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실감각(ROT)과 시간차 회상 훈련(SRT)을 적용한 CERAD-K형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 경증 알츠하이머 치매를 중심으로
Reality Orientation Therapy and Spaced Retrieval Therapy of the applied of CERAD-K typ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s effects: for Mild Alzheimer's dementi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9, 2015년, pp.6201 - 6213  

황정희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이경순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경증 알츠하이머 환자를 대상으로 현실감각과 시간차 회상 훈련을 적용한 CERAD-K형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CERAD-K 신경심리 검사로, 하위 영역으로 보스턴 이름 대기, 간이 정신 상태, 단어 목록 회상, 구성 행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실험 설계이다. 연구는 경기도의 G 보건소에 등록된 경증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를 편의 표집 하여 실험군 32명과 대조군 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2014년 9월 1일 부터 9월 30일까지 매주 화요일과 금요일에 두 팀으로 나누어 오전 10시부터 11시,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한 팀당 16명씩 주 2회씩 8회의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해당 보건소의 일상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단어 목록 회상(F=.75 p>.05)을 제외한 보스턴 이름 대기(F=3.22, p<.001), 간이 정신 상태(F=5.92, p<.001), 구성 행동(F=4.67, p<.001)이 유의하게 향상되어 현실감각과 시간차 회상훈련을 적용한 CERAD-K형 인지재활 프로그램은 경증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을 향상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ality Orientation Therapy and Spaced Retrieval Therapy of the applied of CERAD-K typ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mild Alzheimer's patients. The tool used to this study was CERAD-K neuropsychological test consists of Boston Nam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억력 훈련은 가장 대표적인 인지치료 방법으로 알츠하이머 환자에게 인지적 개입을 실시하여 손상된 인지기능을 보존하거나 회복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지적 보존전략 내에는 절차적 기억을 훈련하거나 다양한 감각채널을 통해 정보를 부호화 하고, 학습 과정에서 질문과 바꾸어 말해주기, 단일과제에 집중하기, 기억 공책이나 달력과 같이 보조적인 기억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게 현실감각과 시간차 회상훈련의 기억력 향상 기법을 병행 적용하고, CERAD-K 인지기능 구성 항목에 초점을 둔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인지 기능 향상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CERAD-K신경심리 검사의 하위 영역인 보스턴 이름 대기, 간이 정신 상태, 단어 목록 회상, 구성 행동에 초점을 둔 CERAD-K형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경증의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인지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인지재활 프로그램 진행시 현실감각과 시간차 회상 훈련 등 기억력 향상을 훈련 시키기 위한 중재를 사용하여 인지기능의 향상을 도모했으며, 추가로 알츠하이머 치매 평가에 필수인 CERAD-K 신경심리 검사에 초점을 두어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 하였고, 이는 인지기능 향상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본다.
  • 본 연구는 경증 알츠하이머 치매 중재 프로그램으로 현실감각과 시간차 회상 훈련을 적용한 CERAD-K형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경증 알츠하이머 환자를 대상으로 현실감각 훈련과 시간차 회상 훈련을 적용한 CERAD-K형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경증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군인 경증 알츠하이머 환자들은 인지재활 프로그램 실시 후에 대조군보다 단어 목록 회상(F=.
  •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핵심 증상인 최근 기억력 저하를 포함한 인지기능의 저하의 향상을 돕도록 구성한 프로그램이다. 기억력 향상에 초점을 둔 현실감각과 시간차 회상훈련을 적용한 CERAD-K형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경증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설계이다.
  • 본 연구는 유사 실험 연구(Quasi-Experimental Research)로서 비동 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이다. 연구는 사전검사 실시 후 CERAD-K형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주 2회 4주간 8회기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증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 평가에 적합한 CERAD-K신경심리검사에 맞게 수정·보완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으로 Lee 등(2004)[19]의 인지 행동 프로그램 중 인지재활 영역과 Ban 등[20]이 제시한 시간차 회상 훈련과 Kim[21]의 현실감각 훈련으로 구성된 주 2회 4주간 8회기의 프로그램을 말한다.
  • 본 연구는 프로그램 대상을 CDR 1점 이하인 경증의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로 하였다. 이는 치매 중등도에 대한 분류를 통해 본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직접적인 효과를 보고자 함 이었다. 또한 실험 참가자를 실험군 32명 대조군 53명 총 85명이 참가하여 연구의 중재효과에 대한 근거 수준을 높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츠하이머 치매는 발병연령에 따라 어떤 특색을 보이는가? 알츠하이머 치매는 기억력 저하를 우선으로 하여 점진적인 시작과 악화를 보이는 인지 기능 장애가 특징이며, 유병기간은 개인차가 심하나 평균 8년에서 10년가량이다. 발병연령이 낮을수록 증상이 빨리 진행되며, 최근 기억 저하를 우선으로 시간 지남력 장애, 단어 찾기 곤란, 주의력, 계산능력 저하 등 인지 기능의 저하를 보인다[1].
알츠하이머 치매의 특징은 무엇인가? 알츠하이머 치매는 기억력 저하를 우선으로 하여 점진적인 시작과 악화를 보이는 인지 기능 장애가 특징이며, 유병기간은 개인차가 심하나 평균 8년에서 10년가량이다. 발병연령이 낮을수록 증상이 빨리 진행되며, 최근 기억 저하를 우선으로 시간 지남력 장애, 단어 찾기 곤란, 주의력, 계산능력 저하 등 인지 기능의 저하를 보인다[1].
알츠하이머 환자에게 기억력 훈련은 어떤 목적으로 행해지는가? 기억력 훈련은 가장 대표적인 인지치료 방법으로 알츠하이머 환자에게 인지적 개입을 실시하여 손상된 인지기능을 보존하거나 회복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지적 보존전략 내에는 절차적 기억을 훈련하거나 다양한 감각채널을 통해 정보를 부호화 하고, 학습 과정에서 질문과 바꾸어 말해주기, 단일과제에 집중하기, 기억 공책이나 달력과 같이 보조적인 기억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Organized by Korea Association of dementia, pp. 537-543, Alzheimer's professional workforce training(Nurse), 2007. 

