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지이용유형별 보행량 영향 요인 비교·분석 - 서울시 유동인구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A comparison analysis of factors to affect pedestrian volumes by land-use type using Seoul Pedestrian Survey data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4 no.2, 2015년, pp.39 - 53  

장진영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  최성택 (홍익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  이향숙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김수재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  추상호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시 유동인구조사자료를 활용하여 토지이용유형별로 보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조사지점 주변의 주거, 상업, 공업, 녹지 등의 토지이용을 바탕으로 K-평균 군집분석을 통해 5개의 군집으로 분류하고, 군집별 1일 및 시간대별 평균보행량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어서, 군집별로 보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3가지 공간적 위계의 설명변수로 구분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 군집별로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보도 너비는 모든 군집에서 보행량의 증가요인으로 분석되었으나, 다른 변수들의 경우 군집별로 설명변수가 상이하고, 공간위계별로 영향력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토지이용유형별 가로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per analyzes factors to affect pedestrian volumes by land-use type using 2012 Seoul Pedestrian Survey. First of all, five groups were classified based on land-use types around survey points such as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and green uses, using k-average cluster analysis. Then, dif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9년 조사자료 중 평일자료로 수요일 및 금요일 조사자료가 각각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평일 평균 보행량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관측조사 특성상 수요일 및 금요일의 보행량간 편차로 인해 모형의 설명력이 저해될 수 있으므로, 이상치 제거를 위해 표본의 신뢰구간을 이용한 통계적 필터링을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달리 보행활동(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세 가지 공간적 위계로 구분하여 반영하고, 다양한 대중교통 관련 변수(물리적 시설 및 서비스 등)를 반영하여, 보행환경이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을 토지이용 유형별로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보행량은 가로 주변의 토지이용 유형에 따라 상이한 특성을 보인다는 점에 착안하여 보행 공간을 토지이용 유형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향 요인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와 연관성이 큰 보행량에 관해 분석한 연구들은 주로 보행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최근 국내연구는 대규모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보행활동 영향요인에 관하여 분석하는 사례가 많으며 활용 가능한 조사 자료는 <표 1>과 같이 3가지로 구분된다.
  •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수행된 방법론과 보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활용변수 등을 수집한 뒤, 이를 공간적 위계로 구분하고 대중교통 특성 변수를 투입하여 다중회귀 분석시 독립변수로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보행량에 관한 다중회귀모형을 개발하여 각 군집별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색도시 패러다임에 맞추어 무엇이 주목받게 되었는가? 최근 이러한 경향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과 함께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도시개발 패러다임이 새롭게 대두됨에 따라 보행은 다시금 새롭게 주목받게 되었다. 특히, 녹색도시 패러다임에 맞추어 보행친화도시 조성이 주목받게 되었는데, 승용차 이용의 저감을 통해 환경을 보호하고, 보행 활성화를 통해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2]
국내외적으로 보행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는 이유는? 즉, 국내외적으로 보행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과 동시에 그 중요성을 절감하고 이를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고 요약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보행은 환경오염 절감효과, 건강의 증진뿐 아니라 보행 활성화를 통한 가로변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훌륭한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행을 주제로 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고 특히, 도심 활성화의 초석이 되는 보행행태를 다룬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녹색도시 패러다임은 어떤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가? 최근 이러한 경향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과 함께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도시개발 패러다임이 새롭게 대두됨에 따라 보행은 다시금 새롭게 주목받게 되었다. 특히, 녹색도시 패러다임에 맞추어 보행친화도시 조성이 주목받게 되었는데, 승용차 이용의 저감을 통해 환경을 보호하고, 보행 활성화를 통해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 S. Lee, J. Y. Kim, S. H. Choo, "Analyzing pedestrian characteristics using the seoul floating population survey : Focusing on 5 urban communities in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2, pp.315-326, August. 2014 

  2. H. G. Sung, "Urban livability of Jacobs beyond space and time: Empirical evidence from the Great Seoul in 21st century", Journal of Korean Planning Association 2012 Conference, 2012 

  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9 Seoul floating population survey", 2010 

  4.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2 Seoul floating population survey", 2013 

  5. I. S. Bae, S. K. Kim, S. B. Park, "An improvement search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 around subway stations", Journal of Donga univ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vol. 24, No.2, pp.173-190, 2010 

  6. S. H. Park, Y. M. Choi, H. L. Seo, "Measuring walkability in urban residential neighborhoods: development of walkability indicator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4, No.1, pp.161-172, 2008 

  7. S. H. Kim, K. J. Lee, K. C. Choi, "Pedestrian environment scaling analysis by walkway type",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2151-2154, 2012 

  8. S. H. Park, Y. M. Choi, H. L. Seo, J. H. Kim, "Percep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of neighborhood walking -An impact study based on four residential communities in Seoul Korea",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5, No.8, pp.253-261, 2009 

  9. J. H. Byeon, K. H. Park, S. R. Choi, "The effect of physical pedestrian environment on walking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case of Jinhae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37, No.6, pp.57-65, 2010 

  10. K. H. Lee, K. H. Ahn, "The Correlation between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waling of residents -A case study of 40 areas in seoul",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42, No.6, pp.105-118, 2007a 

  11. K. H. Lee, K. H. Ahn, "An empiricla analysi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affecting residents' walking -A case study of 12 Areas in Seoul",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4, No.6, pp.293-302, 2008 

  12. Y. K. Choi, Y. H. Kwon, "A study on the pedestrian movement in urban spac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9, No.1, pp.89-96, 2003 

  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Final report : Pedestrian activity estimation techniques and promote of guidelines for green urban", 2014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2010 national transportation demand survey & the construction of a transportation DB", 2011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16. K. H. Lee, T. H. Kim, W. M. Lee, E. J. Kim, "A study on effects of neighborhood's environments on residents' walking trips using household travel diary survey data in Seoul", Seoul metropolitan research, vol. 15, No.3, pp. 95-109, September. 2014 

  17. H. G. Sung, J. Y. Kim, "A study on the impacts of individual socio-economic status and walking purposes on walking amount : The case of workers in the city of Seoul", Seoul metropolitan research, vol. 12, No.2, pp. 73-86, June. 2014 

  18. J. A. Lee, J. H. Koo,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f street on pedestrian volum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8, No.4, pp. 269-286, August. 2013 

  19. J. A. Lee, H. Lee, J. H. Koo, "Th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edestrian volume based on physical environment of street -Focused on main commercial street of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9, No.2, pp. 145-163, April. 2014 

  20. D. W. Sohn, J. Kim,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Characteristics of Urban Transit Centers and the Level of Transit Usage: Case Studies of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vol. 11, pp.33-44, October. 2010 

  21. S. P. Hong,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use characteristics of subway catchment area and subway users of Seoul metropolitan subway in consideration of subway accessibility", Univ of Seoul, 2010 

  22. H. S. Choi, T. H. Kim, J. H. Lee,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by TOD planning elements of subway station area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6(2), pp.1-15, 2013 

  23. T. H. Kim, Y. C. Shin, H. G. Sung, "The Relationship of distance-based TOD planning elements to public transit ridership in Seoul subway station area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8, No.2, pp. 51-64, April. 2014 

  24. D. H. Ch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ingle-households elderly and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vol. 17, No.2, pp. 119-136, 2014 

  25. J. W. Kim, "A study on key factors to affect taxi travel using DTC data in Seoul", Univ of Hongik,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