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리당화액을 첨가한 시럽의 제조와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yrup made with Saccharified Barley Liquid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1 no.6 = no.75, 2015년, pp.242 - 254  

김지현 (광주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은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공식품 원료로서 보리의 이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보리시럽 제조에 필요한 보리당화액 제조의 최적조건을 규명하고, 보리당화액을 첨가한 보리시럽을 제조하여 품질특성 분석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겉보리를 발아시킨 엿기름 첨가량을 10%(BM10), 20%(BM20), 30%(BM30)로 하고, 찰보리와 혼합하여 보리당화액을 제조하고, 당화온도는 $50^{\circ}C$, $60^{\circ}C$, $70^{\circ}C$, 당화시간을 1~8시간으로 조건을 달리하여 엿기름 당화의 제조조건을 규명하고자 엿기름물의 시간대별 pH 변화와 당도를 시간대별로 측정한 결과는 $60^{\circ}C$에서 5시간이 적합하였다. 엿기름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60^{\circ}C$에서 5시간 당화시킨 보리당화액 BM10, BM20, BM30에 올리고당과 레몬액을 각각 첨가하고, $65^{\circ}C$에서 1시간 동안 중탕 제조한 보리시럽의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당도는 BMs30의 당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도를 측정한 L값은 엿기름 첨가량이 많은 보리당화액으로 제조한 보리시럽일수록 감소하였고, a값과 b값은 엿기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BMs3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리시럽의 점도와 pH를 측정한 결과는 엿기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BMs3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리시럽의 관능평가 결과, 색, 향, 당도, 점도,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보리에 대한 고정관념과 보리시럽을 기대하고 예상하는 맛이 있어 모든 평가 항목에서 BM20으로 제조한 보리시럽 BMs20이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엿기름 첨가량 20%(BM20)를 첨가하여 $60^{\circ}C$에서 5시간 동안 당화한 최적의 보리당화액으로, $65^{\circ}C$에서 1시간 동안 중탕하여 제조한 당도 $60^{\circ}Brix$ BMs20이 음료베이스용 시럽 및 디저트용 시럽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보리 및 보리가공품 실용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rley is a main food source, along with rice, in our dietary life that is easy to buy and process. It is required to develop a beverage base and barley syrup for desserts in order to raise utilization of barley beyond its present use in Sikhye (sweet fermented rice drink) and Jocheong (grain syr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리가공품으로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엿기름을 당화시킨 보리당화액을 시럽 제조에 활용하여 새로운 대체 감미료개발의 가능성을 연구하였으며, 시럽의 제조를 위한 엿기름 사용량과 당화조건을 나타냈다. 보리시럽은 기호도가 높은 우리나라 전통음료인 식혜의 맛과 향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조청 등을 대신하여, 저장성과 기호성이 높은 집청액으로 조리제품에 다양하게 이용되어 건강식품으로서의 보리소비에 기여할 수 있는 상품성과 시장성을 기대할 수 있다.
  • 엿기름 첨가량을 10%(BM10), 20%(BM20), 30%(BM30)로 달리하여 당화시킨 보리당화액에 시럽의 적정 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올리고당을 첨가하고, 엿기름 특유의 맛과 냄새를 중화시키고 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레몬액을 첨가하여 65℃에서 1시간 동안 물에서 중탕시켜 증발농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리당화액을 첨가한 시럽의 특징을 표현하고자 보리시럽으로 명명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과 심혈관질환의 발생을 억제하고, 충치예방과 다이어트에 좋은 기능성 식품으로서 보리의 이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엿기름물에 찰보리 전분을 첨가한 보리당화액의 제조조건을 확립하고, 시럽에 사용되고 있는 설탕 대신 보리당화액과 올리고당을 첨가한 보리시럽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한 후, 보리의 기능성과 관능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감미료로서 보리가공품을 개발하고, 보리를 실용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엿기름은 식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겉보리를 발아시켜 만든 엿기름은 전분을 분해 하여 당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식혜, 조청, 물엿 등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전통 식품의 소비에 비례하여 엿기름의 소비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Lee YT et al 1999).
보리당화액의 단맛은 어떻게 생성되는가? 엿기름에 함유된 전분분해 효소는 α-amylase, β-amylase, glucoamylase 등이 있으며, α-amylase는 전분의 α-1,4-결합을 무작위로 가수분해시키는 효소로 휴지 상태의 보리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발아 시에 생성된다 (김동훈, 1983). 엿기름으로부터 추출되어 나오는 amylase가 전분을 당화시켜 maltose와 glucose 등이 생성되어 특유의 풍미와 단맛이 생성된다(Suh KH et al 2013). 이러한 엿기름의 특성을 이용하여 제조한 보리당화액을 첨가하는 집청액은 보리의 기능성과 관능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감미료 로서 조리에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어 활용범위가 넓으며, 고유의 특성과 풍미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엿기름에 함유된 전분분해 효소는 무엇인가? 당화효소를 함유한 엿기름에 적정한 수분과 곡류의 전분을 첨가하여 일정한 온도에서 당화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당화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Cho JS et al 2007). 엿기름에 함유된 전분분해 효소는 α-amylase, β-amylase, glucoamylase 등이 있으며, α-amylase는 전분의 α-1,4-결합을 무작위로 가수분해시키는 효소로 휴지 상태의 보리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발아 시에 생성된다 (김동훈, 1983). 엿기름으로부터 추출되어 나오는 amylase가 전분을 당화시켜 maltose와 glucose 등이 생성되어 특유의 풍미와 단맛이 생성된다(Suh KH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국립국어원 (2008),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2. 김동훈 (1983). 식품화학. 탐구당, 200, 서울. 

