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실습중심 농업교육프로그램의 교육내용적 특성, 학습태도, 만족도 간의 구조 관계 분석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atisfaction, Learning Attitude, Educational Contents Characteristic of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Field Training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2 no.4, 2015년, pp.435 - 444  

차승봉 (강릉원주대학교 기초교육원) ,  남민우 (목원대학교 교수학습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and learning more properties in agricultural college education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del was accepted according to the some goodness of fit statistics such as ${\chi}^2$(84.28, p>.05), RMR(.03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사회구성원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도덕성과 윤리와 같은 ‘농업인으로서의 기본적 소양’을 키우는 것이다. 둘째, 산업혁명이후 급속도로 발전하는 생산력을 농업부분에 흡수하여 다른 산업과 균형 있는 발전을 할 수 있도록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다. 셋째, 교육대상자를 농업경영자 및 농업기술자로 양성하여 지역사회와 나아가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따라서 기능, 지식 등을 전문적으로 습득하기위한 능력과 학습동기, 성취동기 등의 태도적인 변화를 수용하는 교육(education), 훈련(training), 개발(development)의 정의를 포함하고 있다(김학섭, 2015; 박용석, 2014; 양지영, 2011;유성희, 2013). 따라서 교육훈련의 궁극적인 목적인 참여자들에게 지식, 기술, 태도의 개선 및 향상과 조직 및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교육내용, 교육방법, 강사의 능력 등이며, 이들 중 교육내용이 가장 핵심적인 중요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교육내용적 특성을 유용성과 타당성, 용이성으로 구성한 것은 교육관련 기술수용모델 연구와 교육훈련프로그램의 많은 연구에서 교육내용의 학업이나 업무관련성, 교육내용의 이해도나 쉬운 정도, 교육과정이나 내용이 실제 환경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가의 여부를 기본 변인으로 구성하여 연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을 고려하여 교육훈련의 내용적 특성에 내용 유용성, 타당성, 용이성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프로그램 특성이 현장실습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교육내용적 특성을 중요 변인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개인의 긍정적 학습경험을 나타나는 학습태도와 교육훈련 반응의 만족도를 주요 변인으로 선정하여 연구모델의 경로를 설정하였다 <그림 1>.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대 미래 전문경영인 과정과 같이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였을 때, 학습자들의 지속적 참여를 높이고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하나의 요인으로서 개인의 경험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의 긍정성을 나타내는 학습태도와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적 특성(유용성,타당성, 용이성)이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구조적 관계를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농업 관련 대학 재학생들이 졸업 후 진로를 농업분야로 결정할 수 있도록 유인하고자 농업의 현장을 경험으로 체득할 수 있도록 현장실습중심 교육프로그램인 농대 미래전문농업경영인 과정의 만족도 높이기 위하여 관련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델의 경로도와 가설을 검증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내용과 학습태도로 선정하였다. 교육내용이 직무와 관련되어 있으며, 현장 업무에 유용한 것과 배우기에 위운 정도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본적인 가정이며, 학습태도는 교육에 대한 긍정성으로 만족에 의한 재참여, 학습지속의향 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내용적 특성을 유용성과 타당성, 용이성으로 구성한 것은 교육관련 기술수용모델 연구와 교육훈련프로그램의 많은 연구에서 교육내용의 학업이나 업무관련성, 교육내용의 이해도나 쉬운 정도, 교육과정이나 내용이 실제 환경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가의 여부를 기본 변인으로 구성하여 연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을 고려하여 교육훈련의 내용적 특성에 내용 유용성, 타당성, 용이성으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낮아진 원인은? 현대 농업은 시대적으로 많은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산업화부터, WTO, FTA 등으로 인해 농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낮아지고, 사회 경제 분야에서의 비중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작금의 대학에서 농업교육은 농업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뿐만 아니라 새로운 지식의 창출기능도 수행한다.
대학의 농업교육에서 무엇을 수행하는가? 산업화부터, WTO, FTA 등으로 인해 농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낮아지고, 사회 경제 분야에서의 비중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작금의 대학에서 농업교육은 농업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뿐만 아니라 새로운 지식의 창출기능도 수행한다. 과거 농업계 대학에서 생산기반의 전문인력 양성이 주를 이루던 교육과정도 자연공학, 생명공학 등 새로운 학문과 연계하여 새로운 탈출구를 모색하고 있다.
농업계 대학이 농업교육 본연의 목적 달성을 위한 전문화와 영농 기반의 후계인력 양성을 위해, 국가 정책에 발맞추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은? 이에 농업계 대학은 농업교육 본연의 목적 달성을 위한 전문화와 영농 기반의 후계인력 양성을 위하여 국가 정책에 발 맞추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990년대부터 농업에 대한국가의 지원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1993년에 국고30억~50억 정도를 지원, 국립농과대학 특성화 대학지원사업을 시행하였다. 2006년부터 2011년까지 농과대학에 현장실습, 인턴교육, 성공사례 및 해외연수 등의 교육과정을 지원하는 농대 영농정착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운영하였다(김형주,배성의, & 김정태, 2015). 2012년부터는 농림수산교육문화정보원은 농업 관련 대학 재학생들이 졸업 후 진로를 농업 분야로 결정할 수 있도록 유인하고자 하였다. 농업의 현장을 경험으로 체득할 수 있도록 현장실습 중심으로 주요 프로그램이 구성된 농대 미래전문농업경영인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김학섭, 2015; 김형주, 배성의, & 김정태,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곽기상. (1988).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학습에 대한 태도와 그 관련변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권영길. (2006).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만족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노인복지 연구 , 33, 103-125. 

