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절초점,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소진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egulatory Focu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Burnout on Academic Achievem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1, 2013년, pp.5455 - 5464  

정은선 (한라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절초점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소진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1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8.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조절학습은 조절초점의 하위변인인 향상초점과 학업소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소진은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절초점은 자기조절학습을 기반으로 한 학업소진을 통해 실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학업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방법으로 자기조절학습을 높이고 학업소진을 줄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2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ses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PASW 18.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절초점이 어떤 경로를 통해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소진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살펴보면, 먼저, 조절초점은 자기조절학습, 학업소진 및 학업성취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가설 1이 지지되었다.
  • 본 연구는 조절초점이 어떤 경로를 통해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소진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앞서 고찰한 문헌을 바탕으로 조절초점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하고 이 과정을 매개하는 변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소진을 매개변인으로 상정함으로써 학업장면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조절초점에 따라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 소진 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와 함께 학업성취 결과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업성취의 결과로서는 학업성적을 상정하였는데 학업성적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얼마나 잘 적응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로서[37], 현실에서 성적은 청소년의 진로를 결정하는 변수이며 능력 평가의 척도로 활용된다[38].
  • 조절초점은 다소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목표를 달성하여 얻는 열망과 즐거움을 추구하거나 위험이나 손실을 줄임으로써 안도감을 느끼고 불안을 피하는 방향으로 행동한다는 점에서 목표추구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목표추구과정에서 취하는 동기시스템으로서 조절초점이, 향상을 열망하며 목표 달성 후 얻는 성취감으로 동기화되는가(향상초점), 손실을 줄이고 불안을 피하려는 방향으로 동기화되는가(예방초점)에 따라 학업장면에서 학업성취(성적)에 어떻게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셋째, 본 연구는 조절초점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소진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즉 조절초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은 조절초점의 향상초점과 학업소진과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학업소진은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치열한 경쟁과 과도한 학업요구는 학업에 대한 무관심과 무능력을 느끼게 되고 학업소진에 이름으로써[4]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조절초점과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소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각 변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세운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 이를 위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소진을 매개변인으로 상정함으로써 학업장면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 모형을 그림 1과 같이 설정하고, 조절초점, 자기조절학습, 학업소진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경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이러한 결과가 실제 학습 성과로까지 이어지지 않는다면 학습자가 겪는 학업에 대한 부담이나 스트레스는 여전할 것이다. 조절초점이 학업 및 진로 영역에서 주요한 영향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조절학습과 실제 학업성취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반면, 예방초점이 높을수록 학업소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장하려는 욕구에 기반을 두고 지금의 상황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초점을 맞출수록 학습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인지적․행동적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스스로 공부하고자 한다. 이런 과정은 학업장면에서 소진을 낮춤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학업성취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 2.3 학업소진

    학업장면에서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사용하여 대처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으로 얼마나 지속적으로 학업에 열의를 가지고 임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소진(burnout)은 자신의 업무를 열정적으로 수행하였으나 기대한 성과나 보람을 얻지 못하고 오히려 자신의 업무에 회의감이나 좌절감을 겪는 상태를 뜻하는 것으로 [23], 초기에는 사람들과 함께 작업하는 근로자, 특히 사람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수행 사람들에게서 많이 보고되어 왔으나[24], 최근 교육 영역에서도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25-2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방초점은 무엇인가? 조절초점이론에서는 인간의 동기를 개인의 기질차이가 아니라 사람의 마음속에 존재하고 있다가 주의가 집중되고 있는 사건이 있을 때 그 기준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서 결정되는 일시적인 상태로 보고[5-6], 향상초점(promotion focus)과 예방초점(prevention focus)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7]. 향상초점은 성장과 양육의 욕구가 기반이 되어 자신이 이상적으로 바라는 상태를 위하여 지금의 상황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표를 지닌 상태이며 이에 반해, 예방초점은 안전에 대한 욕구를 바탕으로 불만족스럽거나 원하지 않는 결과를 막고자 현재의 상황을 유지하고자 하는 목표를 지닌 상태를 뜻한다. 향상초점은 성취나 향상, 열망 등에 초점을 맞추어 동기화되고, 예방 초점은 실패나 위험처럼 원하지 않는 상태를 방지하고자 회피하는 전략에 맞추고자 한다는 것이다[8].
향상초점은 무엇인가? 조절초점이론에서는 인간의 동기를 개인의 기질차이가 아니라 사람의 마음속에 존재하고 있다가 주의가 집중되고 있는 사건이 있을 때 그 기준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서 결정되는 일시적인 상태로 보고[5-6], 향상초점(promotion focus)과 예방초점(prevention focus)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7]. 향상초점은 성장과 양육의 욕구가 기반이 되어 자신이 이상적으로 바라는 상태를 위하여 지금의 상황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표를 지닌 상태이며 이에 반해, 예방초점은 안전에 대한 욕구를 바탕으로 불만족스럽거나 원하지 않는 결과를 막고자 현재의 상황을 유지하고자 하는 목표를 지닌 상태를 뜻한다. 향상초점은 성취나 향상, 열망 등에 초점을 맞추어 동기화되고, 예방 초점은 실패나 위험처럼 원하지 않는 상태를 방지하고자 회피하는 전략에 맞추고자 한다는 것이다[8].
소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에 따르면 소진의 세 가지 하위 요인은 무엇인가? 소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소진을 측정 가능한 개념으로 구체화 하면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33-34]. 이들에 따르면 소진은 세 가지 하위 요인들로 구성되며 정서적 고갈(emotional exhaustion), 비인간화(depersonalization), 개인적 성취감의 저하(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정서적 고갈은 업무에 대한 지나친 심리적, 정서적 요구로 인해 에너지의 손실, 좌절, 긴장감을 경험하는 상태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Halla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Center. Student Counseling Center Annual Report in 2012. 1-46. Halla University, 2013. 

