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의 인지재활: 현실감각훈련(ROT)의 적용과 효과
Improving Cognitive Abilities for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Application and Effect of Reality Orientation Therapy (ROT)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5 no.1, 2013년, pp.27 - 38  

김정완 (대구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althcare providers in Korea are using conservative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Alzheimer's disease (AD) to delay the progress of the disease or to mitigate its behavioral and neurological symptoms. However, there is a growing need for interventions using practical non-pharmacologic treatment,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D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인지적 개입은 손상된 인지기능을 보존하거나 회복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기억 재활, 현실 지남력에 대한 훈련, 그리고 회상요법(reminiscence therapy) 등을 통해 남아있는 기억 기능을 강화하고, 손상이 심한 기억 기능을 보완하거나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억을 향상 또는 유지시키고자 하는 기억 재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13].
  • 치매 환자의 행동증상에 대한 약물적 개입을 살펴본 연구들은 비교적 많은 편이지만, 인지기능에 대한 중재를 통해 치매 환자의 인지재활을 꾀하려는 체계적인 국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지적 개입 중, 임상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으며, 반복적인 훈련이 가능하고 여러 중증도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ROT에 초점을 두고 이 프로그램이 AD 환자의 인지재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ROT 프로그램이 AD 환자의 지남력에 대한 정확성과 반응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매일매일의 변화를 ROT 과제를 통해 확인하고, 서로 다른 중증도의 환자들에게 개별적으로 일대일 치료를 실시함으로써 ROT의 효과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 ROT 프로그램이 AD 환자의 지남력에 대한 정확성과 반응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또한 해당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인지기능과 의사소통능력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실제 임상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우리나라의 언어와 문화에 맞는 다양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며, 프로그램의 우수성과 적합성에 대한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치료 효과에 대한 검증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지적 의사소통장애를 보이는 AD 환자의 인지재활 치료의 기초 연구로서 그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상기 언급한 여러가지 변인들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실시됨으로써 그 효과가 검증된 인지재활 치료 기법부터 단계적으로 임상 현장에 도입되기를 기대한다.
  • 이러한 결과는 ROT 프로그램을 통해 시간, 장소 및 돈세기 등에서의 지남력 향상을 보고한 기존의 연구보고들과도[46][47] 일치하는 내용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ROT와 같은 인지 재활 기법은 환자의 기억 능력을 향상시키고 회복시키는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가설적인 수준이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된 ROT 중재 활동 역시 AD 환자의 기억력에 있어 신경적 기초를 조절하거나 회복시키는데 촉진적 역할을 하여 환자들의 지남력이 상승되었음을 가정해 볼 수 있다.
  • 중재 과정에서 지남력 과제에 대한 환자의 반응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경도 단계의 case 1은 기초선 단계에서 54.
  • 중재가 실시되지 않는 조건에서 AD 환자에 대한 중재 효과가 유지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재 종료 2주 후 3회기에 걸쳐 대상 환자들을 관찰하였다. 유지단계의 자료는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부록 1>의 연습활동을 제시하고 그 수행을 기록하였다.

