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업소진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에서 위험예측/이득예측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Mediating effects and Moderating effects of Anticipated Risks, Anticipated Benefit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Life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9, 2015년, pp.6009 - 6018  

정은선 (한라대학교 교직과정부) ,  하정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청소년상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업소진이 학업영역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삶의 만족에까지 연결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학업소진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제 3의 변인으로서 위험예측과 이득예측을 상정하여, 학업소진, 위험 예측, 이득 예측이 삶의 만족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영향을 미치는지 변인들 간의 경로를 규명하여 경로모형을 검증하였고, 이 과정에서 위험 예측과 이득 예측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2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8.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위험예측은 학업소진과 삶의 만족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득예측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위험예측은 학업소진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학업소진을 줄이고 전문적 도움 추구에서 위험에 대한 기대를 낮춤으로써 삶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anticipated risks and anticipated benefi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life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26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ses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PASW 18.0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관점에서 학업소진과 삶의 만족, 전문적 도움에 대한 기대와의 이론적 관련성을 전제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학업소진과 삶의 만족 간에 부적 관련성을 나타낼 것으로 가정하고 그 과정에서 전문적 도움에 대한 기대가 매개할 것으로 가정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본 논문에서는 학업소진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가 전문적 도움에 대한 기대 수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가정하여, 전문적 도움에 대한 기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학업소진이 클수록 삶의 만족감을 덜 느낄 수 있지만, 이 때 상담자에게 전문적인 상담을 받는 것에 대해 위험예측을 덜 하고 이득예측을 더 크게 한다면, 이로 인해 전문적인 상담을 받을 가능성이 더 클 것이고, 결과적으로 삶의 불만족감을 덜 느끼게 되리라는 것이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학업소진이 어떤 경로를 통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전문적 도움에 대한 기대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변인들이 잠재 변인을 잘 설명하고 있는지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측정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의 측정모형을 검증하는 방법, 즉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잠재 변인 전체의 측정 모형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 앞서 고찰한 문헌을 바탕으로 소진이 삶의 관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하고 이 과정을 매개하는 변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위험예측과 이득예측을 매개변인으로 상정함으로써 학업소진과 삶의 만족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삶의 만족을 행복의 한 측면으로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긍정적인 정서를 유발시키는 행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25-26]은 삶의 궁극적인 목적이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한 견해[27]와도 무관하지 않다.
  • 삶의 만족도가 자신의 현재 상태를 자신의 욕구나 기대수준과 비교하여 평가하는 것이라고 보는 관점[32]이나 행복에 대한 인지적 측면은 삶의 만족을 뜻한다는[33] 견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학업소진과 삶의 만족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34]에 따르면, 성취목표지향성과 함께 학업소진이 학교행복감에 상당한 설명력을 가진다고 하였다.
  • 아울러, 소진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위험 예측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 검증은 [41]이 제안한 분석방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해석을 막아줌과 동시에 매개효과를 직접적으로 검증하고자 실시한다[42].
  • 학업소진은 학업영역으로만 제한하여 대처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삶의 만족에까지 연결될 수 있음을 주목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학업소진이 어떤 경로를 통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전문적 도움에 대한 기대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위험예측과 이득예측을 매개변인으로 상정함으로써 학업소진과 삶의 만족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 모형을 Fig. 1과 같이 설정하고, 소진, 위험예측, 이득예측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경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이러한 관점에서 학업소진과 삶의 만족, 전문적 도움에 대한 기대와의 이론적 관련성을 전제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학업소진과 삶의 만족 간에 부적 관련성을 나타낼 것으로 가정하고 그 과정에서 전문적 도움에 대한 기대가 매개할 것으로 가정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본 논문에서는 학업소진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가 전문적 도움에 대한 기대 수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가정하여, 전문적 도움에 대한 기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진이란 무엇인가? 소진(burnout)은 자신의 업무를 열정적으로 수행하였으나 기대한 성과나 보람을 얻지 못하고 오히려 업무에 회의감이나 좌절감을 겪는 상태를 뜻한다[8]. 주로 사람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수행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이 보고되어 왔던[9] 초기에 비해서 최근에는 교육 영역으로도[10-12] 연구가 확장되고 있다.
소진의 세가지 하위요인인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의 저하는 무엇인가? 소진은 정서적 고갈(emotional exhaustion), 비인간화(depersonalization), 개인적 성취감의 저하(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의 세 가지 하위 요인들로 구성된다. 정서적 고갈은 업무에 대한 지나친 심리적, 정서적 요구로 인해 에너지의 손실, 좌절, 긴장감을 경험하는 상태를 말한다. 비인간화는 자신이 대하는 동료나 사람들에 대해서 냉소적인 태도를 보이고 관계로부터 분리되고 정서적으로 무감각해지는 것이다. 개인적 성취감의 저하는 업무에 대한 자신감이 결여되고 무능감이 증가함으로써 자신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갖는 상태이다[17]. 직무에서 경험하는 소진은 직무만족의 선행요인으로, 직무소진의 하위요인 모두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
학업소진의 증상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주로 사람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수행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이 보고되어 왔던[9] 초기에 비해서 최근에는 교육 영역으로도[10-12] 연구가 확장되고 있다. 스트레스의 결과(strain)가 만성화되어 나타나는 소진을 학업장면에서 경험하는 것을 학업소진(academic burnout)으로 정의하며[13-14], 장기간에 걸친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서 정서적인 고갈, 학업에 대한 냉담, 낮은 효능감이 주된 증상으로 나타난다[15-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O. Choi & W. S. Lee.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and school adjustment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9, 455-463. 2014.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4.12.9.455 

