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민방위 경보 방송에 대한 정보 수용자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Information Accepter about Civil Defence Alert Broadcasting 원문보기

방송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20 no.6, 2015년, pp.827 - 836  

곽천섭 (한국방송공사 기술연구소) ,  경일수 (한국방송공사 기술연구소) ,  이현지 (광운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보 전달 체계에 대한 정보 수용자의 이용 및 인식 조사를 통해 전달 시스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보 수용자들은 민방위 경보 방송을 개인 미디어 보다는 대중 미디어를 통해 접하고 있었다. 민방위 경보 방송의 청취 빈도는 매우 낮았는데, 1년에 5회 이하로 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4명중 1명은 경보 방송의 사이렌과 내용이 잘 안들린다는 의견이었다. 그리고 민방위 경보 방송의 사이렌은 소방차 등과 같은 다른 경보 사이렌에 비해 낮은 기억 회상과 구분 능력을 보였으며, 실제 상황 시 사전 지식에 따른 행동 보다는 방송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는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민방위 경보 시스템이 나가야 할 방향으로는 사회 시스템 구축 보다는 교육 및 홍보를 통한 국민의식 개선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delivery system through researching the information accepter' recognition and use about warning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survey, they listen to civil defence alert broadcasting on mass media more than personal media. The f...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정보수용자라고할수있는국민이민방위경보방송을제대로받고있는지에대한조사가필요함을 말해준다. 이에, 본연구에서는민방위경보방송에대해정보수용자들이어떻게이용및인지하고있는지를살펴 보고자한다. 이와 함께 민방위경보방 송이 나아가야 할 방향도살펴볼것이다.
  • 가장 기초적 인연 구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이에, 본연구에서는정보수용자차원을중심으로민방위경보방송의이용과인식실태를알아보고자하는것이. 이를위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민방위경보방송에 대한 정보수용자의이용경험, 인지 및 대응 행동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 이에, 본연구에서는정보수용자차원을중심으로민방위경보방송의이용과인식실태를알아보고자하는것이 다. 이를위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민방위경보방송에 대한 정보수용자의이용경험, 인지 및 대응 행동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민방위경보방 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무엇인지에대해서도함께살펴볼것이다.
  • 이를위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민방위경보방송에 대한 정보수용자의이용경험, 인지 및 대응 행동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민방위경보방 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무엇인지에대해서도함께살펴볼것이다.
  • 민방위경보방송이사람들의대응행동과어떻게관련되는지조사하기위해실제민방위상황이발생하였음을 인지하는순간사람들은어떻게행동할지알아보았다. 그 결과, 사람들의 행동은 그런 정상적 재난 대응을 가정할수없다는것을보여주었다.
  • 본 연구에서는 민방위경보방송에 대한 이용 경험과인지에대해살펴봄과함께, 우리나라 경보방송의 지향점에 대한 논의도진행하였다. 우선, 민방위경보방송에 대한 이용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청취경로, 청취빈도, 사이렌품질그리고음성방송내용품질을중심으로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egye-daily, Zero additional deaths...lethality about 19.4%, 2015.7.9 

  2. C. H. Ahn, The role of civil defence and emergency preparedness, and local government for national crisis management.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vol. 5, no. 1호, pp. 108-119, 2009 

  3. Busan-daily, Civil defense training another's affair? Cheonggyecheon was crowded with vacationers, 2015.8.19 

  4. www.safekorea,go.kr 

  5. J. T. Lim, et al. Survey of american public alert and warning system, KSOBE conference, pp. 155-156, 2011 

  6. S. J. Choi, et al., A study on public alert and warning system using new media,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1. 

  7. H. Chihiro, Disaster and media(K. H. Kim,Trans.), Seoul : Nonhyung, 2012(Original work published 2005) 

  8. M. S. Sim, The study on national crisis management through the efficient activation of civil defense,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vol. 9, no. 11, pp. 173-200, 2013 

  9. M. J. Lee,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module organization of korean civil defense system,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management, vol. 9, no. 8, pp. 151-167, 2013 

  10. P. Namkwun and P. Sungkun, A study on the planning of civil defense shelter and design 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0, no. 3, pp. 358-365, 2014 

  11. T. Kim, et al., A study on the survival kit development preparing the civil defense situ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8, no. 4, pp. 376-383, 2012 

  12. H. C. Moon, A study on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civil defense education, Journal of Safety and Ccrisis Mmanagement, vol. 2, no. 2, pp. 70-86, 2008 

  13. C. S. Kwak, Expanding mobile emergency alert system from DMB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KSOBE conference, pp. 144-148, 2012 

  14. J. U. Choi. A study on improving the delivery system of emergency disaster broadcast using new media,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vol. 17, no. 3, pp. 24-39, 2012 

  15. S. Ahn et al. A study on internet emergency alert distribution system adaptive to the receiver characteristics,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ol. 20, no. 4, pp. 598-605, 2015 

  16. J. H. Sorensen, Hazard warning systems: Review of 20 years of progress. Natural Hazards Review, vol. 1, no. 2, pp. 119-125, 2000 

  17. R. M. Eila, et al.. Facilitating disaster preparedness through local radio broadcasting, Disasters, vol. 35, no. 4, pp. 801-815, 2011 

  18. C. S. Kwak and Y. H. Lee. Media usag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s, and social capital as an information delivery channel,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vol. 14, no. 3, pp. 5-41, 2014 

  19. Y. C. Chung and Y. H. Kim, A study on the behavior of using the broadcast media,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