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내부 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ternal Organizational Factors to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9 no.4, 2015년, pp.335 - 354  

김기영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최윤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서관 내부의 조직적인 관점으로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서비스에 접근하여, 주제전문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내부적 영향요인의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서관 조직 내부에서 주제전문서비스와 관계있는 사서직원을 대상으로 수행한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조직구성원 개인 수준, 주제전문서비스 담당 팀의 수준, 도서관 전체 조직 수준에서의 주제전문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조직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주제전문서비스는 팀 내 중요성 인식, 팀 차원의 지원과 협력, 동기부여와 팀 효능감, 내부 커뮤니케이션 등의 조직행동요인으로 설명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도서관의 목표달성에 기여하는 단위 활동으로서 주제전문서비스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조직 차원에서 고려하여야 하는 내부요소를 탐색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internal organizational factors to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from a viewpoint of libraries as organizations. For this goal, a set of dee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ral librarians in a university library who are in charge of the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할이란 무엇인가? 먼저 조직구성원의 행위를 기술할 때 자주 혼용되는 용어들인 역할, 기능, 그리고 업무에 대한 개념 정의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역할 (role, 役割)이란 “주어진 사회적 지위나 위치에 따라서 개인에게 기대되는 행동”으로서 (doopedia 2015a) 개인의 사회적 위치를 결정 하는 수단이다. 일정한 사회적 구속에 따라 개인에게 기대되는 역할이 부여되므로 타인지향적, 사회지향적 속성을 띤다.
주제전문사서의 주요 업무는? Haro(1969)는 주제전문사서의 기능으로 크게 정보조사제공, 연구팀의 일원으로서의 연구기능을 강조한다. 그에 따른 업무로는 이용자 교육, 연락업무, 자료선정 업무를 주요 업무로 제시하였다. Smith(1974) 는 분관 사서와 중앙관 사서의 역할을 나누어 기술하면서 분관 사서를 주제전문사서로 보고 장서구성, 정보조사, 분관운영, 연구 등의 기능을, 중앙관 사서는 장서구성, 분류편목, 전반적인 도서관 운영 등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았다.
기능이란 무엇인가? 이에 비해 기능(function, 機能)은 “어떤 활동분야에서 그 구성부분이 하는 구실 또는 작용” (doopedia 2015b)으로서, 구조 혹은 체계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데, 부분의 집합으로서의 구조 전체에 대한 부분의 활동이며, 수학적으로는 한 변수(變數)와 다른 변수 사이에 성립하는 함수로 이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기능은 역할 수행을 위한 목적지향적 속성을 띤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미혜. 2002. 주제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한 주제서지과목 과제방안 연구: 법률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49-68.(Kang, Mia-Hye. 2002. "A Study on the Assignment of the Subject Bibliography Course for the Education of th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3): 49-68.) 

  2.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07. 도서관용어해설: 사서 명칭 관련 용어. 지금 도서관에서는, 4: 1-9.(Research Institute for Library and Information. 2007. "Doseogwanyongeohaeseol: Saseo Myeongching Gwanryeon Yongeo." Now@Library, 4: 1-9.) 

  3. 김다해, 김기영. 2009. 고객관계관리(CRM) 관점에서의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서비스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3): 89-110.(Kim, Da-Hae and Kim, Giyeong. 2009. "A Study on Subject Reference in Academic Libraries from a Perspective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3): 89-110.) 

  4. 김용수. 2014. 조직 내 구성원의 다양성이 구성원 간 의사소통 및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Kim, Yong Soo. 2014. The Effect of Diversity at Workplace on Communication and Team Creativity.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5. 김창호, 차동옥. 2008. 인지된 조직의 팀지원과 서번트 리더십이 팀에피커시와 팀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2(3): 129-149.(Kim, Chang Ho and Chah, Dong Ok. 2008. "The Impa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Team Support and Servant Leadership on Team-Efficacy and Team Citizenship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32(3): 129-149.) 

  6. 남영준, 허운순. 2005.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39-64.(Nam, Young-Joon and Heo, Oun-Soon. 2005. "A Study on the Curriculum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Subject Specialist."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3): 39-64.) 

  7. 노동조, 남민석. 2013. 주제전문사서제의 도입 여부가 도서의 선정과 대출에 미치는 효과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0(3): 229-247.(Noh, Dong-Jo and Nam, Min-Seok. 2013. "An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Book Selection and Circulation after Introducing to Subject Libraria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3): 229-247.) 

  8. 노영희. 2009. 대학도서관의 규모별 주제전문사서체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101-117.(Noh, Younghee. 2009. "A Study on How to Introduce Subject-Oriented Service to University Libraries Based on Their Siz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 101-117.) 

  9. 노영희 외. 2008. 주제전문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4): 97-123.(Noh, Younghee et al. 2008. "An Analysis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4): 97-123.) 