  2. Sogang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and Research Institute. Sogang Counseling Research. 3, 99-132. 2010. 

  3. M. K. Kim, K. H. Lee.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Academic Achievement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Kor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5(3), 491-504, 2003. 

  4. Y. B. Lee, S. M. Lee, J. Y. Lee. "Development of Korean Academic Burnout Scale".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5(3), 59-78, 2009. 

  5. Roses, N., Hur, T., & Pennington, G. L. "Counterfactual thinking and regulatory focus: Implications for action versus interaction and sufficiency versus necess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Dec.), 1109-1120, 1999.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77.6.1109 

  6. H. K. Jo, H. S. Oh, "The Effects of Regulatory Focus and Cognitive Expectancy on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2), 123-143. 2011. 

  7. Higgins, E. T., Promotion and prevention: Regulatory focus as a motivation a principle.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0, 1-46, 1998. DOI: http://dx.doi.org/10.1016/S0065-2601(08)60381-0 

  8. Carver, C. S., Sutton, S. K., & Scheier, M. F., Action, Emotion, and Personality: Emerging conceptual Integra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 741-751, 2000. 

  9. S. J. Chun, K. H. Lee. "The Examination of Path Model Among Neuroticism, State Anxiety,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gulatory Focus Theory",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2(4), 93-110, 2008. 

  10. H. S. Oh, J. H. Ha. The Effects of Regulatory Focus, Work Motivation, Self-Effec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Work Performance in Employees' of Public Enterprise. The Kora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2(2), 515-532, 2010. 

  11. H. S. Oh, "The Relation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Self Regulated Lear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nticipated Emotions and Volition on Goal Achievement",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of Doctor of Philosophy. 2011. 

  12. E. K. Chung, B. M. Kim, Y. W. Sohn. "The Effect of Regulatory Focus on Risk Taking: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Gain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5(2), 209-221, 2011. 

  13. Boekarts, M. Self-regulated learning: Bridging the gap between metacognitive and metamotivation theories. Educational Psychologist, 30(4), 195-200, 1995. DOI: http://dx.doi.org/10.1207/s15326985ep3004_4 

  14. Pintrich, P. R.,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in self-regulated learning. In M. Boekaerts, P. R. Pintrich & M. Zeidner(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pp. 451-502).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000. DOI: http://dx.doi.org/10.1016/B978-012109890-2/50043-3 

  15. S. H. Park, E. H. Seo. Sele-Regulated Learning of Adolescents: Its Current Statu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4(1), 135-152. 2008. 

  16. Zimmerman, B. J. Attaining self-regul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In M. Boekarts, P. R. Pintrich, &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pp.451-502).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000. DOI: http://dx.doi.org/10.1016/B978-012109890-2/50031-7 

  17. Weinstein, C. E., Husman, J., & Dierking, D. R. Self-regulation interventions with a focus on learning strategies. In M. Boekarts, P. R. Pintrich, &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pp.728-748).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000. DOI: http://dx.doi.org/10.1016/B978-012109890-2/50051-2 

  18. Zimmerman, B. J. (2002). Becoming a self-regulated learner: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 64-72. DOI: http://dx.doi.org/10.1207/s15430421tip4102_2 

  19. J. H. Kwon. "The Prediction Relationship of the Achievement Goals and Curriculum Interest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12. 

  20. B. S. Mun. "The Relationship among Epistemic Beliefs, Achievement Goal-Orient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2(4), 49-68. 2009 

  21. Y. H. So. "A structural analysi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erception of classroom goal structures, goal commitment, self-regulated learning, and Mathematics achievement outcome".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19(3), 41-56. 2010. 

  22. C. Jun, "Locus of control,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work burnout", Ye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of Master. 2012. 

  23. Freudenberger, H. J.,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 3(1), 159-165. 1974. DOI: http://dx.doi.org/10.1111/j.1540-4560.1974.tb00706.x 

  24. Maslach, C., & Jackson, S. E.,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Palo Alto, San Francisc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6. 

  25. I. G. Park, S. M. Lee, B. Y. Choi, Y. Jin. J. Y. Le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academic burnout".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4(1), 81-93. 2010. 

  26. H. J. Shin, B. Y. Kim, M. Y. Lee, H. K. Noh, K. H. Kim, S. M. Lee,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mental health and academic burnou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8(2), 133-152. 2011. 

