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장애인의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 2015년, pp.503 - 514  

이종화 (김천대학교 치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단면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장애인의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우리나라 장애인을 대표할 수 있는 2011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통계분석용 소프트웨어인 PASW statistics 18.0 (SPSS Inc, Chicago, USA)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하였고,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결정요인들을 회귀분석한 결과, 차별요인, 주거환경요인, 복지인지요인, 사회경제요인, 장애와 건강요인 등 모든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장애인의 권리확대와 재활, 자립생활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tried to suggest ways to improve satisfaction of their life, as finding the determinants of the disabled through the cross-section research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is article used data from the 2011 investigation of actual condition for the Disabled, which is a repres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2011년 장애인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만 19세 이상 성인장애인 6,0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백분율의 분포 등 통계치들은 정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표본 실수가 아닌 가중치가 적용된 전국 추정수 2,512,513명을 통계치로 제시하여 장애인의 생활 만족도 결정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차별요인, 복지인지요인, 사회경제요인, 장애요인, 건강요인 등을 분석하였다.
  • 대표적으로 조사 대상 장애인들의 인구 사회 경제적 특성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없었고, 다양한 요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할 수 없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장애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근거하여 장애인 대상자를 범주화 하고, 우리나라의 성인 장애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생활만족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살펴보고, 장애인들이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가면서 느끼는 생활만족도에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알아본 결정요인[10]을 통해 우리나라 장애인들의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 사회적 지원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구 증가로 인해 어떤 환경이 변화하고 있는가? 장애로 인한 우리나라의 등록 장애인의 수는 2005년 1,777,400명이었던 것이 2008년 2,246,965명으로 증가하였고, 2013년 12월말 기준 2,501,112명으로 2005년 대비 723,712명이 증가하였으며[1], 이러한 장애인구 증가로 인한 정책 수요의 다양화와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장애인 고용 의무제 개정 등으로 고용과 복지를 비롯한 교육, 사회참여 등 장애인의 전반적인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2]. 특히, 우리나라의 장애인 기본권 보장은 2008년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시행으로 장애인 문제를 시혜적 관점에서 벗어나 장애인의 권리와 인권으로 바라보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3].
장애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은 어떤 것이 있었는가?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차별요인, 복지인지요인, 사회 경제요인, 장애와 건강요인 등 모든 요인에서 긍정적이거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우리나라의 등록 장애인의 수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장애로 인한 우리나라의 등록 장애인의 수는 2005년 1,777,400명이었던 것이 2008년 2,246,965명으로 증가하였고, 2013년 12월말 기준 2,501,112명으로 2005년 대비 723,712명이 증가하였으며[1], 이러한 장애인구 증가로 인한 정책 수요의 다양화와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장애인 고용 의무제 개정 등으로 고용과 복지를 비롯한 교육, 사회참여 등 장애인의 전반적인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2]. 특히, 우리나라의 장애인 기본권 보장은 2008년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시행으로 장애인 문제를 시혜적 관점에서 벗어나 장애인의 권리와 인권으로 바라보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Registered Disabled, 2014. 

  2.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2013 Disabled Statistics, 2013. 

  3. M. S. Kim, UN Convention on Disability Rights and Fundamental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Effect of Treaty Reservation and the Incidental Opinion of the Parliament. Journal of Institution and Economics, Vol. 6, No. 1, pp. 169-209, 2012.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2011 Survey of Disabled, 2012. 

  5. Chung-Hwa Han, Structur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Graduate School Daegu Haany University, 2010. 

  6. Campbell, A,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NY: McGraw-Hill, 1981. 

  7. DOI: http://dx.doi.org/10.1093/geronj/31.4.448 

  8. M. S. Ko, D. J. Kim, The Effects of the Economic Activity States of the Female Disabled on Their Daily Life Satisfaction Level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Disability & Employment, Vol. 24, No. 2, pp. 137-164, 2014. 

  9. Ja-Kyung Park,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 theoretical model and ita empirical test.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Sungkyunkwan University, 2009. 

  10. H. K. Oh, D. J. Jung, A Study of Determinant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Person.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14, No. 3, pp. 151-173, 2010. 

  11. S. H. Park, Social validation of the components of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4, No. 2, pp. 72-120, 2000. 

  12. S. D. Park, E. S. Kim, A Study on Types of Employment and the Quality of Life(QOL) for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y. The Education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Vol. 40, pp. 105-124, 2002. 

  13. Eun-Ryoung Paik,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degree of social integration,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2003. 

  14. Sung-Wook Lim,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Graduate School of Dongshin University, 2006. 

  15. O. K. Yang, Development of a scale for measuring life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No. 24, pp. 157-198, 1994. 

  16. DOI: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17. J. R. Lee, C. M. Park, Quality of Life Using WHOQOL-Bref in Taegu.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Vol. 10, No. 3, pp. 129-154, 2000. 

  18. H. J. Park, K. R. Park, The Stress, Coping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Vol. 13, No. 5, pp. 625-636, 2004. 

  19. M. S. Chung, S. I. Kang,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mentally disabled residents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 24, pp. 81-108, 2010. 

  20. S. Y. Lee,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the mentally ill from the perspective of ecosystem.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2004. 

  21. J. S. Lee,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 the Life Satisfaction of Poor Disabled Persons -Focus on Registration Disable Persons of Gwang-Ju City in South Korea-. Korean Governance Review, Vol. 16, No. 1, pp. 79-105, 2009. 

  22. G. S. Kim, J. H. Jeong,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n Disabled Person's Subjective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Vol. 4, No. 1, pp. 47-70, 2007. 

  23. Ja-Kyung Park,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 theoretical model and ita empirical test, Graduate School Sungkyunkwan University, 2009. 

  24. J. T. Kim,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Life Quality of Participants in Lifetime Sports Program,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Vol. 19, No. 1, pp. 43-55,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