  2. M. N. Bier, V. D. Linden, L. Gagnon, J. D. Adams, S. Louveaux, J. Saint- Mleux, Face-name association earning in learly Alzheimer's disease: a comparison of learning methods and their underlying mechanisms, Neuropsychol Rehabilitation, Vol. 18, No. 4, pp. 343-371, 2008. DOI: http://dx.doi.org/10.1080/09602010701694723 

  3. M. V. Baldelli, A. Pirani, M. Motta, E. Abati, E. Mariani, V. Manzi, Effects of reality orientation therapy on elderly patients in the community, Arch Gerontol Geriatry, Vol. 17, No. 5, pp. 211-218, 1993. DOI: http://dx.doi.org/10.1016/0167-4943(93)90052-J 

  4. A. K. Hochhalter, J. B. Overmier, S. M. Gasper, B. L. Bakke, J. Holub, A comparison of spaced retrieval to other schedules of practice for people with dementia, Exp Aging Res, Vol. 31, No. 3, pp. 101-118, 2005. DOI: http://dx.doi.org/10.1016/0167-4943(93)90052-J 

  5. P. Graf, D. L. Schacter,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for new associations in normal and amnesic subjects, J Exp Psychol Learn Mem Cogn, Vol. 11, No.12, pp. 501-518, 1985. DOI: http://dx.doi.org/10.1016/0167-4943(93)90052-J 

  6. R. P. Kessels, E. H. Haan, Implicit learning in memory rehabilitation: a meta - analysis on errorless learning and vanishing cues methods, J Clin Exp Neuropsychol, Vol. 25, No. 2, pp. 805-814, 2003. DOI: http://dx.doi.org/10.1076/jcen.25.6.805.16474 

  7. L. Clare, B. A. Wilson, G. Carter, K. Breen, A. Gosses, J. R. Hodges, Intervening with everyday memory problems in dementia of Alzheimer type: an errorless learning approach, Clin Exp Neuropsychol, Vol. 22, No. 3 pp. 132-146, 2000. DOI: http://dx.doi.org/10.1076/1380-3395(200002)22:1;1-8;FT132 

  8. S. B. Lee, C. S. Park, J. W. Jeong, J. Y. Choe, Y. J. Hwang, C. A. Park, J. H. Park, D. Y. Lee, J. H. Jhoo, K. W. Kim, Effects of spaced retrieval training (SRT) on cognitive 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AD) patients, Arch Gerontol Geriatr, Vol. 49, No. 10, pp. 289-293, 2009. DOI: http://dx.doi.org/10.1016/j.archger.2008.10.005 

  9. J. S. Jang, J. S. Lee, S. G. Kim, B. J. Jeon, The Change in Spaced Retrieval Training (SRT) Combined With Errorless Lear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Dementia Sufferer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20, No. 4, pp. 43-55, 2012. 