  3. 농촌진흥청 (2006). 농촌진흥청 식품성분표. 서울. 

  4. 서광희, 서정숙, 이승교, 정현숙 (2012). NEW 영양학. 지구문화사, 36, 경기. 

  5. 조재선, 황성연 (2007). 식품재료학. 문운당, 60-61, 서울. 

  6. 허경택 (1992). 올리고당. 유한문화사, 57, 서울. 

  7. 허채옥, 권순형, 김은미, 원선임, 박용순, 박진희, 김상연, 정경아, 김은영, 박유신 (2012). 기초영양학. 수학사, 32, 서울. 

  8. An YH, Lee IS, Kim H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 with varied levels of sweet pumpkin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7(6):803-814. 

  9. Cha MN, Jun HI, Song GS, Kim YS (2012). The effects of germination conditions on GABA and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44(1):41-47. 

  10. Cho KM, Joo OS (2010). Manufacture of Sikhye a traditional Korean baverage using corn silk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7(5):644-651. 

  11. Cho SH, Cho CY, Ha KS (2013).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of selected barley and wheat inhabited in Korean peninsula. Korean J Food Sci Technol 42(7): 1003-1007. 

  12. Choi JS, Youn JY (2005).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and wheat varie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2):223-229. 

  13. Choi YH, Back JE, Park SY (2014).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jochung processed by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3):414-420. 

  14. Jeong SI, Yu H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 prepared with the roots powder of Doraji. Korean J Food Sci Technol 42(5):759-765. 

  15. Jin TY, Oh DH, Om AS, HO Lee, JB Eun (1994).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cereals for Saengsik. Uncooked food by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2(5):442-448. 

  16. Jo SH, Cho CY, Ha KS (2013).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of selected barley and wheat inhabited in Korean peninsul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7): 1003-1007. 

  17. Ju JE, Byon KE, Lee KA (2007). The effects of oligosaccharid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 sponge cak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4):530-536. 

  18. Kim CT, Cho SJ, Hwang JK (1997). Composition of amino acid, sugars and minerals of domestic wheat varie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2):229-235. 

  19. Kim EH, Maeng YS, Woo SJ (1993). Dietary fiber contents in some cereals and pulses. Korean J Nutr 26(1):98-106. 

  20. Kim HH, Park GS, Jean JR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sikhye prepared with extrats from Hovenia dulcls Thunb. Korean J Food Cookery Sci 23(6): 848-857. 

