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시간전망이 시간관리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ime Perspective on Time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9 no.4, 2015년, pp.141 - 161  

김외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박은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time perspective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ime perspective on time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Questionnaires including time perspective, time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의 시간전망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이유는? 특히 미래 사회의 일원으로서 학업, 자아개발, 진로탐색, 취업, 생활방식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삶의 목표를 탐색하고 계획하는 시기에 있는 대학생(정애경ㆍ김지심ㆍ김정화, 2012)의 경우 향후 자신의 진로나 인생에 대하여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갖는 것은 자기 삶을 주체적으로 영위해 나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기 때문에 대학생의 시간전망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유지선ㆍ유계숙, 2007; 김진경ㆍ김혜연, 2013)고 할 수 있다.
시간지각이란 무엇인가? 시간지각(time perception)은 시간의 경과 또는 시간의 길이를 시계와 같은 물리적인 계측수단에 의하지 않고 주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으로(김외숙ㆍ이기영, 2015 :166) 여러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숙영(1992)은 시간지각의 차원을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시간전망, 시간의 흘러가는 속도를 인식하는 템포, 개인이 시간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가를 알아보는 시간의 의미, 죽음에 대해 인식하는 종말인식의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시간의 양면적인 특성은 무엇인가? 시간은 양면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시간의 경과 또는 시간의 길이를 시계와 같은 물리적인 계측수단에 의해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 차원과 함께 각 개인이 시간을 경험하는 주관적 차원이 있다. 주관적 시간 경험의 하나인 시간전망(time perspective)은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의 차원에 대한 개인의 인식으로서(김외숙, 2003) 인간의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유용한 개념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강태신.임영식(2008). 청소년 싸이코패스 특성과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5(2), 83-101. 

  2. 김경희(1981). 대학생의 시간전망의 태도에 관한 일연구.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 55-64. 

  3. 김숙영(1992). 노인이 자가 평가한 건강 상태와 시간 지각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외숙(2003).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시간전망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4), 1-10. 

  5. 김외숙.Geistfeld, L.(2005).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시간관리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논문집, 40, 487-500. 

  6. 김외숙.이기영(2015).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7. 김진경.김혜연(2013). 청소년의 미래기대에 대한 연구 :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51(2), 173-186. 

  8. 김진하(2013). 시간관과 자기통제가 지연행동 및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남은아(2011). 부모양육태도에 의한 자녀의 시간관이 성취목표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남경애.고선강(2008). 청소년의 시간관리행동과 생활만족도: 인문계고, 특성화고, 평생 교육시설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3), 103-117. 

  11. 박재욱(2008). 시민단체(NGO)활동가의 주관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 삶의 의미, 정신건강의 관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찬정.김동환.현정석(2011). 초등.중학생의 시간관이 인터넷과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3), 399-411. 

  13. 유수현(2011). 소비자의 시간인식, 화폐태도에 따른 여가소비행동과 여가만족도의 구조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유지선.유계숙(2007). 청소년의 미래지향이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학업성적, 성 허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4), 1-16. 

  15. 윤소정.김정섭(2012). 한국형 Zimbardo 시간관 척도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6(2), 587-606. 

  16. 윤용옥.김외숙(2007). 대학생의 시간관리 : 관련변수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71-82. 

  17. 이남미.이근모(2010). 대학생들의 시간관리 행동과 여가태도, 생활만족도 그리고 자아실현과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9, 837-849. 

  18. 이경호(2010). 성취목표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행동의도와 시간관을 매개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이나미(1994). 주부의 시간지각 및 시간성향에 따른 시간관리행동과 가정생활만족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정아(1996). 소비자의 시간지각과 정보탐색 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정아.정순희(1997). 소비자 시간지각이 정보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가전제품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2), 33-43. 

  22. 이정연(2013). 자기개념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분석.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송성이(2009). 중.고령자의 직업복귀유형별 재취업욕구와 미래시간전망 비교분석.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정영아(2008). 소비자의 시간지각과 여가소비 행동 관계 : 20-40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정애경.김지심.김정화(2012). 이공계 대학생의 직업교육에서 숙달목적지향성과 시간관리능력이 직업탐색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15(3), 12-21. 

  26. 정종민(1987). 아동의 미래시간전망에 관한 일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조한익(2011). 고등학생의 지각된 시간관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을 매개변인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8(2), 61-75. 