가설 설정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ROT와 같은 인지 재활 기법은 환자의 기억 능력을 향상시키고 회복시키는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가설적인 수준이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된 ROT 중재 활동 역시 AD 환자의 기억력에 있어 신경적 기초를 조절하거나 회복시키는데 촉진적 역할을 하여 환자들의 지남력이 상승되었음을 가정해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란 무엇인가? 치매는 다양한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전반적인 지적 기능의 장애로, 신경심리검사를 통해 정상적인 노화 또는 병리적인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손상을 감별하고, 치매의 심한 정도를 평가하며, 원인 질환을 구별하게 된다[1]. 여기서, 인지(cognition)란, 지식(knowledge)을 저장하거나 만들고 조작하는 전과정을 이르는 말이다.
인지란 무엇인가? 치매는 다양한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전반적인 지적 기능의 장애로, 신경심리검사를 통해 정상적인 노화 또는 병리적인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손상을 감별하고, 치매의 심한 정도를 평가하며, 원인 질환을 구별하게 된다[1]. 여기서, 인지(cognition)란, 지식(knowledge)을 저장하거나 만들고 조작하는 전과정을 이르는 말이다. 이러한 인지적 과정에는 주의집중(attention), 지각(perception), 이해(comprehension), 표현(expression), 연합(association), 기억(memory), 순차화(sequencing), 추론(reasoning), 부호화(symbolization) 등과 같은 기본적인 개념들이 포함된다.
AD에서 보이는 기억장애는 질환의 단계마다 어떻게 나타나는가? AD에서 보이는 기억장애는 질환의 단계마다 다르다. 작업 기억과 일화적 기억은 질환의 초기부터 손상되지만 의미적 기억은 중기 단계부터 문제를 보이기 시작한다[8]. 따라서 의미적 기억과 일화적 기억을 포함한 사실적 기억은 말기에 가서는 거의 다 손상된다. 반면 습관화된 반응의 절차적 기억 일부와 단서가 주어진 상태에서의 의미적 기억 회상은 알츠하이머병에서 비교적 보존된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Kang, Y. W. (2006). A Normative study of the 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Psychology, Vol. 25, No. 1, 1-12. (강연욱 (2006). K-MMSE(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의 노인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5권, 1호, 1-12.) 

  2. Bayles, K. A., & Tomoeda, C. K. (1997). Improving function in dementia and other cognitive-linguistic disorders: guide and resource book. Austin, TX: Pro-ed.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A study on the prevalenc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보건복지가족부 (2008). 2008년 전국치매노인 유병률조사.) 

  4. Kim, J. W. (2012). Linguistic features of spontaneous speech production in normal aging,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2, No. 3, 747-758. (김정완 (2012). 정상 노인과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자발화 산출에서의 언어적 특징, 한국노년학, 32권, 3호, 747-758.) 

  5. National Adult Office. Improving services and support for people with dementia, 2007. 

  6. Korean Dementia Association. (2011). Dementia A Clinical Approach. Gyeonggi: Academia. (대한치매학회 (2011). 치매 임상적 접근. 경기: 아카데미아.) 

  7. Han, M. D. (2009). Situation of planning management organization with dementia.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Geriatrics, Vol. 10, No. 1, 115-118. (한문덕 (2009). 치매종합관리대책 추진현황.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춘계학술대회, 10권, 1호, 115-118.) 

  8. Backman, L., Small, B. J., & Fratiglioni, L. (2002). The nature and course of the memory impairment in Alzheimer's disease. In P. Graf & N. Ohta (Eds.). Lifespan development of human memory (pp. 205-231). Cambridge, MA: MIT Press. 

  9. Petersen, R. C., Smith, G. E., Waring, S. C., Ivnik, R. J., Kokmen, E., & Tangelos, E. G. (1997). Aging, memory,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 9, No. S1, 65-69. 

  10. Choi, J. S., Yoo, E. Y., Chung, B. I., & Lim, Y. M. (2003). Cognitive factors affecting self-care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3, No. 4, 113-126. (최정실, 유은영, 정보인, 임영미 (2003). 치매노인의 자조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요인 분석. 한국노년학, 23권, 4호, 113-126.) 

  11. Fong, K. N. K., Chan, C. C. H., & Au, D. K. S. (2001). Relationship of motor and cognitive abilities to functional performance in stroke rehabilitation. Brain Injury, Vol. 15, No. 5, 443-453. 

  12. Vitaliano, P. P., Breen, A. R., Albert, M. S., & Prinz, P. N. (1984). Memory, attention, and functional status in community-residing Alzheimer type dementia patients and optimally healthy aged individuals. Journal of Gerontology, Vol. 39, No. 1, 58-64. 

  13. Kim, H. H. (2012). Neurologic Speech-Language Disorders. Seoul: Sigmapress. (김향희, 신경언어장애, 2012. 시그마프레스.) 

  14. Heiss, W. D., Kessler, J., Mielke, R., Szelies, B., & Herholz, K. (1994). Long-term effects of phosphatidylserine, pyritinol, and cognitive training in Alzheimer's disease. A neuropsychological, EEG, and PET investigation, Dementia, Vol. 5, No. 2, 88-98. 

