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 종사자의 손 위생 수행 분석
Analysis of Hand Hygiene Practices of Health Care Personnel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9, 2015년, pp.6160 - 6168  

오향순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료기관 종사자의 손 위생 수행은 의료관련 감염의 전파를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는 직종별 손 위생 수행 측정과 분석을 위해 세계보건기구(WHO)의 손 위생 수행 평가도구를 이용한 직접관찰방법으로 2010년 10월 2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수행되었으며, SPSS 21.0으로 기술분석, 교차분석, 다중로지스틱분석을 하였다. 총 8,644 건의 손 위생 상황이 관찰되었고, 손 위생 수행률은 94.1%였으며 의사가 가장 낮았다(83.3%; OR:0.209, 95%CI:0.174-0.252). 직종별 수행률(p<0.001), WHO에서 권고하는 5개 상황(WHO's 5Moments)별 수행률은(p<0.001)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간호사(p=0.003)와 의료기사직(p<0.001)이었다. 본 연구결과 손 위생 수행률 향상을 위한 직종별 특성화된 손 위생 전략과 WHO's 5Moments에 따라 차별화된 전략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nd hygiene(HH)of the health care personnels(HCPs)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and analysis the status of the HH compliance of HCPs. Data were collected by the direct observation methods of the W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한 개 의료기관의 전 직종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손 위생 수행에 대한 전수 조사를 시행한 연구로써, 연구대상 직종 전수 대비 연구에 포함된 연구대상자들의 비율도 의사직과 기타직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서 직종별 대표성을 내포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WHO에서 권고하는 손 위생 수행 기준 시점인 5 Moments를 기준으로 손 위생 수행률을 연구한 최초논문으로 국내 의료기관 종사자의 손 위생 수행률의 국제비교가 가능한 연구결과이다. 또한 WHO 5 Moments에 해당하는 시점의 행위의 빈도도 8,644건으로 많아서 의료종사자들이 자주 수행하는 손 위생이 요구되는 행위들을 충분히 반영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연구대상 의료기관에서 의료기관 인증평가 기간 중 전부서의 다양한 직종을 대상으로 실시된 손 위생 수행 감시 프로그램을 통하여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종별 손 위생 수행 실태를 파악하고, WHO 에서 권고하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하는 시점인 5 Moments를 기준으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직종별 업무행위 중 손 위생 수행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손 위생 수행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고,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종별 손 위생 수행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규정에 따라 올바른 손 위생을 수행한다(상, 중, 하). 3. 손 위생 수행을 돕기 위한 자원을 지원한다(상, 중, 하).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손 위생의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손 위생은 물을 사용하는 손 씻기(Hand Washing) 방법과, 물을 사용하지 않는 손소독제(Antiseptics)를 사용하는 손 마찰(Hand Rubbing) 방법이 있다. 손에 혈액이나 체액 등 눈에 보이는 유기물이 묻은 경우, 실험실 등에서 아포(Spore)균을 접촉 했을 때에는 반드시 물을 사용하는 손 씻기를 해야 한다.
손 위생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손 위생(Hand hygiene)은 감염성균주의 전파 위험을 차단하여 의료기관 종사자와 환자의 감염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감염관리의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요소로 알려져 있다[1-2]. 최근 급성호흡기증후군, 신종인플루엔자, 에볼라, 메르스에 이르기 까지 각종 신종전염병이 유행하게 됨에 따라 감염 전파 예방을 위한 손 위생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와 미국의 질병예방관리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등 권위 있는 감염관리 전문 기관에서는 감염예방과 감염으로부터 안전한 환경 제공을 위한 핵심활동으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손 위생 수행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1,2].
의료기관에서 물을 사용하는 손 씻기를 수용하는데 단점은 무엇인가? 손에 혈액이나 체액 등 눈에 보이는 유기물이 묻은 경우, 실험실 등에서 아포(Spore)균을 접촉 했을 때에는 반드시 물을 사용하는 손 씻기를 해야 한다. 그러나 손 씻기를 하기 위해서는 상하수도, 손을 씻을 수 있는 싱크대와 같은 시설 설비와 이들의 설치를 위한 공간상의 조건이 필요하고,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손 씻기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의 싱크대를 구비해야 하므로, 의료기관에서 손 씻기를 전부 수용하기에는 공간, 시설, 설비 확장 등에 제한이 있다. 그러나 손 마찰은 소독효과가 인정된 물을 사용하지 않는 손소독제를 사용하므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손 위생의 접근성, 수용성을 향상시킨 방법으로 소독효과도 높은 것으로 인정되어 현재 의료 환경에서 손 위생 방법으로 적극적으로 권고되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uidelines on Hand Hygiene in Health Care: First Global Patient Safety Challenge Clean Care Is Safer Car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2. JM Boyce, D Pittet ;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Society for Healthcare Epidemiology of America. Association for Professionals in Infection Control.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Hand Hygiene Task Force. Guideline for hand hygiene in health-care settings: recommendations of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and the HICPAC/SHEA/APIC/IDSA Hand Hygiene Task Force.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3(12 Suppl):S3-40, 2002. DOI: http://dx.doi.org/10.1086/503164 