  28. 차수경(2011). 시간관과 학업성취 수준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차정은.김아영.이은경.김봉환(2007).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미결정의 성별 차이 및 발달 경향성 검증. 교육심리학회, 21(4), 923-944. 

  30. 허경옥.차경욱.유수현(2015). 시간과 화폐에 대한 태도가 여가소비행동과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127-148. 

  31. Zimbardo, P. & Boyd, J. 지음, 오정아 옮김 (2008). 타임 패러독스 : 시간이란 무엇인가. 서울 : 미디어윌. 

  32. Barber, I. K., Munz, D. C., Bagsby, P. G., & Grawitch, M. J.(2009). When does time perspective matter? Self-control as a moderator between time perspective and academic achievemen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6(2), 250-253. 

  33. Bergaddaa, M. M.(1990). The role of time in the action of the consume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3), 289-302. 

  34. Boniwell, I.(2005). Beyond time management : How the latest research on time perspective and perceived time use can assist clients with time-related concerns.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 Based Coaching and Mentoring, 3(2), 61-74. 

  35. Brunstein, JC., Schultheiss, OC., & Grassmann, R.(1998). Personal goals and emtoional well-being : The moderating role of motive disposi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2), 494-508. 

  36. Carstensen, I., Isaacowitz, M D., & Charles, S. T.(1999). Taking time seriously : A theory of socio-emotional selec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4(3), 165-181. 

  37. Frank, L. K.(1939). Time perspectiv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 293-312. 

  38. Freire, E., Gorman, B., & Wessman, A. E.(1980). Temporal span, delay of gratification, and children's socioeconomic status.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37, 247-255. 

  39. Gao, Y. J.(2011). Time perspectiv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young adults in Taiwan. Journal Scientific, 39(6), 729-736. 

  40. Gjesme, T.(1979). Future time orientation as a function of achievement motives, ability, delay of gratification, and sex. The Journal of Psychology, 101(2), 173-188. 

  41. Harber, K. D., Zimbardo, P. G., & Boyd, J. N.(2003). Participant self-selection biases as a func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ime perspective.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25(3), 255-264. 

  42. Kendall, M. B. & Sibley, R. F.(1970). Social class difference in time orientation: Artifact?.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82, 187-191. 

  43. Lewin, K.(1942). Time perspective and morale. In G. Lewin(ed.), Resolving social conflicts, 103-124. New York : Harper. 

  44. Liniauskaite, A. & Kairys, A.(2009). The lithuanian version of the zimbardo time perspective inventory(ZTPI). Psichologija, 40, 66-87. 

  45. Lamm, H., Schmidt, R. W., & Trommsborff, G.(1976). Sex and social class as determinants of future orientation in adolesc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4(3), 317-326. 

  46. Marko, K. W. & Savickas, M. L.(1998). Effectiveness of a career time perspective interven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2(1), 106-119. 

  47. Mehta, P. H., Rohila, P. K., Sundberg, N. D., & Tyler, L. E.(1972). Future time perspectives of adolescents in Indi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 293-302. 

  48. Mirza, S. A. & Somers, C. L.(2004). Future orientation among Caucasian and Arab -American adolescents.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25(3), 361-372. 

  49. Peetsma, T, T. D.(2000). Future time perspective as a predictor of school investment.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4(2), 177-192. 

  50. Shell, D. F. & Husman, J.(2001). The multivariate dimensionality of personal control and future time perspective beliefs in achievement and self-regul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6(4), 481-506. 

  51. Wallace, M.(1956). Future time perspective in schizophrenia.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2(2), 240-245. 

  52. Wolf, F. M. & Savickas, M. L.(1985). Time perspective and causal attributions for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4), 471-480. 

  53. Zaleski, Z., Cycon, A., & Kure, A.(2001).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dolescent samples. In P. Schmuck, & K. M. Sheldon(eds.), Life goals and well-bing : Towards a positive psychology of human striving, 58-67. Goettingen : Hogrefe & Huber Publishers. 

  54. Zhang, J. W. & Howell, Re. T.(2011). Do time perspective predict unique variance in life satisfaction beyond personality trai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0(8), 1261-1266. 

  55. Zimbardo, P. & Boyd, J.(1999). Putting time in perspective : A valid, reliable individualdifferences metric.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6), 1271-1288. 

  56. Zimbardo, P., Sword, R., & Sword, R.(2012). The time cure overcoming PTSD with the new psychology of time perspective therapy. Oak Brook : John Wiley & Sons. 

  57. The Time Paradox http://www.thetimeparadox.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