  15. Rothi, L. J., Fuller, R., Leon, S. A., Kendall, D., Moore, A., Wu, S. S., Crosson, B., Heilman, K. M., & Nadeau, S. E. (2009). Errorless practice as a possible adjuvant to donepezil in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Vol. 15, No. 2, 311-322. 

  16. Yesavage, J. A., Westphal, J., & Rush, L. (1981). Senile dementia: combined pharmacologic and psychologic treatment.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 29, No. 4, 164-171. 

  17. De Vreese, L. P., Neri, M., Fioravanti, M., Belloi, L., & Zanetti, O. (2001). Memory rehabilitation in Alzheimer's disease: a review of progres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16, No. 8, 794-809. 

  18. Grandmaison, E., & Simard, M. A. (2003). Critical review of memory stimulation programs in Alzheimer's disease. The Journal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Vol. 15, No. 2, 130-144. 

  19. S itzer, D. I., Twamley, E. W., & Jeste, D. V. (2006). Cognitive training in Alzheimer's disease: a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Vol. 114, No. 2, 75-90. 

  20. Backman, L. (1996). Utilizing compensatory task conditions for episodic memory in Alzheimer's disease.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Vol. 94, No. S165, 109-113. 

  21. Bellack, A. S., Gold, J. M., & Buchanan, R. W. (1999).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schizophrenia: problems, prospects, and strategies. Schizophrenia Bulletin, Vol. 25, No. 2, 257-274. 

  22. Mahendra, N. (2001). Direct intervention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s with Alzheimer's disease. Seminars in Speech and Language, Vol. 22, No. 4, 291-304. 

  23. Spaulding, W. D., Fleming, S. K., Reed, D., Sullivan, M., Storzbach, D., & Lam, M. (1999). Cognitive functioning in schizophrenia: implications f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Schizophr Bull, Vol. 25, No. 2, 275-289. 

  24. A llain, H., Lieury, A., Thomas, V., Reymann, J. M., Gandon, J. M., & Belliard, B. S. (1995). Explicit and procedural memory in Parkinson's disease. Biomedicine & Pharmacotherapy, Vol. 49, No. 4, 179-186. 

  25. Metitieri, T., Zanetti, O., Geroldi, C., Frisoni, G. B., De Leo, D., Buono, M. D., Bianchetti, A., & Trabucchi, M. (2001). Reality Orientation Therapy to delay outcomes of progression in patients with dementia. A retrospective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Vol. 15, No. 5, 471-478. 

  26. Spector, A., Woods, B., & Orrell, M. (2008). Cognitive stimulation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Expert Review of Neurotherapeutics, Vol. 8, No. 5, 751-757. 

  27. Kang, W. K., Kang, M. H., Yang, J. L., Ku, E. J., & Kim, S. K. (2009). The comparison of EEG activity by computer 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in the normal elderly and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7, No. 3, 1-13. (강원구, 강민희, 양정림, 구은진, 김수경 (2009). 컴퓨터를 이용한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노인과 치매노인의 뇌 활성화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권, 3호, 1-13.) 

  28. Hart, J., & Fleming, R. (1985).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a modified reality orientation therapy. Clinical Gerontologist, Vol. 3, No. 4, 35-44. 

  29. Taulbee, L. R. & Folsom, J. C. (1966). Reality orientation for geriatric patients. Hospital Community Psychiatry, Vol. 17, No. 5, 133-135. 

  30. Aguirre, E., Hoare, Z., Streater, A., Spector, A., Woods, B., Hoe, J., & Orrell, M. (2012).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CST) for people with dementia-who benefits most?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online paper. 

  31. Baldelli, M. V., Pirani, A., Motta, M., Abati, E., Mariani, E., & Manzi, V. (1993). Effects of reality orientation therapy on elderly patients in the community.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 17, No. 3, 211-218. 

  32. Spector, A., Orrell, M., Davies, S., & Woods, B. (2000). Reality orientation for dementia.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 CD001119. 

  33. Spector, A., Thorgrimsen, L., Woods, B., Royan, L., Davies, S., Butterworth, M., & Orrell, M. (2003). Efficacy of an evidence-based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programme for people with dementi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 183, 248-254. 