  10. 노옥순. 1998. 온라인 정보기술 환경과 참고사서의 역할 재고.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2): 121-142.(Noh, Ock-Soon. 1998. "Online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he Changing Roles of Reference 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2(2): 121-142.) 

  11. 문헌정보학용어사전 편찬위원회. 2010. (개정판)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Glossary Compilation Committee. 2010.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Glossary. Revised e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2. 박준식. 2003. 인터넷 환경과 대학참고사서의 새로운 역할모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1): 1-19.(Park, Joon-Shik. 2003. "The New Role Models of the Reference Librarians in the University under the Internet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4(1): 1-19.) 

  13. 안인자 외. 2008. 국내 주제전문사서의 직무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533-549.(Ahn, In-Ja et al. 2008. "A Study on the Job Analysis of th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4): 533-549.) 

  14. 안인자 외. 2009. 주제전문사서를 위한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333-361.(Ahn, In-Ja et al. 2009. "Competency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1): 333-361.) 

  15. 이수정. 2003. 의학주제전문사서제도의 도입과 그 전망. 한국의학도서관, 30(1-2): 27-32.(Lee, Su-Jeong. 2003. "Uihakjujejeonmunsaseoui Doipgwa Geu Jeonmang." Hangukuihakdoseogwan, 30(1-2): 27-32.) 

  16. 정동열. 2002. 지식기반시대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화 역할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5-23.(Jeong, Dong-Youl. 2002. "A Study on the Role Model of Subject Specialization i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3): 5-23.) 

  17. 정재영. 2007.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협력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도서관 관련 주체들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1): 391-409.(Chung, Jae-Young. 2007. "A Study on the Cooperation Model of Subject Specialist Upbringing Plan: Focusing on the Role of the Subjects Related to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1): 391-409.) 

  18. 정재영. 2009.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제 운영방안 연구: 3개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119-136.(Chung, Jae-Young. 2009. "A Study on Operational Plan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at Academic Libraries: Focus on Case Analysis of Three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3): 119-136.) 

  19. 최흥식. 2012.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이용자 인식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1): 303-319.(Choi, Hung-Sik. 2012. "A Study of Reconsideration for Users in the Subject-Special Librarian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1): 303-319.) 

  20. 한상완. 1986. 한국의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에 있어서 주제전문사서의 현황과 기능에 관한 조사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 42-74.(Han, Sangwan. 1986. "A Study on Functions and Present Situation of Subject Specialists for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n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 42-74.) 

  21. 황재영. 2011.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현황과 사서의 인식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137-158.(Hwang, Jae-Young. 2011. "An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and Perception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Korean Specia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137-158.) 

  22. Doopedia. 2015a. 서울: 두산., s.v. "역할".(Doopedia. 2015a. Seoul: Dusan., s.v. "Role".) 

  23. Doopedia. 2015b. 서울: 두산., s.v. "기능".(Doopedia. 2015b. Seoul: Dusan., s.v. "Function".) 

  24. Amabile, T. M. 1998. "How to Kill Creativity." Harvard Business Review, 76(5): 77-87. 

  25. Blau, P. M. 1964.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New York: Wiley. 

  26. Deci, E. L. 1980. The Psychology of Self-Determination. Lexington, USA: Lexington Books. 

  27. Eisenberger, R. et al. 1986.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3): 500-507. 

  28. Eisenberger, R. et al. 2002.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Contributions to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ee Reten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1): 565-573. 

  29. Guoldner, A. W. 1960. "The Norm of Reciprocity: A Preliminary State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5: 161-178. 

  30. Gully, S. M. et al. 2002. "A Meta-Analysis of Team-Efficacy, Potency, and Performance: Interdependence and Level of Analysis as Moderators of Observed Relationship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5): 819-832. 

  31. Haro, R. P. 1969. "The Bibliographer in the Academic Library." Library Resources and Technical Services, 13: 165-174. 

  32. Jehn, K. A. 1995. "A Multi-Method Examination of the Benefits and Detriments of Intragroup Conflic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0: 256-282. 

  33. Jones, G. R. 1986. "Socialization Tatics, Self-Efficacy and New-Comers to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9: 262-279. 

  34. Michalak, T. 1976. "Library Services to the Graduate Community: The Role of th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College & Research Libraries, 37(3): 257-265. 

  35. Riggs, M. L. and Knight, P. A. 1994. "The Impact of Perceived Group Success-Failure on Motiva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 Causal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9(5): 755-766. 

  36. Shea, C. M. and Howell, J. M. 2000. "Efficacy-Performance Spirals: An Empirical Test." Journal of Management, 26(4): 791-812. 

  37. Smith, E. 1974. Impact of th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on the Organization and Structure of the Academic Research Library. Metuchen, USA: Scarecrow.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