  27. H. J. Shin, H. J. Choi, M. Y. Lee, H. K, Noh, K. H. Kim, Y. J. Jang, S. M. Lee. "The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on Academic Burnout: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Focused on Suppression Effec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9(2), 289-309. 2012. 

  28. Jennett, H. K., Harris, S. L., & Mesibov, G. B., "Commitment to Philosophy, Teacher Efficacy, and Burnout Among Teachers of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 33(6), 583-593. 2003. DOI: http://dx.doi.org/10.1023/B:JADD.0000005996.19417.57 

  29. Weisberg, J., & Sagie, A., "Teacher's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Burnout: Impact on Intention to Quit". The Journal of Psychology: Interdisciplinary and Applied, 133(3), 333-339. 1999. DOI: http://dx.doi.org/10.1080/00223989909599746 

  30. Y. B. Le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Academic Burnout Scale".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09 

  31. McCarthy, M. E., Pretty, G. M., & Catano, V.,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and student burnout.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1(3), 211-216. 1990. 

  32. Schaufeli, W. B., Martez, I. M., Marques Pinto, A., Salanova, M., & Bakker, A. B.,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 464-481. 2002. DOI: http://dx.doi.org/10.1177/0022022102033005003 

  33. Maslach, C., & Jackson, S. E.,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 99-113. 1981. DOI: http://dx.doi.org/10.1002/job.4030020205 

  34. Jacobs, S. R., & Dodd, D. K., Student burnout as a function of personality, social support, and workload.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44(3), 291-303. 2003. DOI: http://dx.doi.org/10.1353/csd.2003.0028 

  35. Yang, H., "Factors affecting student burnou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ultiple enrollment programs in Taiwan's technical-vocational college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24, 283-301. 2004. DOI: http://dx.doi.org/10.1016/j.ijedudev.2003.12.001 

  36. H. I. Jo, H. A. Lee. "The Mediating Effects of Achievement Goals on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7(12), 131-154. 2010. 

  37. H. M. Yoon, Y. O. Nam, "The Mediating Pathways of Psycho-emotioanl Factors: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s' Risk-tak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3, 128-153. 2007. 

  38. M. K. Kim, Y. H. Kim, S. R. Hwang, I. J. Chung. "The Effect of School Grades on Academic Stress in Adolesce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4(4), 165-187. 2012 

  39. J. Y. Lee. "The Mediating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Demand and Academic Burnou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1(4), 1551-1565. 2010. 

  40. H. I. Jo., "The Relationship and Latent Mean Analysis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24(4), 853-873. 2010. 

  41. Y. S. Ryu. "Self-concept, learning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analysi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 Daegu Hyosung Catholic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of Doctor of Philosophy. 1995. 

  42. Higgins, E. T., & Friedman, R. S., Achievement orientation from subjective histories of success: promotion pride versus prevention pride.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1, 3-23. 2001 DOI: http://dx.doi.org/10.1002/ejsp.27 

  43. J. H. Ho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ory Focus and Goal Seeking Behavior in Sports Situ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 of Philosophy. 2001. 

  44. Duncan, T. C., & McKeachie, W. J., The Making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MLSQ), Educational Psychologist, 40(2), 117-128. 2005. DOI: http://dx.doi.org/10.1207/s15326985ep4002_6 

  45. Schaufeli, W. B., Salanova, M. I., Gonzalez-Roma, V. & Bakker, A. B.,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confirmative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3, 71-92. 2002. DOI: http://dx.doi.org/10.1023/A:1015630930326 

  46. H. A. Lee. "The effect of perfectionism on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burnout: the mediating effects of coping flexibility".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of Doctor of Philosophy. 2011. 

  47. Schaufeli, W. B., & Bakker, A. B.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 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5, 293-315. 2004. DOI: http://dx.doi.org/10.1002/job.248 

  48. J. Anderson, & D.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No.3, pp.411-423, 1998. DOI: http://dx.doi.org/10.1037/0033-2909.103.3.411 

  49. S. L. Lee, S. H. Cho, "Counselor's Wisdom, Counseling Processes, and Outcomes", The Kor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2(1) pp.71-94, 2010. 

  50. H. S. Lee, J. H. Li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Amos 6.0. Bobmunsa. 2007. DOI: http://dx.doi.org/10.1002/9780470024737 

  51. F. F. Chen, "Sensitivity of goodness of fit indices to lack of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14, Issue.3, pp.464-504, 2007. DOI: http://dx.doi.org/10.1080/10705510701301834 

  52. G. W. Cheung, & R. B. Rensvold, "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9, No.2, pp.233-255, 2002. DOI: http://dx.doi.org/10.1207/S15328007SEM0902_5 

  53. L. T. Hu, & P. Bentler, Evaluating model fit.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pp.76-99). London, UK: Sage, 1995 

  54. R. Macallum, K. Widaman, K. Preacher, & H. Sehee, "Sample size in factor analysis: The role of model error",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36, Issue.4, pp.611-637, 2001. DOI: http://dx.doi.org/10.1207/S15327906MBR3604_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