  2. Y. K. Kim.. "The Relationships between Flight Attendant's Job Burnout, Perceived Health, Quality of Life, and Commi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9(1), 45-60. 2015. 

  3. Statistics Korea. Search Word: Youth Suicide. 2014 Youth Statistics.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4. M. S. Kim, & M. S. Yoon. "Adolescent Client's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of Stigma, Expectation, Involuntary, and Psychological Reactance for Counseling".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22(2). 301-328. 2010 

  5. Frank, J. & Frank, J. Persuasion & healing: A comparative study of psychotherapy.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1. 

  6. Y. H. Shin. & H. N. Ahn. "The Relative Importance of Approach Factors and Avoidance Factors in Predicting Professional Help Seek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17(1). 177-195. 2005. 

  7. H. S. Oh. & J. S. Kim.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about Seeking Counseling among Clients in Korea: A Qualitative Stud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24(4). 781-806. 2012. 

  8. Freudenberger, H. J.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 3(1), 159-165. 1974. DOI: http://dx.doi.org/10.1111/j.1540-4560.1974.tb00706.x 

  9. Maslach, C. & Jackson, S. E.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Palo Alto, San Francisc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6. 

  10. I. G. Park, S. M. Lee, B. Y. Choi, Y. Jin. J. Y. Le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academic burnout".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4(1), 81-93. 2010. 

  11. H. J. Shin, B. Y. Kim, M. Y. Lee, H. K. Noh, K. H. Kim, S. M. Lee,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mental health and academic burnou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8(2), 133-152. 2011. DOI: http://dx.doi.org/10.16983/kjsp.2011.8.2.133 

  12. H. J. Shin, H. J. Choi, M. Y. Lee, H. K, Noh, K. H. Kim, Y. J. Jang, S. M. Lee. "The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on Academic Burnout: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Focused on Suppression Effec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9(2), 289-309. 2012. DOI: http://dx.doi.org/10.16983/kjsp.2012.9.2.289 

  13. Jennett, H. K., Harris, S. L., & Mesibov, G. B., "Commitment to Philosophy, Teacher Efficacy, and Burnout Among Teachers of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 33(6), 583-593. 2003. DOI: http://dx.doi.org/10.1023/B:JADD.0000005996.19417.57 

  14. Weisberg, J., & Sagie, A. "Teacher's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Burnout: Impact on Intention to Quit". The Journal of Psychology: Interdisciplinary and Applied, 133(3), 333-339. 1999. DOI: http://dx.doi.org/10.1080/00223989909599746 

  15. Y. B. Le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Academic Burnout Scale".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09 

  16. Schaufeli, W. B., Martez, I. M., Marques Pinto, A., Salanova, M., & Bakker, A. B.,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 464-481. 2002. DOI: http://dx.doi.org/10.1177/0022022102033005003 

  17. Yang, H., "Factors affecting student burnou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ultiple enrollment programs in Taiwan's technical-vocational college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24, 283-301. 2004. DOI: http://dx.doi.org/10.1016/j.ijedudev.2003.12.001 

  18. Vogel, D. L, & Wester, S. R. "To seek help or not to seek help: the risks of self-disclosur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0, 351-361. 2003.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50.3.351 

  19. S. J. Park. "The Mediating Roles of Anticipated Risks, Anticipated Benefits, and Self-Disclosure on the Intentions to Seek Counseling: An Attachment Avoidance Perspective".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s thesis. 2010. 

