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장애인을 위한 프로그램 기획에의 컨셉트 맵핑(concept mapping) 적용 : 클라이언트 참여를 통해 사회복귀시설 종사자와 정신장애인의 기대성과 합의를 이룰 수 있는가?
Application of Concept Mapping in Program Planning for the Mental Disorders: Can be Achieved Consensus Expected Outcomes of the Mental Disorders and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 Employees through Client Particip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 2015년, pp.140 - 151  

권순애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선주 (동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에 클라이언트 참여와 자기결정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하여 컨셉트 맵핑을 적용한 것이다. 컨셉트 맵핑이 적용되는 프로그램은 A광역시의 B사회복귀시설에서 시행되는 것으로, 정신장애인들이 독거노인과 함께 음식을 교류하며 소통하는 사업이였다. 컨셉트 맵핑을 통해서 정신장애인과 사회복귀시설 종사자가 기대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성과가 무엇인지 서로 확인하고, 합의해 나가게 되었다. 정신장애인과 사회복귀시설 종사자 총 24명이 참여하였으며, 총 여섯단계를 거쳤다. 42개의 서술문이 수집되었으며, 분류화 결과, 정신장애인은 6개의 군집, 사회복귀시설 종사자는 3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사회복귀시설 종사자보다 정신장애인들이 기대성과를 더 세분화시켜 분류하였다. 서로가 기대하는 성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기대성과의 중요성을 측정하여 최종적으로 합의된 3가지의 기대성과를 도출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정신장애인들의 프로그램 참여와 그에 따른 자기결정의 가치를 실현하는데 컨셉트 맵핑이 가지는 유용성을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pply concept mapping to realize of client particip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social welfare program for the mental disorders. They are relatively easily marginalized in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ir program. But realization of client participation and self-determination is dir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정신장애인이 자기의사를 표현하고 받아들여지는 존중의 경험을 통해 자기결정이 증진된다[10].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그램 기획과정에서의 클라이언트의 참여와 자기결정권 실현, 서비스 제공주체와 서비스 이용 당사자 간의 성과 차이를 명확히 인식하고 이를 합의해 나가는 당사자 중심의 프로그램 기획이 구현되는 방법론적 측면을 컨셉트 맵핑을 통해 확인되었다고 하겠다. 즉 클라이언트 중심의 프로그램 기획 가치를 도입하고, 프로그램 과정에 클라이언트를 참여시켜 서비스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컨셉트 맵핑은 그 활용성이 뛰어나다고 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귀시설의 종사자와 이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재가 정신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기획을 위해 컨셉트 맵핑을 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정신장애인들의 자기결정권의 가치가 얼마나 실현되는지, 그리고 이용자와 공급자간의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서 컨셉트 맵핑 도구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 사업 선정 이후에 실행계획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사업의 목적 및 성과에 대한 재정비가 필요하였다. 이 과정에 서비스에 참여하게 되는 정신장애인들과 사회복지사들이 함께 이 프로그램의 성과에 대한 합의 도출을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연구들에서 드러난 컨셉트 맵핑의 효과는 무엇인가? 또한 기획과정 시 프로그램 이론(program theory)에 포함되는 개입 목적, 대상자, 기대성과의 차이에 대한 경험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성공에 대한 실현가능한 함의를 안내해 준다[16][24]. 최근 연구들[13][25][28]에서, 컨셉트 맵핑은 프로그램 기획에 관여 하는 참여자들이 인식한 것 간에 복합적 관련성을 부각 시켜 주며, 그것들의 관련성의 강점을 개념지도 (concept map)에 나타내 주는데 유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기획과정에서는 어떤것이 이루어지는가? 특히 다양한 이해가 얽히어 있을 경우에는 더욱 그러할 수 있다. 기획과정에서는 주요한 목적과 목표, 욕구, 필요자원과 능력들에 대한 개념화가 이루어진다. 컨셉트 맵핑은 프로그램에서 확인 되는 복잡한 요소들에 대한 개념화를 증진시켜 주며, 욕구와 문제에 대한 불충분한 위험을 최소화하며, 목적과 목표의 모호함에 대한 해결도 용이하다.
사회복지프로그램의 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사회복지프로그램은 기획 시 다양한 주체들의 이해가 고려될 수 밖에 없는 환경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서비스의 직접 수혜자가 되는 대상자, 그들과 관련되어 있는 지역사회, 서비스 제공주체로서 공공 및 민간 조직들, 다양한 재정지원의 주체들, 서비스의 법적·제도적 장치 등이 가지는 상이한 기대와 인식들이 프로그램 운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프로그램 기획 주체가 포괄적 합리성에 기반하여 이들 모두를 고려하여 특정 프로그램을 디자인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권세영, "사례관리자와 정신장애인간의 실천관계의 재조명",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0년 학술대회 발표집, pp.85-113, 2010. 