  3. O Monistrol, E Calbo, M Riera, C Nicolas, R Font, N Freixas J Garau. Impact of a hand hygiene educational programme on hospital-acquired infections in medical wards. Clin Microbiol Infect 18(12), pp. 1212-8, 2002. DOI: http://dx.doi.org/10.1111/j.1469-0691.2011.03735.x 

  4. MF Salama, WY Jamal, HA Mousa KA Al-Abdulghani, VO Rotimi. The effect of hand hygiene compliance on hospital-acquired infections in an ICU setting in a Kuwaiti teaching hospital. J Infect Public Health, 6(1), pp. 27-34, 2013. DOI: http://dx.doi.org/10.1016/j.jiph.2012.09.014 

  5. JA Mayer, PM Dubbert M Miller, PA Burkett, SW Chapman. Increasing handwashing in an intensive care unit. Infect Control, 7(5), pp. 259-62, May, 1986. 

  6. OM Kweon, ES Park, DS Lee, JH Lee, EJ Ha, DE Yong, JY Choi, KW Kim, C Lee, KW Lee. A Three-year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hand-hygiene protocol implementation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17(2), pp. 53-60, 2012. 

  7. HS Oh, ES Park, SY Jeong, HG Cheon, SR Kim, YS Chang, EK Kim, NH Cho. Activation of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program in hospital via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Final report. Korea Association of Infection Control Nurses. 2011.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0 The standards of Healthcare Accreditaion. The first edition, Seoul, 2010. 

  9. T Sakihama, H Honda, S Saint, KE Fowler, T Shimizu, T Kamiya, Y Sato, S Arakawa, JJ Lee, K Iwata, M Mihashi, Y Tokuda. Hand Hygiene Adherence Among Health Care Workers at Japanese Hospitals: A Multicenter Observational Study in Japan. J Patient Saf. Apr 8, 2014. DOI: http://dx.doi.org/10.1097/pts.0000000000000108 

  10. S Alsubaie, Ab Maither, W Alalmaei, AD Al-Shammari, M Tashkandi, Am Somily, A Alaska, AA BinSaeed. Determinants of hand hygiene noncompliance in intensive care units. Am J Infect Control, 41(2), pp. 131-5, 2013. DOI: http://dx.doi.org/10.1016/j.ajic.2012.02.035 

  11. D Pittet, A Simon, S Hugonnet, CL Pessoa-Silva, V Sauvan, TV Perneger. Hand hygiene among physicians: performance, beliefs, and perceptions.Ann Intern Med, 6;141(1),pp1-8, Jul, 2014. 

  12. S Assanasen, M Edmond, G Bearman. Impact of 2 different levels of performance feedback on compliance with infection control process measures in 2 intensive care units. Am J Infect Control ,36(6), pp. 407-13, 2008. DOI: http://dx.doi.org/10.1016/j.ajic.2007.08.008 

  13. K Page, AG Barnett, M Campbell, D Brain, E Martin, N Fulop, N Graves. Costing the Australian National Hand Hygiene Initiative.J Hosp Infect. 88(2014), pp. 141-148, 2014. 

  14. AR Marra, TZ Camargo, VJ Cardoso, DF Jr Moura, E Casemiro de Andrade, J Wentzcovitch , AS Santos da Rocha, OF Pavao dos Santos, MB Edmond. Hand hygiene compliance in the critical care setting: a comparative study of 2 different alcohol handrub formulations. Am J Infect Control. 41(2), pp. 136-9, Feb, 2013. DOI: http://dx.doi.org/10.1016/j.ajic.2012.02.018 

  15. DM Korniewicz, M El-Masri. Explor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hand hygiene compliance of nurses during routine clinical practice. Appl Nurs Res, 23(2), pp. 86-90, 2010. DOI: http://dx.doi.org/10.1016/j.apnr.2008.06.002 

  16. T Dierssen-Sotos, M de la Cal-Lopez, M Navarro-Cordoba, H Rebollo-Rodrigo, FM Antolin-Juarez, J Llorca. Factors related with the performance of a proper hand hygiene. Med Clin (Barc),135(13), pp. 592-5, 2010. DOI: http://dx.doi.org/10.1016/j.medcli.2010.02.040 

  17. JH Jang, S Wu, D Kirzner, C Moore, G Youssef, A Tong, J Lourenco, RB Stewart, LJ McCreight, K Green, A McGeer. Focus group study of hand hygiene practice among healthcare workers in a teaching hospital in Toronto, Canada.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31(2),pp144-50, 2013. DOI: http://dx.doi.org/10.1086/649792 

  18. VC Sunkesula, D Meranda, S Kundrapu, TF Zabarsky, M McKee, DR Macinga, CJ Donskey. Comparison of hand hygiene monitoring using the 5 Moments for Hand Hygiene method versus a wash in-wash out method. Am J Infect Control. 43(1), pp16-9. DOI: http://dx.doi.org/10.1016/j.ajic.2014.10.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