  34. Citrin, R. S., & Dixon, D. N. (1977). Reality orientation: A milieu therapy used in an institution for the aged. The Gerontologist, Vol. 17, No. 1, 39-43. 

  35. Brook, P., Degun, G., & Mather, M. (1975.) Reality orientation, a therapy for psychogeriatric patients: A controlled study.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 127. 42-45. 

  36. Kang, Y. W., Na, D. L., & Hahn, S. H. (1997).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dementia patients. Korean Journal of Neurology, Vol. 15, No. 2, 300-308. (강연욱, 나덕렬, 한승혜 (1997). 치매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K-MMSE의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과학회지, 15권, 2호, 300-308.) 

  37. Frattali, C. M., Thompson, C. K., Holland, A. L., Wohl, C. B., & Ferketic, M. M. (1995). The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Functional Assessment of Communication Skills for Adults (ASHA-FACS). Rockville, MD: ASHA. 

  38. Kim, J. H. (2008).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 on the problem behaviors and task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 A. thesis, Dankook University. (김정향 (2008).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학급내 문제행동과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Bayles, K. (1984). Language and dementia. In A. Holland (Ed.). Language disorders in adults (pp. 209-244). San Diego College Hill Press. 

  40. Golper, L. A., & Rau, M. T. (1983). Treatment of communication disorders associated with generalized intellectual deficits in adults. In W. H. Perkins (Ed.), Language handicaps in adults (pp. 119-129). New York: Thieme-Stratton, Inc. 

  41. Orrell, M., Woods, B., & Spector, A. (2012). Should we use individual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in people with dementia? BMJ, 344, E633. 

  42. Woods, B., Aguirre, e., Spector, A. E., & Orrell, M. (2012). Cognitive stimulation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ing in people with dementia.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Issue 2 Art. No.: CD005562. 

  43. Greene, J. G., Nichol, R., & Jamison, H. (1979). Reality orientation with psychogeriatric patient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 17, No. 6, 615-618. 

  44. Bates, J., Boote, J., & Beverley, C. (2003).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people with a milder dementing illnes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45, No. 6, 644-658. 

  45. Gotestam, K. G. (1987). Learning versus environmental support for increasing reality orientation in senile demented patients, The Europe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 No. 3, 7-12. 

  46. Cornbleth, T., & Cornbleth, C. (1979).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Reality Orientation classes in a nursing home unit.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 27, 522-524. 

  47. Zanetti, O., Frisoni, G. B., Leo, D. D., Buono, M. D., Bianchetti, A., & Trabucchi, M. (1995). Reality Orientation Therapy in Alzheimer Disease: Useful or Not? A Controlled Study. Alzheimer Disease & Associated Disorders, Vol. 9, No. 3, 132-138. 

  48. Lee, S. B., Park, C. S., Jeong, J. W., Choe, J. Y., Hwang, Y. J., Park, C. A., Park, J. H., Lee, D. Y., Jhoo, J. H., & Kim, K. W. (2009). Effects of spaced retrieval training (SRT) on cognitive 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AD) patien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 49, No. 2, 289-293. 

  49. Oh, B. H., Kim, Y. K., Kim, J. H., & Shin, Y. S. (2003). The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The Korean Journal of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42, No. 4, 514-519. (오병훈, 김영기, 김지혜, 신윤식 (2003). 인지재활훈련이 노인성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 학회지, 42권, 4호, 514-519.) 

  50. Kane, R. A. (2001). Long-term care and a good quality of life bringing them closer together. The Gerontologist, Vol. 41, No. 3, 293-304. 

  51. Chapman, S. B., Weiner, M. F., Rackley, A., Hynan, L. S., & Zientz, J. (2004). Effects of cognitive-communication stimulation for Alzheimer's disease patients treated with donepezil. Journal of Speech, Language & Hearing Research, Vol. 47, 1149-1163. 

  52. Baik, J. Y., & Lee, B. H. (2002). The effect of computer assisted cognition rehabilitation with specific approach and hierarchial approach on cogni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in person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nd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0, No. 1, 43-54. (백지영, 이병희 (2002). 컴퓨터-보조프로그램의 특수접근과 수직적 접근이 뇌손상환자의 인지기능과 기능 회복에 미친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0권, 1호, 43-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