  20. Omarzu, J. "A disclosure decision model: Determining how and when individuals will self-disclosur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4, 174-185. 2000. DOI: http://dx.doi.org/10.1207/S15327957PSPR0402_05 

  21. Strong, S. R., & Claiborn, C. E. Change through interaction: Social psychological process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New York: Wiley. 

  22. Harris, S. M., Dersch, C. A., & Mital, M. "Look who's talking: Measuring self-disclosure in MFT". Contemporary Family Therapy: An International Journal, 21, 405-415. 1999. DOI: http://dx.doi.org/10.1023/A:1021968517320 

  23. Lin, Y. "Taiwanese university students' conceptions of counseling".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therapy, 31, 199-211. 2002. DOI: http://dx.doi.org/10.1023/A:1013968105377 

  24. Komiya, N., Good. G. E., & Sherrod, N. B., Emotional openness as a predictor of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seeking psychological hel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 138-143. 2000.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47.1.138 

  25. Seligman, M. E.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In C. R. Snyder & S. J. Lopez(Eds.), The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pp.3-12),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6. Snyder, C. R. & Lopez, S. J. The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7. Dalai Lama, & Cutler, H. C. The Art of Happiness. (translated S. W. Ryu). Inc. Gimm-Young Publishers. Seoul, Korea. 2002. 

  28. Andrew, F. M., & McKennell, A. K. "Measures of self-reported well-being: their affective, cognitive and other compon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8, 127-155. 1980. DOI: http://dx.doi.org/10.1007/BF00286474 

  29.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1984. DOI: http://dx.doi.org/10.1037/0033-2909.95.3.542 

  30. Suh, E., Diener, E., Oishi, S., & Triandis, H. "The shifting basis of life satisfaction judgements across cultures emotions versus nor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 482-493. 1997.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74.2.482 

  31. Campbell, A.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New York: McGraw-Hill. 1981. 

  32. G. B. Cho.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lderly life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ate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2005. 

  33. M. S. Kim, H. W. Kim, G. H. Cha, J. Y. Im, & Y. S. Han. "Exploration of the Structure of Happy Life and Development of the Happy Life Scale among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8(2). 415-442. 2003. 

  34. Y. M. Song, & S. S. Jung.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Gifted and General Students on their Academic Burnout and School Happiness".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5(1), 152-166, 2013. DOI: http://dx.doi.org/10.13000/JFMSE.2013.25.1.152 

  35. Schaufeli, W. B., Salanova, M. I., Gonzalez-Roma, V. & Bakker, A. B.,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confirmative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3, 71-92. 2002. DOI: http://dx.doi.org/10.1023/A:1015630930326 

  36. Y. B. Lee, S. M. Lee, & J. Y. Lee. "Development of Korean Academic Burnout Scale".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5(3), 59-78. 2009. 

  37. H. A. Lee. "The effect of perfectionism on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burnout: the mediating effects of coping flexibility".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of Doctor of Philosophy. 2011. 

  38. Ingersoll, R. C. "Refining dimensions of spiritual wellness: A cross-traditional approach". Counseling and Value, 42, 156-165. 1998 DOI: http://dx.doi.org/10.1002/j.2161-007X.1998.tb00421.x 

  39. M. Seo. Christopher, A. S. & H. I. Cho. "Korean Version of the Life Perspective Inventory" Psychometric Properties and Implications for High School Counseling",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15(1), 15-33. 2011. DOI: http://dx.doi.org/10.5330/PSC.n.2011-15.15 

  40. Macallum, R., Widaman, K., Preacher, K., & Sehee, H., "Sample size in factor analysis: The role of model error",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36, Issue.4, pp.611-637, 2001. DOI: http://dx.doi.org/10.1207/S15327906MBR3604_06 

  4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8-1182.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51.6.1173 

  42. MacKinnon, D. P., Lockwood, C. M., Hoffman, J. M., West, S. G., & Sheets, V. (2002).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Psychological Methods, 7(1), 83-104. DOI: http://dx.doi.org/10.1037/1082-989X.7.1.83 

  43. H. S. No, & S. K. Nam. "The Mediation Role of Social Stigma and Counseling Expectation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 Problems Perceived by Parents and their Attitude to Seeking Professional Help: Focusing on Geoje Cit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4, 6, 3769-3784. 2013. DOI: http://dx.doi.org/10.15703/kjc.14.6.201312.376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