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신두리 해안사구의 보전방안
Conservation Method of Sindu-ri Coastal Dune using System Dynamics 원문보기

한국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16 no.1, 2015년, pp.5 - 23  

석영선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유수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송기환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전진형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nd-use changes in the coastal areas using system dynamics modeling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effective management to maintain coastal dune areas. This research process consists of four steps: First, we built the basic model based on the causal loop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한번 훼손된 해안사구 면적은 회복되기 어렵기 때문에 해안사구의 면적을 유지 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UNEP, 1995: 80).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 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 모델을 활용하여 신두리 해안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패턴을 파악하고, 해안사구의 면적 유지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시스템 다이 내믹스를 이용한 연구는 시간의 흐름을 반영한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두리 해안사구의 현상 추이를 반영한 보다 자세한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관리방안 제시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 본 논문에서는 석영선 외(2014)의 연구에서 작성된 인과순환지도를 바탕으로 신두리 해안사구의 면적 유지를 위한 정량적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본 모형을 작성하였다.
  • 본 연구는 지속적인 훼손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신두리 해안사구의 면적 유지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대상지의 토지이용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적정 방풍림 벌채 면적을 제시 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연구의 한계는 방풍림 벌채에 따른 해안사구 면적 유지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방풍림 벌채 후 시간지연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 및 방풍림을 서식지로 하는 동·식물들의 생태환경을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 본 연구에서는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해안사구의 보전을 위해 신두리 해안지역의 토지이용에 대한 면적 변화를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을 통해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지역은 어떤 곳인가? 해안지역은 해양, 갯벌, 연안 등의 해안생태계와 육상생태계가 접하는 곳으로 생태, 문화, 역사, 경관 자원이 풍부한 곳이다(장동호․박지훈, 2010: 74-75). 해안지역에 형성된 해안사구는 바다에서 육지 방향으로 불어온 바람에 의해 모래가 쌓여 형성된 모래언덕으로 염분토양에 적응한 사구성 동‧식물들의 서식처 기능, 지하수 및 담수 저장 기능을 가지고 있다(Nordstom et al.
해안지역에 형성된 해안사구의 모래 순환을 통한 역할은 무엇인가? , 2001: 1937-1938). 또한 모래 순환을 통해 해일, 태풍 등의 자연재해로부터 연안지역을 보호하는 자연 방파제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독특한 해안경관, 지질경관에 대한 가치를 인정받아 생태관광지로 가치가 높아지면서 방문객이 증가하고 있다(해양수산부, 2003: 1-62; 환경부, 2011).
해안지역에 형성된 해안사구는 무엇인가? 해안지역은 해양, 갯벌, 연안 등의 해안생태계와 육상생태계가 접하는 곳으로 생태, 문화, 역사, 경관 자원이 풍부한 곳이다(장동호․박지훈, 2010: 74-75). 해안지역에 형성된 해안사구는 바다에서 육지 방향으로 불어온 바람에 의해 모래가 쌓여 형성된 모래언덕으로 염분토양에 적응한 사구성 동‧식물들의 서식처 기능, 지하수 및 담수 저장 기능을 가지고 있다(Nordstom et al., 1990: 1-38; García-Mor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명현호. (2010). 건강성 평가를 통한 해안사구 생태계 보전.관리방안 연구. 박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대학원, pp.217-224. 

  2. 박종철.안대희. (2014). "생태관광 방문객의 지각된 위험이 신뢰 및 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 는 영향: 순천만 생태관광지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28권 제2호, pp.80-87. 

  3. 산림청. (2006). 해안 방재림 조성.보전.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산림청. pp.4-7. 

  4. 서종철. (2002). "원격탐사와 GIS 기법을 이용한 신두 해안사구지대의 지형변화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8권 제1호, pp.98-109. 

  5. 석영선.송기환.전진형. (2014). "해안사구의 토지이용과 경관가치에 대한 시스템 사고",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제15권 제3호, pp.81-104. 

  6. 이상문.최형석.박창석.주신하.신지훈. (2007). "자연경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제도적 접근", 농촌계획, 제13권 제3호, pp.23-26. 

  7. 장동호.박지훈. (2010). "충남 연안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해안지형 평가", 한국사진지리학회지, 제19권 제1호, pp.74-75. 

  8. 전근우.김석우.김경남.중도행희.강기차부. (2005). "쓰나미에 대비한 해안림 조성과 비 구조물 대책: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 제94권 제3호, pp.197-198. 

  9. 조광우.맹준호.주용준.신현화.김규한. (2006). 해안개발사업에 따른 해안침식 영향 저감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pp.53-69. 

  10. 최지연. (2005). "신두리 해안사구를 둘러싼 갈등분석". 해양수산, 제246호, pp.5-8. 

  11. 해양수산부. (2003). 신두리 사구해역 생태계보전지역 관리계획. 해양수산부. pp.1-62. 

  12. 환경부. (2011). 자연방파제 해안사구. 인천: 국립환경과학원. 

  13. 국립공원관리공단. (2012). "태안해안국립공원, 해안선이 변하고 있다". 8월 14일자. 

  14. 에코타임스. (2012). "인공조성 '해안사구' 효과 없다". 9월 27일자. 

  15. 연합뉴스. (2014). "모래서 자라는 미기록 버섯 2종 국내 첫 발견". 8월 11일자. 

  16. SBS뉴스. (2014). "천연기념물 사구에 관광통로...흉물 전락". 12월 20일자. 

  17. JTBC뉴스. (2012). "억지로 나무 심었더니...해안선 잡아 먹는 '괴물 방풍림". 11월 16일자. 

  18. Bellhouse, D. R. (1981). "Area Estimation by Point-Counting Techniques", Journal of Biometrics, Vol.37, No.2, pp.303-304. 

  19. Bressolier, C. F. and Y. Thomas. (1977). "Studies on wind and plant interactions on French Atlantic coastal dunes". Journal of Sediment Petrology, Vol.47, No.1, pp.331-333. 

  20. Carter, R. (1991). "Near-Future Sea Level Impacts on Coastal Dune Landscapes", Landscape Ecology, Vol.6, No.1-2, pp.29. 

  21. Garcia-Mora, M., J. Gallego-Fernandez and F. Garcia-Novo. (2000). "Plant Diversity as a Suitable Tool for Coastal Dune Vulnerability Assessment", Journal of Coastal Research, Vol.16, No.4, pp.990-993. 

  22. Martinez, M. L. and N. P. Psuty. (2004) "Coastal Dunes: Ecology and Conservation". Berlin: Springer. pp.2-64. 

  23. Nordstom, K. F., K. Nordstrom, N. Psuty, and R. W. G. Carter. (1990). Coastal dunes: form and process. New York: Wiley. pp.1-38. 

  24. UNEP. (1995). "Guideline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astal and Marine Area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Mediterranean Basin", Split, Croatia: UNEP. pp 80. 

  25. Williams, A., J. Alveirinho-Dias, F. Garcia Novo, M. Garcia-Mora, R. Curr and A. Pereira. (2001). "Integrated Coastal Dune Management: Checklists",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21, No.18, pp.1937-19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