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자연산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하여 수요측면에서 산림복합경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시 가구 64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들이 산지재배 임산물을 구입하는 이유는 영양 효능과 안전성 때문이며, 같은 임산물이라도 밭 재배보다 품질이 우수하다고 응답하였다. 산지재배 임산물이 친환경 밭 재배 작물보다 선호되기는 하지만 자연산 인정 여부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비자들이 임산물 속성 가운데 중요시하는 요소는 품질과 효능으로 나타나 이를 강조하는 마케팅이 요구된다. 소득이 증가하면 신선도와 가격보다 자연산 여부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취체험이 자연산 임산물 구매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산림복합경영의 활성화를 위해 자연산 인증을 통해 소비자 신뢰를 획득하고 체험 관광과 연계하는 6차산업화 추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licit some policy implications to promote agroforestry in South Korea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We conducted internet survey to 640 urban households about the recognition of forest farming products. Consumers purchased forest farming products for their nut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생산비를 절감하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수요측면에서 소비를 증진하거나 가격 프리미엄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 연구는 산림복합경영의 활성화를 수요측면에서 접근하기 위해 산지재배(자연산)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조사결과에 기초하여 산림복합경영 활성화 방안으로서 다음을 제언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자연산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하여 산림복합경영 활성화를 위한 수요측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여기에서 임산물은 산나물(더덕, 곰취, 산마늘 등)과 산약초(당귀, 황기, 산양삼 등) 등 주로 숲에서 채취 또는 재배하는 비목재 단기임산물을 말한다.
  • 이에 소비자들이 ‘자연산’으로 인정하는 범위는 어느 정도까지인가를 조사하였다.
  • 이에 숲에서 생산한 임산물과 농지재배 임산물 사이에 품질(맛·영양)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지 질문하였다.
  •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여 얻는 효용은 제품에 내재한 속성들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임산물의 개별 속성에 대하여 소비자 가구가 어떻게 평가하는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에서 각 속성별 중요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게 하고 속성별 상대적 중요도 순위를 매기게 하였다(Table 5).
  • 임산물을 구입할 때 자연산 여부를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는지 질문하였다. 이에 대한 소비자 가구의 응답은 ‘각종 인증표시’(3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숲의 역할은? 숲은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 제공, 온실가스 흡수, 생물다양성 유지 등의 기능을 담당하면서 우리 사회의 생태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산림을 조성하고 잘 가꾸는 것은 건강한 환경을 지키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일이다.
산림복합경영이 기여하는 것은? 산림복합경영은 나무들 사이에 산나물 또는 산양삼 등 단기임산물을 식재하거나 가축을 키우면서 목재생산 임업의 장기성을 보완하는 산림경영 형태이다. 이는 산림의 생태적 기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단기소득을 창출하여 산주들의 산림경영 참여를 유도하고 산촌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1) 이러한 형태의 산림이용은 열대의 개발도상국뿐만 아니라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널리 채용되고 있다(Lee, 2013).
산림복합경영이란? 목재생산 임업의 저수익성과 장기성을 보완하는 방안으로 주목받는 것이 산림복합경영(agroforestry)이다. 산림복합경영은 나무들 사이에 산나물 또는 산양삼 등 단기임산물을 식재하거나 가축을 키우면서 목재생산 임업의 장기성을 보완하는 산림경영 형태이다. 이는 산림의 생태적 기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단기소득을 창출하여 산주들의 산림경영 참여를 유도하고 산촌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S.J. and Seok, H.D. 2012. An analysis of consumers' behavior in the purchase and consumption of astringent persimmons. Korean Journal of Forest Economics 19(1): 27-35. 

  2. Bark, J.E. and Min, K.T. 2012. Determinants of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for oak mushroom using probit model. Korean Journal of Forest Economics 19(1): 19-26. 

  3. Beggs, S., Cardell, S. and Hausman, J.A. 1981. Assessing the potential demand for electric cars. Journal of Econometrics 17: 1-19. 

  4. Dettmann, R.L. and Dimitri, C. 2009. Who's buying organic vegetabl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U.S. consumers. Journal of Food Products Marketing 16(1): 79-91. 

  5. Jin, H.J. and Kim, B.Y. 2010. Consumers' willingness-to-pay for organic fruits and marketing strategy: focused on mandarine. Proceedings of Korea Distribution Association Annual Spring Conference, 91-117. 

  6. Jung, B.H., Kim, E.G., and Lee, S.Y. 2003. An analysis of Korean consumer and preferences for oak-mushroom. Korean Journal of Forest Economics 11(2): 15-22. 

  7. Kim, C.G., Kim, T.Y., and Seo, S.C. 2005.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s and Purchasing Behaviors towards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R500.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8. Kim, C.G. Jeong, H.K., and Moon, D.H. 2012. Production and Consumption Status and Market Prospects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foods. P157.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9. Kim, H.J., Kim, H.S., and Lee, S.H. 2014. Present situations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of Agro-foresty in private forests of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8(4): 35-45. 

  10. Kim, J.S., Kim, E.G., Choi, S.I., and Jung, B.H. 2006. A study on consumer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pay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chestnu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4): 415-422. 

  11. Kwon, O.S., Kim, W.B., Kim, K.S., and Son, I.S. 2009. Merging brands and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32(1): 89-109.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2. Lee, S.W., Min, S.H., Park, J.Y., and Youn, S.D. 2005. Logit and Probit Model Application. Pakyoungsa. Seoul. Korea. 

  13. Lee, Y.H. 2013. Economic potenti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agroforestry from US agroforestry cases. Korean Journal of Forest Economics 20(1): 47-58. 

  14. Min, K.T. and Lee, Y.H. 2006. Consumer behaviors of urban residents for oak mushroom. Korean Journal of Forest Economics 14(2): 35-43. 

  15. Min, K.T. and Kim, M.E. 2014. Current status and policy implications of agroforestry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Forest Economics 21(1): 47-58. 

  16. Son, C.H. and Seok, H.D. 2006. The current situation and policy direction of agroforestry in Korea.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29(1): 135-150. 

  17. Woo, B.J., Huh, D., and Kim, H.J. 2010. A Study on Farm Animal Welfare and Policy Roadmap for Korea. R618.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8. Yoo, B.I., Sung, K.C. Seo, J.W., and Jeon, J.H. 2004. A status and analysis of agroforestry in Korea. KFRI Journal of Forest Science 67: 125-138.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9. Zhang, F., Huang, C.L., Lin, B.H., and Epperson, J.E. 2008. Modeling fresh organic produce consumption with scanner data: a generalized double hurdle model approach. Agribusiness: An International Journal 24: 510-5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