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이미지메이킹 효능감, 긍정적 사고, 자아존중감 및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mage Making Programs on Image Making Efficacy, Positive Thinking, Self-esteem,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1, 2015년, pp.122 - 132  

문인오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이경완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정석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 of Image Making Programs on image making efficacy, positive thinking, self-esteem,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24 nursing students 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들의 이미지메이킹 효능감, 긍정적 사고, 자아존중감,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틀간 총 4시간의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이미지메이킹 효능감, 긍정적 사고 및 간호전문직관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설 설정

  • 가설 1.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간호대학생은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간호대학생 보다 이미지메이킹 효능감이 높을 것이다.
  • 가설 2.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간호대학생은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간호대학생보다 긍정적사고 정도가 높을 것이다.
  • 가설 3.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간호대학생은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간호대학생 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을 것이다.
  • 가설 4.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간호대학생은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간호대학생 보다 간호전문직관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미지메이킹 효능감이란 무엇인가? 이미지메이킹 효능감이란 자기이미지를 관리하고 표현하는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자기 자신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자신을 가치 있는 유기체로 인식하며 개인의 사고와 행동의 변화를 긍정적인 사고로 받아들임으로써 이미지메이킹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7]. 이때 대학생 시기는 사회성의 발달로 자신의 신체 및 외모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어 흔히 외적이미지에만 편향되게 가꾸는 오류를 범할 수 있는데, 이는 이미지 개선의 일시적인 효과만 주게 되므로내ㆍ외적인 이미지가 서로 잘 조화를 이뤄야 할 것이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들의 이미지메이킹 효능감, 긍정적 사고, 자아존중감,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메이킹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는? 본 연구는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들의 이미지메이킹 효능감, 긍정적 사고, 자아존중감,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틀간 총 4시간의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이미지메이킹 효능감, 긍정적 사고 및 간호전문직관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4시간의 교육 프로그램 적용을 시도한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추후 좀 더 발전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개발 및 정규교과과정 편성을 위한 실행가능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제공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 시기는 어떤 시기 인가? 대학생 시기는 제2의 인생을 설계하고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로 ‘나는 어떠한 모습으로 살아갈 것인가’라는 자기이미지를 모색하고 자신이 갖게 될 통합된 자아를 형성하고 추구하는 시기로서[2],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개념, 즉 자기이미 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기이미지란 인간의 심리적, 정신적, 정서적인 특성 등이 고유하고 독특하게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1], 이러한 이미지는 받아들이는 입장에 따라 왜곡될 수 있는 지극히 주관적이기 때문에 개인의 인상을 긍정적으로 만들거나 타인에게 보여 지는 자신의 이미지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KH.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imagemaking and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the image-making progra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06;13(1):269-289. 

  2. Erikson EH. Child and society. 2nd ed. New York, NY: W.W. Norton & Co; 1963. http://dx.doi.org/10.1002/(issn)1099-0860 

  3. Jun MH. A study of image-making education program [master' thesis]. Naju: Dongshin University; 2011. 

  4. Kim HS, Park WJ, Ha TH. The influencing 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6;12(2):229-237. 

  5. Kim HJ.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ppearance satisfaction, body-image, and self-estee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1):62-70. 

  6. Jin HY. An analysis on the change of awareness before and after image making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Cultural Arts. 2013;2(2):3-11. 

  7. Song EY.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facial image-making program to self-esteem, positive thinking and facial image efficacy [dissertation]. Seoul: Myong Ji University; 2008. 

  8. Kim SJ. A influence of the image-making program to adolescent self-image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master' thesis]. Cheongyang: Korea International Culture University of Graduate; 2008. 

  9. Rogenberg R.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NY: Basic books Inc; 1979. 

  10. Secord PE, Jourard SM. The appraisal of body-cathexis and the self.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53; 17:343-347. http://dx.doi.org/10.1037/h0060689 

  11. Cho OH. Influence of the image making program with regard to adult learner's self-esteem [master' thesis]. Busan: Dong Eui University; 2007. 

  12. Hong KH. The influence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BMI and body image on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06;30(2):348-357. 

  13. Fredrickson BL.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2001;56(3):218-226. http://dx.doi.org/10.1037/0003-066x.56.3.218 

  14. Lee MR. Relationships of self-esteem with family-, friend-, school-, leisure-, and job-related variables in early adolescence: Focusing on positive and negative self-evaluations. Studies on Korean Youth. 2005;16(2):263-293. 

  15. Weis D, Schank MJ. An instrument to measure professional nursing values.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00;32(2):201-204.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0.00201.x 

  16. Ko YJ, Kim IK.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nursing valu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1):62-71.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1.062 

  17. Seong JA, Yeom EY, Do YS. Image of nurses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11):798-809. http://dx.doi.org/10.5392/JKCA.2014.14.11.798 

  18. Kim HJ, Oh YH, Oh GS, Suh DW, Shin YC, Jung JY.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positive thinking Scal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6;11(4):767-784. 

  19.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http://dx.doi.org/10.2307/2575639 

  20. J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974;11:109-129. 

  21. Yeun EJ, Kwon YM, Ahn OH.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cal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6):1091-1100. 

  22. Park SH, Yeom MS. Teaching-learning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2nd ed. Seoul: Hakjisa; 2007. p. 189-200. 

  23. Pike RW. Creative training techniques handbook: Tips, tactics, and how-to's for delivering effective training. 3rd ed. Kim KS, You JP, trans. Paju: Gimmyoungsa; 2004. 

  24. Hutchens D. Outlearning the wolves: Surviving and thriving in a learning organization. Kim CI, trans. Seoul: Badabooks; 2001. 

  25. Carnegie D. How to win friends and influence people. Choi ES, trans. Seoul: SIAT Pub.; 2004. 

  26. Ha YS. A study on the effect of financial planner's image-making efficacy to self-esteem, positive thinking [master' thesis]. Cheongyang: Korea International Culture University of Graduate; 2009. 

  27. Kim BS. The effect of youth image - making program on objected body consciousness and self-esteem. [master' thesis]. Gyeongsan: Daegu Haany University;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