  2. 김문근, "정신장애인의 기능장에 대한 당사자와 보호제공자의 주관적 인식 비교",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8, pp.81-112, 2011. 

  3. 김연희, 하경희, "사회복귀시설 서비스 이용자의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9, pp.92-124, 2005. 

  4. 박정임, 이금진,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에 관한 사회복지사와 당사자의 주관적 인식 분석", 보건사회연구, Vol.30, No.2, pp.599-633, 2010. 

  5. 신정이, 정신장애인의 정신보건 성과에 관한 구조모형 비교연구-회복과 사회적응의 관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6. 양옥경, 사회복지실천론, 나남, 2010. 

  7. 이용표, "정신보건프로그램에서의 능력고취", 사회복지연구, Vol.13, pp.111-137, 1999. 

  8. 임혁, 정신보건사회복지서비스 질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9. 장은숙,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 경험의 구조와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2, pp.374-412, 2009. 

  10. 최희철, 이방현, 이동훈,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태화해뜨는샘 회원을중심으로," 태화임상사회사업연구, Vol.13, pp.9-74, 2006. 

  11. 황석웅, 박승탁,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기술교육이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 요인- 자기결정권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적장애연구, Vol.14, No.4, pp.311-340, 2012. 

  12. C. Argyris, Reasoning, Learning, and Acti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San Franciso: Jossey-Bass, 1982. 

  13. M. C. Barth, "A Low-cost, post hoc method to rate overall site quality in a multi-site demonstration," American Journal of Evaluation, Vol.25, pp.79-97, 2004. 

  14. D. E. Biegel, J. A. Johnsen, and R. Shafran, "1.Overcoming barriers faced by African-American families with a family member with mental illness," Family Relations, Vol.46, No.2, pp.163-178, 1997. 

  15. D. E. Biegel, L. Song, and S. Milligan, "A Comparative analysis of family caregivers perceived relationships with mental health professionals," Psychiatric Services, Vol.46, No.5, pp.477-482, 1995. 

  16. A. Duggan, "Hawii's healthy start program of home visiting for at-risk families: evaluation of family identification, family engagement and service delivery," Prdiatrics, Vol.105, No.1, pp.250-259, 2000. 

  17. J. Fieldhouse and S. Onyett, "Community mental health and social exclusion: Working appreciatively towards inclusion," Action Research, Vol.10, No.4, pp.356-372, 2012. 

  18. Herman, Ongag, Pernice-Duca, Oh and Fergusonl, "Sense of community in clubhouse programs: member and staff concept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36, No.4, pp.343-356, 2005. 

  19. M. Kane and W. M. K. Trochim, Concept mapping for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Thousand Oks, CA: Sage publication, 2007. 

  20. F. L. Leeuw, "Reconstructing program theories: methods available and problems to be solved," American journal of evaluation, Vol.24, No.1, pp.5-20, 2003. 

  21. K. Mason, "Exploring the consumer's and provider's perspective on service quality in community mental health care,"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Vol.40, No.1, pp.33-46, 2004. 

  22. Mancini, "The Role of self-efficacy in recovery from serious psychiatric disabilities: a qualitative study with fifteen psychiatric survivors," Qualitative Social Work: Research and Practice, Vol.6, No.1, pp.49-74, 2007. 

  23. D. L. Poole, D. Duvall, and B. Wofford, "Concept mapping key elements and performance measures in a state nursing home-to-community transition project,"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Vol.29, No.1, pp.10-22, 2006. 

  24. D. R. Powell, "Methodological and conceptual issues in research," In S. L. Kagan, D. R. Powell, B. Weissbourd & E. F. Zigler(eds.). American's Family Support Programs(pp.311-328),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988. 

  25. D. L. Shern, W. M. K. Trochim, C. A. LaComb, "The use of concept mapping for assessment fidelity of model transfer: an example from psychiatric rehabilit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Vol.18, No.2, pp.143-153, 1995. 

  26. S. Stephanie and S. Katz, "Concept mapping methodology : a catalyst for organizational learning,"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Vol.28, No.3, pp.257-269, 2005. 

  27. R. L. Winer, D. Wiley, T. Huelsman, and A. Hilgemann, "Need assessment: Combining qualitative interview and concept mapping methodology," Evaluation Review, Vol.18, No.2, pp.227-240, 1994. 

  28. S. Yampolskya, T. M. Nesman, M. Hernande, and D. Koch, "Using concept mapping to develop a logic model and articulate a program theory: a case example," American Journal of Evaluation, Vol.25, No.2, pp.191-207,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