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빙랩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ystem Dynamics Approach of the Introduction of Local Innovative Systems to Community Development Polici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16 no.4, 2015년, pp.83 - 101  

최인수 (환경공학,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김건위 (행정학, 한국지방행정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reason why community building policies by the Government seem to fail to work properly in Korea. The existing studies focus mainly on designing community building systems, thus they cannot provide plausible explanations about the cause of the unsuccess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시기에 민과 관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지에 대해 교착점에 와 있다. 따라서 마을만들기 초반기에 정부위주 또는 민주도로 추진되어 온 마을만들기 사업이 이제는 민과 관이 서로가 융합하여 각자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학자에 따라서는 이 인과이론을 기술적 타당성(technical feasibility) 또는 정책디자인(policy design)의 타당성 등의 용어로 표현하기도 한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SD방법론을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중앙-지방의 관계, 지방과 마을공동체와의 관계의 수준으로 나누어 나름 하향식과 상향식 접근방법을 통합한 접근방법을 사용하고 기존 연구를 토대로 변수를 도출하여3) 서로간 인과관계를 논의하면 기존의 이론적 한계를 극복하면서 마을만들기 정책집행에 대한 설명력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 4장에서는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도출된 변수와 선행 사례를 기초로 현재의 마을만들기에 대한 인과지도를 분석한다. 또한 이론적 정치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의 문헌연구 및 전문가 자문, 그리고 마을만들기 활동가의 인터뷰를 통해 모형의 현실적합성을 높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기존에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했던 이론적 토대, 즉 인과관계의 파악을 통해 마을만들기 방안에 대해 정책방향을 정립하는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현재 마을만들기는 어느 정도 초창기를 지나 안정화를 이루는 단계에 와있는 경우로 판단된다.
  • 이 연구는 마을만들기 정책을 하나의 지역공동체 활성화 정책으로 파악하고 정책집행론 적 관점에서 마을만들기 정책의 집행요인에 관해 분석하였다. 정책집행론적 관점은 어떤 요인으로 인하여 마을만들기 정책이 성공적이거나 혹은 그렇지 못한 집행성과를 확보하게 되는지, 그 집행과정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는 이론적인 틀을 제시해 주고 있다.
  • 우선적으로는 어떠한 정책집행의 접근방식이 마을만들기 즉,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는데 적합한 것인가를 검토해야 한다. 통합적 접근방식에서 언급하듯이, 가장 집행가능성이 높은 수단을 선택하는 방식을 선택해야 하는데 이 연구 역시 그러한 논의에 동의하고 그러한 방식을 차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공동체란? 지역공동체의 개념적 정의는 ‘지리적으로 한정된 지역 안에 거주하면서 상호간 자신들이 살고 있는 장소에 대해 사회적․심리적 유대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Mattessich. et al.
리빙랩의 혁신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활동 4가지는? 리빙랩 활동의 요소들은 사용자 중심과 ‘함께’ 라는 개념이 내포되어 있으며, 리빙랩의 혁신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활동은 탐색, 실험, 평가, 공동창조의 4가지 과정이 있다. 탐색(exploration)은 실생활에서의 아이디어와 그것의 구현을 위한 시나리오 형성, 실험 (experimentation)은 실생활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리빙랩의 기술플랫폼을 활용하여 제 품․서비스 프로토타입에 대한 다각적 실험 수행, 평가(evaluation)는 사용자(공동체)를 포함하여 실제 활용성을 포함한 정성적 측면의 평가, 공동창조(co-creation)는 설계 개발 과정에서 생산자와 사용자가 함께 참여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상향적, 하향적 접근방식을 통합하는 방식의 장점은? Elmore(1985)는 정책결정자들이 정책프로그램 설계시 하향적 접근방법에 의해 정책 목표를 결정하는 동시에 상향적 접근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수용하여 가장 집행가능성이 높은 수단을 선택하는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양 접근방식을 통합하고자 하였고, Sabatier(1986) 는 상향적 접근방법의 분석단위를 채택하는 동시에 하향적 접근방법의 변수들을 결합하여 양 접근방식을 통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통합적 접근의 장점은 기관의 자원과 능력 등을 고려할 수 있는 동시에 다양한 내부⋅외부 이해관계자의 반응(responsiveness)을 포괄할 수 있다는 것이다(Long and Edward, 2004). 상향식 집행연구이든 하향식 집행연구이든 각각 장점과 한계가 존재하는데, 일반적으로 하향적 접근방법은 정책의 거시적 맥락이나 기관단위에서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고, 행정의 미시적 변화 유도를 연구하기에는 상향적 접근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Thompson,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도훈.문태훈.김동환. (2001). 시스템 다이내믹스. 서울: 대영문화사. 

  2. 김동환. (2009). 시스템 사고: 시스템으로 생각하기. 선학사. 

  3. 성지은 외. (2013). "리빙랩의 운영체계와 사례". STEPI INSIGHT 제 127호, 2013.10.1. 

  4. 전대욱 외. (2013). "주민주도적 마을만들기의 동태적 측면에 관한 연구". 시스템다이내믹스 14(3). 

  5. 전대욱 외. (2014). 선진형 지역공동체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행정자치부. 

  6. 최인수.전대욱. (2012). 지역공동체 마을만들기 사업 추진방안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7. 최인수.전대욱. (2014).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선진형 행.재정적 지원체계 연구. 한국지방행정 연구원. 

  8. 최종원. (1998). "정책집행연구의 이론적 틀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정책학회보. 제7권 제1호. 

  9. Berman, Paul. (1978). The Study of Macro-and Micro-Implementation. Public Policy, 26(2). 

  10. Elmore, Richard. (1985). "Forward and Backward Mapping: Reversible Logic in the Policy Analysis of Public Policy", in Kenneth Hanf and Theo A.J.(eds.), Policy Implementation in Federal and Unitary System, Dordrecht: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1. Hjern, Benny and Chris Hull. (1985). "Small Firm Implementation Creation: An Assistance Structure Explanation", in Kenneth Hanf and Theo A.J.(eds.), Policy Implementation in Federal and Unitary System, Dordrecht: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2. Lipsky, Michael. (1976). "Toward a Theory of Street-Level Bureaucracy", in Willis D. Hawley and Michael Lipsky (eds.), Theoretical Perspectives in Urban Politics, Engelwoods Cliffs, N. J.: Prentice-Hall. 

  13. Long, Edward and Aimee E. Franklin. (2004). "The Paradox of Implementing the GPRA: Top Down Direction for Bottom-Up Implement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4(3). 

  14. Mattessich, P., B. Monsey & C. Roy. (1997). "Community Building: What Makes It Work? A Review of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Community Building." Amherst H. Wilder Foundation: St Paul, Minnesota. 

  15. O'Toole, Laurence J. (2004). "The Theory-Practice Issue in Policy Implementation Research", Public Administration 82(2). 

  16. Sabatier, Paul P. (1986).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to Implementation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and Suggested Synthesis", Journal of Public Policy 6(1). 

  17. Sabatier, Paul P. and Daniel Mazmanian. (1979). "The Conditions of Effective Implementation: A Guide to Accomplishing Policy Objectives", Policy Analysis 5. 

  18. Thompson, James R. (2000). "Reinvention as Reform: Assessing the National Performance Review",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0(6).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