loss with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11, 2016년, pp.589 - 596  

김명수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  김성희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  이신호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의 걷기운동 후 복부 지방 감량 정도의 차이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개선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는데 있었다. 걷기 운동 프로그램은 주당 3회 12주간 실시하였다. 12주간의 걷기운동 후 피험자들의 복부 내장지방 감량 정도의 차이에 따라 복부 내장지방 감량이 많은 상위 25% 집단(n=8)과 복부 내장지방 감량이 적은 하위 25%(n=8)으로 집단을 구분하였다. 12주간의 걷기 운동 프로그램 전후 복부내장지방 감량 정도에 따른 집단 간 대사증후군 위험인자(허리둘레,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공복시혈당, 혈압)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12주간의 걷기 운동 실시 후 총 복부 지방과 내장지방의 감량 정도는 허리둘레, 혈압(SBP, DBP)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피하지방의 감량 정도는 허리둘레와 혈압(SBP)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of walking exercise program-induced abdominal visceral fat loss with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middle-aged women. The walking exercise program was provided at a frequency of 3 sessions, respectively, per week for a duration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복부 내장지방 감량 정도의 차이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럼으로 본 연구는 비만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의 걷기운동 후 복부 내장지방 감량 정도의 차이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개선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비만 중년 여성 총 31명을 대상으로 12주간의 걷기운동 후 복부 내장지방 감량 정도의 차이에 따라 내장지방 감량이 많은 상위 25%(n=8) 집단과 내장지방 이 적은 하위 25%(n=8) 집단으로 구분하여 내장지방 감량 정도의 차이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 신체에 초래할 수 있는 결과는 무엇이 있는가? 비만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 사이의 불균형으로 발생되며 잉여의 에너지가 체내에 지방으로 과도하게 축적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만은 제2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1], 정상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이면서 복부 비만인 사람에게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2]. 그리고 비만 중에서도 복부 비만(abdominal obesity)이 전신 비만(obesity)에 비해 인슐린저항성, 고인슐린혈증,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및 심혈관계 질환을 포함하는 대사 증후군의 중요한 예측인자로 보고되고 있으며[1, 3, 4, 5], 특히 복부 지방에서도 피하지방(subcutaneous fat) 축적에 비해 내장 지방(visceral fat)의 과잉축적이 대사 질환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6].대사증후군이란 복부 비만(Waist circumference), 중성지방(Triglycerides), 혈압(Blood pressure), 공복혈당(Fasting blood glucose) 및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변인 중 세 가지 이상의 변인에서 이상이 발생된 상태를 의미한다.
비만이란 무엇인가? 비만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 사이의 불균형으로 발생되며 잉여의 에너지가 체내에 지방으로 과도하게 축적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만은 제2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1], 정상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이면서 복부 비만인 사람에게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2].
내장 지방(visceral fat)의 과잉축적이 위험한 이유는 무엇인가? 복부 내장 지방의 축적이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영향을 미치는 기전으로는 대사적으로 활발한 지방이 내장지방 내에 존재하고, 내장지방에서 분비되는 물질들이 간 문맥으로 직접 방출되어 대사 위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으로 추정되고 있다[5]. 내장 지방은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와 CRP(C-reactive protein)[7, 8], 아디포사이도카인(adipocytokine)[9, 10, 11], PAI-1(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type 1)[12, 13],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14]와 같은 다양한 물질들을 분비하여 대사증후군의 발생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피하지방 조직에 비해 내장지방 조직에서 혈관벽의 수축을 일으키고 말초혈관상의 저항을 증가시켜 혈압을 상승시키는 안지오텐시노젠(angiotensinogen) mRNA가 더 많이 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15], 내장 지방의 증가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한 요소인 혈압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내장 지방의 증가는 간 문맥의 혈중 유리 지방산 농도를 증가시킨다고 보고되고 있어[16], 중성지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 Larsson, K. Svardsudd, L. Welin, L. Wilhelmsen, P. Bjorntorp, G. Tibblin, "Abdominal adipose tissue distribution, obesity,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 13-year follow-up of participants in the study of men born in 1913. BMJ", Vol. 288, pp.1401-1404, 1984. 

  2. S. E. Kahn, R. L. Prigeon, R. S. Schwartz, W. Y. Fujimoto, R. H. Knopp, J. D. Brunzell, D. Jr. Porte, "Obesity, body fat distribution, insulin sensitivity and islet beta-cell function as explanations for metabolic diversity. J Nutr", Vol. 131, pp.354S-360S, 2001. 

  3. A. H. Kissebah, N. Vydelingum, R. Murray, D. J. Evans, A. J. Hartz, R. K. Kalkhoff, P. W. Adams, "Relation of body fat distribution to metabolic complications of obesity. J Clin Endocrinol Metab", Vol. 54, pp.254-260, 1982. 

  4. R. A. DeFronzo, E. Ferrannini, "Insulin resistance: a multifaceted syndrome responsible for NIDDM, obesity, hypertension, dyslipidemia,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Care", Vol. 14 pp.173-194, 1991. 

  5. P. Bjorntorp, "Portal adipose tissue as a generator of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Arteriosclerosis", Vol. 10, No. 4, pp.493-496, 1990. 

  6. S. Fujioka, Y. Matsuzawa, K. Tokunaga, S. Tarui. "Contribution of intra-abdominal fat accumulation to the impairment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human obesity. Metabolism", Vol. 36, pp.54-59, 1987. 

  7. I. Lemieux, A. Pascot, D. Prud'homme, N. Almeras, P. Bogaty, A. Nadeau, J. Bergeron, J. P. Despres, "Elevated C-reactive protein: another component of the atherothrombotic profile of abdominal obesity.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Vol. 21, No. 6, pp.961-967, 2001. 