  3. 김기석. (1980). 학습습관검사 해설 및 시행요칙. 서울: 코리언테스팅 센터. 

  4. 김미량, & 김진숙. (2007).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한 학 습자의 태도 및 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10), 44-58. 

  5. 김진모, 김진군, 마상진, 전영욱, 이진화, & 주현미. (2007).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 자원개발 , 39(1), 99-116. 

  6. 김학섭. (2015). 농업교육훈련의 학습전이 관련 요인간 구조적 관계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현영. (2010). 업무환경, 프로그램, 학습자특성, 학습 성과, 전이의 구조적 관계.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형주, 배성의, & 김정태. (2015). 농학계 대학의 실태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농학계 대학 교수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2), 23-46. 

  9. 남민우. (2010). 대학생 모바일 러닝 사용의도와 관련 요인 구조방정식 모델.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박성열, & 남민우. (2012). 정보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대학생 모바일러닝 사용의도와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18(1), 51-75. 

  11. 박성열, 차승봉, & 문승태. (2015).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사이버교육 이용의도 영향요인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7(1), 1-25. 

  12. 박성열, 최승철, 차승봉, 김재선, & 송민영. (2011). 기술수용모델(TAM)을 이용한 농업교육프로그램 참여 의향도 분석과 향상 방안. 농업경영.정책연구, 38(3), 475-502. 

  13. 박성열, 최승철, 차승봉, 정승화, & 김기주. (2012).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한 농업마이스터 대학 교육프로그램 교육효과성 연구. 농업경영.정책연구 , 39(1), 21-49. 

  14. 박용석. (2014). 교육훈련프로그램 특성이 학습전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박혜진. (2008). 웹기반학습에서 학습몰입과 인터넷 중독이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박혜진. (2013). SNS 활용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박혜진, & 유병민. (2014). SNS 활용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과 학습몰입,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으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 20(4), 675-704. 

  18. 유평준. (2003). 원격교육에서 운영의 중요성과 교수자, 운영자, 학습자의 역할에 대한 논의. 한국원격교육학회, 3(1), 161-178. 

  19. 양지영. (2011). 개인적 특성, 교육훈련 프로그램 및 조직환경 특성용인이 은행서비스 교육훈련 전이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민규. (1994). 대학신입생의 입학성적과 학업수행에 대한 일 연구. 아주대학교 학생생활연구 , 8, 39-55. 

  21. 장우환, 정호찬, & 이순석. (2011).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율성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3(3), 95-117. 

  22. 정철영, 박행모, 강대구, 나승일, 김진모, 이찬, & 정진철. (2007). 농업교육학 개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3. 조아라, & 노석준. (2013). 원격대학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몰입, 학습태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29(4), 849-879. 

  24. Astin, A. W. (1993).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cisco, CA: Jossey-Bas. 

  25. Bloom, B. S.(1976).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New York: McGraw-Hill. 

  26. Chemers, M. M. (2001). Academic self-efficacy and first-year college student performance and adjust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3(1), 55-64. 

  27.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28. Gardner, R. C. (2004). The attitude/motivation test battery: International AMTB research project.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Canada. 

  29. Guilford, P. (1959). Personality.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30. Harvey, L. (2001). Student feedback: A report to the higher education funding council for England. Centre for Research into Quality. the University of Central England in Birmingham. 

  31. Keller, J. (1983).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 C. Reigeluth (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pp. 386-434). Hillsdale, NJ: Erlbaum. 

  32. Kirkpatrick, D. L. (1994).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33. Park, S. Y. (2009). An analysi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understanding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e-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2(3), 150-162. 

  34. Phillips, J. (1997). Return on investment: In training and performance improvement programs. Houston, Texas: Gulf Publishing Company. 

  35. Richardson, J. C., & Swan, K. (2003). Examining social presence in online courses in relation to students' perceived learning and satisfaction.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7(1), 68-88. 

  36. Shin, N. (2003). Transactional Presence as a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Distance Education, 24(1), 69-86. 

  37. Subramaniam, P. R., & Silverman, S. (2000). Validation of scores from an instrument assessing student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Measurement in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Science, 4, 29-43. 

  38. Swan, K., Shea, P., Fredericksen, E., Pickett, A, Pelz, W., & Maher, G. (2000). Building knowledge building communities: Consistency, contact and communication in the virtual classroom.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23(4), 389-413. 

  39. Taylor, S., & Todd, P. (1995). Assessing IT usage: The role of prior Experience. MIS Quarterly, 19(4), 561-570. 

  40. Wachtel, H. K. (1998). Student evaluation of college teaching effectiveness: A brief review.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23(2), 91-211. 

  41. Wolman, B. (1989). Dictionary of behavioral science. SD: Academic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