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 위험 지각과 흡연자의 부정적 이미지가 흡연 관련 죄책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Health-Related Physical Risk and Negative Social Image of Smokers on Smokers' Feelings of Guilt Related to Smoking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8 no.4, 2015년, pp.99 - 108  

박하연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강정석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기존의 많은 흡연 연구는 담배 소비 경험을 흡연자의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흡연자는 담배 소비를 통해서 쾌락적 동기나 사회적 동기를 충족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이라는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연자의 담배소비 행동이 흡연자의 이상적 자기개념이나 사회적 자기개념이라는 기준에 부합하지 않을 때 죄책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본 연구는 담배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죄책감이라는 부정적 정서 경험을 중심으로 흡연자의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흡연자는 담배소비가 제공하는 쾌락적 혜택보다 신체적 피해를 더 크게 지각할수록 자신에 대한 죄책감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을 더 강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흡연자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타인에 대한 죄책감을 더 강하게 경험하였다. 또한 자신에 대한 죄책감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은 금연 의향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흡연자 자신에 대한 죄책감(예. 담배가격 인상)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예. 간접흡연이 가족의 건강에 미치는 피해를 보여주는 금연 광고)을 유발하는 금연 캠페인이 흡연자의 금연 의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ajority of past studies have tried to investigate cigarette consumption in terms of smoker's cognitive aspects. However, smokers may experience feelings of guilt as a negative emotion while satisfying hedonic and social motive via cigarette consumption. Particularly, feelings of guilt associ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urnett & Lustford, 1994)만 관심을 가졌던 흡연에 의해서 발생하는 흡연자의 죄책감이라는 부정적 정서 경험을 중심으로 흡연자의 흡연 행동 이면의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1) 흡연과 관련된 흡연자의 죄책감이 발생하는지, (2) 어떤 종류의 죄책감이 발생하는지, (3) 흡연으로 인해 발생하는 건강관련 위험 지각과 흡연자에 대한 사회적인 부정적 이미지 지각이 흡연자의 죄책감을 유발하는지 그리고(4) 흡연자의 죄책감이 금연 의향을 높이는지에 관해서 알아볼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먼저 흡연 행동에 의해서 유발되는 흡연자의 죄책감과 관련된 개념적 연구 모형을 개발하고 주요변인을 중심으로 가설을 설정한 후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 가설의 검증 목적은 2개의 연속형 독립 변인이 1개의 연속형 종속 변인에 미치는 각각의 독립된 개별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개의 독립 변인이 동시에 종속 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배제하기 위해서 중다 회귀 분석을 이용해서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Table 2 참조).
  • 본 연구는 Figure 1에서 제시한 연구 모형 중 (1) 죄책감 유발 요인(흡연으로 인해 발생하는 건강 관련 위험 지각과 흡연자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이미지 지각)과 죄책감의 관계 그리고 (2) 죄책감과 금연 의향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 8%로 다른 연령대와 성별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본 연구는 고위험군에 해당되는 이들의 담배 소비라는 쾌락적이고 사회적인 소비 심리를 이해하고 효과적인 금연 캠 페인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30대 남성 흡연자를 설문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국내 온라인 리서치 회사 패널 멤버인 총 205명의 30대 남성 흡연자가 본 설문 조사에 온라인으로 참여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소수 연구자들(예. Burnett & Lustford, 1994)만 관심을 가졌던 흡연에 의해서 발생하는 흡연자의 죄책감이라는 부정적 정서 경험을 중심으로 흡연자의 흡연 행동 이면의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고자 한다.
  • 위계적 회귀분석)를 실시해야만 연구 가설을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전 담배 소비 기간과 1일 흡연량이 금연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먼저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흡연이란 무엇인가? , 2011).흡연은 담배라는 상품을 소비하는 행동이기 때문에 소비의 한 종류이며, 앞서 논의한 흡연 동기 측면에서 보면 흡연은 쾌락적이고 사회적인 소비 행동에 해당한다. 소비 상황에서 쾌락과 죄책감은 매우 강하게 연합되어 있기 때문에(Goldsmith et al.
흡연자가 담배를 피우는 심리적 이유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니코틴 중독이나 습관성 흡연을 제외하고 흡연자가 담배를 피우는 심리적 이유는 쾌락적 동기와 사회적 동기로 구분 된다. 담배 소비에서 느낄 수 있는기분 전환, 스트레스 해소 등의 경험이 소비의 목적이 되는 경우 쾌락적인 동기로 볼 수 있으며, 다른흡연자와의 친교, 대인관계에서 타인에게 멋있어 보이기 등은 사회적 동기라고 할 수 있다(Baker et al.
흡연자가 자신의 죄책감을 해소하려고 노력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흡연자가 경험하는 자신의 흡연과 관련된 죄책감은 그 대상이 자신이든 타인이든 관계가 없이 부정적인 정서이다. 따라서 흡연자는 자신의 죄책감을 해소하려고 노력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ker, T. B., Brandon, T. H., & Chassin, L. (2004). Motivational influences on cigarette smok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5, 463-491. 

  2. Baumeister, R. F., Stillwell, A. M., & Heatherton, T. F. (1994). Guilt: an interpersonal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15(2), 243-267. 

  3. Berlin, I., Singleton, E. G., Pedarriosse, A. M., Lancrenon, S., Rames, A., Aubin, H. J., & Niaura, R. (2003). The modified reasons for smoking scale: factorial structure, gender effects and relationship with nicotine dependence and smoking cessation in French smokers. Addiction, 98(11), 1575-1583. 

  4. Burnett, M. & Lunsford, D. A. (1994). Conceptualizing guilt in the consumer decision-making proces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1(3), 33-43. 