  8. Y. Saijo, N. Kiyota, Y. Kawasaki, Y. Miyazaki, J. Kashimura, M. Fukuda, R. Kishi, "Relationship between C-reactive protein and visceral adipose tissue in healthy Japanese subjects. Diabetes Obes Metab", Vol. 6, No. 4, pp.249-258, 2004. 

  9. T. Yatagai, S. Nagasaka, A. Taniguchi, M. Fukushima, T. Nakamura, A. Kuroe, Y. Nakai, S. Ishibashi, "Hypoadiponectinemia is associated with visceral fat accumul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Japanese 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Metabolism", Vol. 52, No. 10, pp.1274-1278, 2003. 

  10. K. Azuma, F. Katsukawa, S. Oguchi, M. Murata, H. Yamazaki, A. Shimada, T. Saruta, "Correlation between serum resistin level and adiposity in obese individuals. Obes Res", Vol. 11, No. 8, pp.997-1001, 2003. 

  11. A. Fukuhara, M. Matsuda, M. Nishizawa, K. Segawa, M. Tanaka, K. Kishimoto, Y. Matsuki, M. Murakami, T. Ichisaka, H. Murakami, E. Watanabe, T. Takagi, M. Akiyoshi, T. Ohtsubo, S. Kihara, S. Yamashita, M. Makishima, T. Funahashi, S. Yamanaka, R. Hiramatsu, Y. Matsuzawa, I. Shimomura. "Visfatin: a protein secreted by visceral fat that mimics the effects of insulin." Science, Vol. 307, No. 5708, pp.426-430, 2005. 

  12. M. Cigolini, G. Targher, I. A. Bergamo Andreis, M. Tonoli, G. Agostino, G. De Sandre, "Visceral fat accumulation and its relation to plasma hemostatic factors in healthy men.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Vol. 16, No. 3, pp.368-374, 1996. 

  13. I. Mertens, L. F. Van Gaal, "Visceral fat as a determinant of fibrinolysis and hemostasis. Semin Vasc Med", Vol. 5, No. 1, pp.48-55, 2005. 

  14. S. Miyazawa-Hoshimoto, K. Takahashi, H. Bujo, N. Hashimoto, Y. Saito, "Elevated serum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s associated with visceral fat accumulation in human obese subjects. Diabetologia", Vol. 46, No. 11, pp.1483-1488, 2004. 

  15. E. Dusserre, P. Moulin, H. Vidal, "Differences in mRNA expression of the proteins secreted by the adipocytes in human subcutaneous and visceral adipose tissues. Biochim Biophys Acta", Vol. 1500, pp.88-96, 2000. 

  16. E. Ferrannini, E. J. Barrett, S. Bevilacqua, R. A. DeFronzo, "Effect of fatty acids on glucose production and utilization in man. J Clin Invest", Vol. 72, pp.1737-1747, 1983. 

  17. K. Torok, Z. Szelenyi, J. Porszasz, D. Molnar, "Low physical performance in obese adolescent boys with metabolic syndrom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Vol. 25, No. 7, pp.966-970, 2001. 

  18. J. H. Yoon, H. H. Lee, Y. H. Kim, "Analysis of Energy Expenditure during walking and running by % body fat in obese women. Journal of Aport and Leisure Studies", Vol. 18, pp.1257-1269, 2002. 

  19. E. Goldhammer, A. Tanchilevitch, I. Maor, Y. Beniamini, U. Rosenschein, M. Sagiv, "Exercise training modulates cytokines activity in coronary heart disease patients. Int J Cardiol", Vol. 100, No. 1, pp.93-99, 2005. 

  20. G. P. Nassis, K. Papantakou, K. Skenderi, M. Triandafillopoulou, S. A. Kavouras, M. Yannakoulia, G. P. Chrousos, L. S. Sidossis, "Aerobic exercise training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without changes in body weight, body fat, adiponectin, and inflammatory markers in overweight and obese girls. Metabolism", Vol. 54, No. 11, pp.1472-1479, 2005. 

  21. U. Gudat, S. Bungert, F. Kemmer, L. Heinemann, "The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s of exercise and glibenclamid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iabet Med, Vol. 15, No. 3, pp. 194-198, 1998. 

  22. M.. S. Kim, S. H. Kim, S. H. Le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for wellness convergence in the digital age - Based on physical activity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5, pp.365-374, 2015. 

  23. Y. H. Jang, S. H. Kim, Y. S. Kim, S. H. Jung, J.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exercise and Quality of Life for Korean Adul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5, pp.325-334, 2013. 

  24. J. W. Chung, S. C. Sung, "The effect of applying u-health system on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of elderl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11, pp.553-560, 2013. 

  25. J. H. Nam, M. C. Lee, C. K. Lee, "The Effect of Regular Physical Activity on Health Status and Health romotion Lifestyle Profile in Male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2, No. 9, pp.225-235, 2014. 

  26. C. K. Jung, J. H. Youm, "The Effect of 12-Weeks Combined Training and Policosanol Supplimentation Inflammatory and Maker and Leptin in Obese Women.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3, No. 4, pp.387-393, 2015. 

  27. J. Y. Lee, M. S. Kim, S. H. Lee, "Effects of Fitness Management Class for Wellness Convergence - Based on Fitness, Obese Indices, Metabolic Syndrome Factors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3, No. 5, pp.329-336, 2015. 

  28. K. Y. Yun, Y. J. Kim, "The effect of circuit weight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of middle-aged women for 12 week.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4, No. 6, pp.363-370, 2016. 

  29. J. S. Hwang, Y. P. Kim, H. K. Park, H. S. Hwang, "The association of visceral fat area with anthropometric variables and its risk for metabolic syndrome.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Vol. 26, pp.766-773,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