  10. N. R. Lee, S. K. Kim, The Effect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on Memory training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Vol. 2, No. 1, pp. 5-19, 2013. 

  11. T. K. Laundauer, R. A. Bjork, Optimum rehearsal patterns and name learning, Cognitive rehabilitation in old age, Vol. 3, No. 4, pp. 224-245, 1978. 

  12. L. R. Taulbee, J. C. Folsom, Reality orientation for geriatric patients. Hospital Community Psychiatry, Vol. 17, No. 5, pp. 133-138, 1966. DOI: http://dx.doi.org/10.1176/ps.17.5.133 

  13. O. Zanetti, G. B. Frisoni, D. D. Leo, M. D. Buono, A. Bianchetti, M. Trabucchi, Reality Orientation Therapy in Alzheimer Disease: Useful or Not? A Controlled Study, Alzheimer Disease & Associated Disorders, Vol. 9, No. 3, pp. 132-138, 1995. DOI: http://dx.doi.org/10.1097/00002093-199509030-00003 

  14. J. C. Morris, A. Heyman, R. C. Mohs, J. P. Hughes, B. G. Van, G. Fillenbaum, E. D. Mellits, C. Clark,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istry for Alzheimers Disease(CERAD). Part I: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 Alzheimers Disease, Neurology,Vol. 39, No. 39, pp. 1159-1165, 1989. DOI : http://dx.doi.org/10.1212/WNL.39.9.1159 

  15. G. Mckhann, D. Drachman, M. Folstein, R. Katzman, D. Price, M. Emanuel, Stadlan, Clinical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 Report of the NINCDS - ADRDA Work Group under the auspices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Task Force on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Vol. 34, No. 7, pp. 939-944, 1984. DOI : http://dx.doi.org/10.1212/WNL.34.7.939 

  16. D. Y. Lee, A normative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CERAD neuropsychological test battery CERAD-K in elderly,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octoral thesis, 2001. 

  17. Gyeonggi Academia, Dementia A Clinical Approach, Korean Dementia Association, 2011. 

  18. C. H. Yoo, E. J. Park, M. H. Yong, A Systematic Review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for the Rehabilitation on Dementia in Korea,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 7, No. 2, pp. 39-46, 2013. 

  19. W. G. Lee, W. H. Lee, T. Y. Hwang, Cognitive behavioral rehabilitation and emotional management training, pp. 68-215, Hakjisa, 2004. 

  20. S. W. Ban, S. S. Jeon, Spaced Retrieval Effects in Older Adul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Korean Jounal Adult Nurs, Vol. 24, No. 4, pp. 398-405, 2012.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2.24.4.398 

  21. J. W. Kim, Improving Cognitive Abilities for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 Application and Effect of Reality Orientation Therapy (RO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onetic Science and Speech Technology, Vol. 5, No. 1, pp. 27-38, 2013. DOI: http://dx.doi.org/10.13064/KSSS.2013.5.1.027 

  22. J. I. Woo, other11, The Korean Version of CERAD Neur opsychological assessment batt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3. 

  23. S. T. Lee, K. H. Jung, H. K. Park, D. H. Kim, J. J. Bahn, J. K. Roh, Reduced circulating angiogenic cells in Alzheimer disease, Neurology, Vol. 72, No. 21, pp. 1858-1863, 2009. DOI: http://dx.doi.org/10.1212/WNL.0b013e3181a711f4 

  24. Y. M. Lee, B. D. Lee, J. M. Park, Stage related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alzheimer's disease, Journa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Vol. 7, No. 13, PP. 61-70, 2009. 

  25. J. S. Kixmiller, Evaluation of prospective memory training for individual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Vol. 49, No. 2, pp. 237-41,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