  5. Cho, H. (2006). Investigating structural changes competing smoking types and their advertising responses through the progress of anti-smoking campaign: a case analysis of the 2005-2006 anti-smoking campaign.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8(4), 232-266. 

  6. Choi, N., Ahn, R., & Na, K. (2011). A study of thinking style and consumption behavior in comsumer's decision making.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4(2), 279-292. 

  7. Dahl, D. W., Honea, H., & Manchanda, R. V. (2003). The nature of self-reported guilt in consumption contexts. Marketing Letters, 14(3), 159-171. 

  8. De Hooge, I. E., Zeelenberg, M., & Breugelmans, S. M. (2007). Moral sentiments and cooperation: differential influences of shame and guilt. Cognition and Emotion, 21(5), 1025-1042. 

  9. Dillard, A. J., McCaul, K. D., & Klein, W. M. (2006). Unrealistic optimism in smokers: implications for smoking myth endorsement and self-protective motivatio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supplement 1), 93-102. 

  10. Evans, W. D., Price, S., Blahut, S., Hersey, J., Niederdeppe, J., & Ray, S. (2004). Social imagery, tobacco independence, and the truth(R) campaig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9(5), 425-441. 

  11. Fisher, M. (October 19, 2012). Who smokes most: a surprising map of smoking rates by country.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from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worldviews/wp/2012/10/19/who-smokes-most-a-surprising-map-of-smoking-rates-by-country/ 

  12. Goldsmith, K., Cho, E. K., & Dhar, R. (2012). When guilt begets pleasure: the positive effect of a negative emo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9(6), 872-881. 

  13. Halpern, M. T. (1994). Effect of smoking characteristics on cognitive dissonance in current and former smokers. Addictive Behaviors, 19(2), 209-217. 

  14. Herbert, R. J., Gagnon, A. J., Rennick, J. E., & O'Loughlin, J. L. (2011). 'Do it for the kids':barriers and facilitators to smoke-free homes and vehicles. Pediatric Nursing, 37(1), 23. 

  15. Hofstede, G. (1984).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Newbury, CA: SAGE Publications. 

  16. Kang, J. & Lin, C. A. (2015). Effects of message framing and visual-fear appeals on smoker responses to antismoking ads.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0(6), 647-655. 

  17. Lascu, D. N. (1991). Consumer guilt: examining the potential of a new marketing construc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8(1), 290-295. 

  18. McKenna, F. P., Warburton, D. M., & Winwood, M. (1993). Exploring the limits of optimism: the case of smokers' decision making.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4(3), 389-394. 

  19. McMaster, C. & Lee, C. (1991). Cognitive dissonance in tobacco smokers. Addictive Behaviors, 16(5), 349-353. 

  20. Mishra, A. & Mishra, H. (2011). The influence of price discount versus bonus pack on the preference for virtue and vice food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8(1), 196-206.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 Book 2014 (2014년 보건복지통계연보), Seoul,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2. Moorman, M. & Van den Putte, B. (2008). The influence of message framing, intention to quit smoking, and nicotine dependence on the persuasiveness of smoking cessation messages. Addictive Behaviors, 33(10), 1267-1275. 

  23. Nelissen, R. & Zeelenberg, M. (2009). When guilt evokes self-punishment: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a dobby effect. Emotion, 9(1), 118. 

  24. Pechmann, C. & Knight, S. J. (2002).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joint effects of advertising and peers on adolescents' beliefs and intentions about cigarette consump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9(1), 5-19. 

  25. Peterson, R. A. (1994). A meta-analysis of Cronbach's coefficient alpha.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1(2), 381-391. 

  26. Robinson, J. & Kirkcaldy, A. J. (2007). 'You think that I'm smoking and they're not': why mothers still smoke in the home. Social Science & Medicine, 65(4), 641-652. 

  27. Schmader, T. & Lickel, B. (2006). The approach and avoidance function of guilt and shame emotions: comparing reactions to self-caused and other-caused wrongdoing. Motivation and Emotion, 30(1), 42-55. 

  28. Sirgy, M. J. (1982). Self-concept in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3), 287-300. 

  29. Strahilevitz, M. A. & Myers, J. (1998). Donations to charity as purchase incentives: how well they work may depend on what you are trying to sell.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4(4), 434-446. 

  30. Stuteville, J. R. (1970). Psychic defenses against high fear appeals: a key marketing variable. Journal of Marketing, 34(2), 39-45. 

  31. Tangney, J. P., Miller, R. S., Flicker, L., & Barlow, D. H. (1996). Are shame, guilt and embarrassment distinct emo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6), 1256-1269. 

  32. Topa, G. & Moriano, J. A. (2010).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smoking: meta-analysis and SEM model. Substance Abuse and Rehabilitation, 1, 23-33. 

  33. Tyas, S. L. & Pederson, L. L. (1998).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 smoking: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Tobacco Control, 7(4), 409-420. 

  34. Wallendorf, M. & Belk, R. W. (1989). Assessing trustworthiness in consumer research. In: E. Hirschman (Ed.), Interpretive Consumer Research, Provo, UT: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69-84. 

  35. Westbrook, R. A. & Oliver, R. L. (1991). The dimensionality of consumption emotion patterns and consumer satisfac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8(1), 84-91. 

  36. Wewers, M. E., Ahijevych, K. L., Chen, M. S., Dresbach, S., Kihm, K. E., & Kuun, P. A. (2000). Tobacco use characteristics among rural Ohio Appalachians. Journal of Community Health, 25(5), 377-388. 

  37. Woo, S. (2010). Brand Psychology (브랜드 심리학), Seoul: Hakjisa. 

  38. Yeoun, M. (2010). Cross-cultural comparison of individualism among Chinese, Japanese, Netherlander and Korean.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3(1), 1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