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안전 분야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 -국내 건설공사현장을 중심으로-
Research on construction safety assessment topic areas -Focusing on domestic construction site-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7 no.4, 2015년, pp.1 - 12  

안광용 (고용노동부) ,  강경식 (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construction site large disaster occurs in, even normal disaster not be reduced, the efforts of pre-disaster prevention for this is also a need to study the evaluation index. By comprehensive examination zero reform the current lowest bid system has included the social responsibility index 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연구되었던 자료들을 기초로 건설업체의 산재예방활동 평가지표를 고찰하기로 하고, 사전 재해예방노력도 평가지수(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1) 본 연구는 사전 재해예방노력도 평가지수와 종합심사제의 사회적 책임항목 중 건설안전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항목, 항목별 평가기준 및 배점기준을 개발하였다.
  • 6)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공공 입찰제도와 기획재정부의 종합심사제 및 외국의 입찰제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이 연구에서는 건설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전 재해예방노력도의 평가지수와 종합심사제의 건설안전 분야에 대한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각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항목을 검토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요구도에 부응하기 위하여 건설업자의 공사이행능력 평가항목의 신인도 점수에 반영할 사전 재해예방노력도 평가지수와 시범운영할 종합심사제 항목 중 사회책임 분야에서 건설안전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8) 심사항목 및 배점한도는 공사금액에 따라 상이하다. 추정가격이 100억 원 이상인 공사와 100억 원 미만 50억 원 이상인 공사의 심사분야는 크게 당해 공사수행능력과 입찰가격으로서, 당해 공사수행능력에는 시공경험, 기술능력, 시공평가결과, 경영상태, 신인도, 하도급관리계획의 적정성, 자재 및 인력조달가격의 적정성 등이 심사분야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 관련 제도의 근본적인 개선을 강력히 요구하는 근거는? 이는 현재의 제도로는 더 이상 건설재해를 감소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고, 근본적인 재해예방을 위한 제도적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 건설현장에서 발생된 장남교 및 방화대교 상판 붕괴사고, 노량진 배수지 공사현장의 수몰사고, 저수조 폭발사고 등은 건설 관련 제도의 근본적인 개선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현재의 입찰제도의 구분은? 현재의 입찰제도는 일괄·대안입찰방식과 일반공사 입찰방식으로 크게 구분되며, 일반공사입찰제도는 PQ 대상공사(추정가격이 300억원 이상인 공사, 일부 공종에서는 200억원이상)와 PQ비대상공사로 구분된다. 일괄·대안입찰방식은 당해공사 수행능력과 설계 및 입찰가격을 동시에 평가하여 설계점수 높은 자 6인 중 종합평점이 높은 자를 낙찰자로 선정2)하고 있어 비교적 낙찰률이 80% 이상이 되며, 일반공사입찰제도 중 PQ 비대상공사(적격심사제)도 PQ점수를 포함한 당해 공사 수행능력과 가격점수를 합산하여 평가하고 최저가 응찰자 순으로 일정한 점수 이상(추정가격 100억원 이상은 92점, 100억원 미만은 95점)을 받은 자를 낙찰자로 선정3)하고 있어 낙착률은 85%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투찰가격을 어떻게 작성하였느냐가 시공사의 기술능력 여부에 관계없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모순점을 갖는 제도인 이유는? 하지만 입찰가격점수는 예정가격의 88%에 근접한 가격을 투찰하였을 때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할 수 있고 일정 점수 이상이면서도 최저가로 투찰하여야 낙찰자로 선정되는 그야말로 낙찰은 요행 또는 운에 맡기는 운찰제라는 말까지 나돌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public works nakchalje I also held a public hearing for improvement, Press, 2013. 8. 21. 

  2.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No. 111 contracts sop, 2012. 9. 22. 

  3.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Contract No. sop Article 112, 2012. 9. 22. 

  4. Legislation, Employment Insurance and Workers' Compensation Law Decree No. 2 regarding the collection of insurance premiums (1) 3 arc throat, 2013.7.1. 

  5. Legislation, Employment Insurance premiums and laws regarding the collection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Decree rate of Article 11, paragraph 1, 2013.7.1. 

  6. Legislation,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ct Enforcement Rules Annex 1 No. 2 - No. 4, 2012.1.26. 

  7. Legislati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Article 10, 2009.2.6. 

  8. Legislati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Article 15 and Article 16, 2009.2.6. 

  9. Anhongseop, Ohjongcheol, construction industry accident rate Accident Prevention Contribution of Research, Department of Labor, 2004. 

  10. Yimyeonggu, in terms of accident insurance sujiyul accident rate study and reflectio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er, 2007. 

  11. project participants, bid participation qualification of PPS pre-screening criteria, PPS of technology screening No. -3 078, 2013.6.24. 

  12. Federal Acquisition Regulation (FAR), Department of defens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05. 5. 

  13. Federal Property and Administrative Services Act of 1949, U.S. Senata Committee on Environment & Public Works, 2000. 12. 

  14. United State Department of Labor, How To Compute a Firm's Incidence Rate for Safety Management, 2013. 

  15. ?土交通省大臣官房地方課, ?土交通省直轄工事 における?合評?落札方式の運用ガイドライン, 2013 年3月.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