  21. Kim HS, Cho KH (1980). A study of antifungal activity with Polygonum aviculare Linne. Korean J Mycol 8(1):1-5. 

  22. Kim HY, Hwang IG, Woo KS, Kim KH, Kim KJ (2010). Chemical components changes of winter cereal crops with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1):1700-1704. 

  23. Kim JO, Lee KH (1994). Effect of temperature on color and color-preference of industry-produced kochujang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4):641-646. 

  24. Kim J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a with mulberry fruit. Korean J Culinary Res 18(2):206-215. 

  25. Kim MH, Kim MR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garlic jam prepared with fructooligosaccharid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6):916-922. 

  26. Kim SD, Do JH, Oh HJ (1981). Antioxidant activity of Panax ginseng browning products. J Appl Biol Chem 24:161-166. 

  27. Kim SE, Kim YS (2013). Research of syrup manufacturing with non-marketable cherry tomato fruits. J Agriculture & Life Science 47(4):151-156. 

  28. Ko EJ, Choi YH (1999). Clarification of grape juice by ultrafiltration and membrane fouling characteristics. Food Eng Prog 3(2):57-63. 

  29. Koh JY, Kim KB, Choi SK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ersimmon syrup. Korean J Culinary Res 19(1):139-150. 

  30. Lee KA, Lee YJ, Ly SY (1999). Effects of oligosaccharides on physical,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3):547-553. 

  31. Lee MJ, Kim KS, Kim YK, Choi JS, Park KG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odle containing whole flour of Korean hull-less barley cultivars. Korean J Crop Sci 58(4):459-467. 

  32. Lee WJ, Kim SS (1998). Preparation of Sikhye with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1):146-150. 

  33. Lee YT (1999). Activities of hydrolytic enzymes in barley malts prepared under different germination condition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4):324-329. 

  34. Lee YT, Seo SJ, Chang HG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ley varietics related enzymatic activity in malt. Korean J Food Sci Technol 31(6):1421-1426. 

  35. Lee YT, Seog HM, Kim YS (199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from waxy and non-waxy hull-less barley.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3):240-245. 

  36. Lee YT, Seog HM, Seo MS, Kim SR (2002). Characteristics of barley polyphenol extract (BPE) separated from pearling by-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5):775-779. 

  37. Na SJ, Choi SH, Lee SH, Ahn JS, Kim J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ae made with Monascus anka rice. Korean J Culinary Res 19(3):46-56. 

  38. Newsholme E, Leech AR (1983). Biochemistry for the medical sciences, John wiley & sons Ltd. 468. 

  39. Park IN (2014). Quality properties of glutinous rice added with germinated barley powder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1): 92-100. 

  40. Park JS, Na H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containing various level of letinus edodes pow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7(5):768-775. 

  41. Park SI (2006). Application of green tea powder for Sikhye preparation. Korean J Food Nutr 19(2):227-233. 

  42. Park SJ, Joung YM, Choi MK (2008). 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leaf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 60-65. 

  43. Park SY, Lim HK, Park SG, Cho MJ (2012). Quality and preference changes red sea cucumber(Stichopus japonicus) Kimchi during storage period. J Appl Biol Chem 55(2):135-140. 

  44. Ryu BM, Jeon YS, Song YS, Moon GS (1996).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nchovy added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5:460-469. 

  45. Seog HM (2010). Food characteristics of barley, food culture.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3(3):302-305. 

  46. Sohn KS (2002). Syudies on the clarification and concentration of mixed fruit and vegetable juices, MS Thesis, Taegu University 10-13, Kyungpuk. 

  47. Suh HJ, Chung SH (1997). Characteristics of malt prepared with covered barley, naked barley and whe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3): 417-421. 

  48. Suh HJ, Chung SH, Whang JH(1997). Characteristics of sikhye produced with malt of naked barley covered barley and wh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29(4):716-721. 

  49. Yang HJ, Ryu GH (2010).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Jochung, a grain syrup, with app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132-137. 

  50. Yoo KH, Kim SJ, Jeong JM (2011). Effects persimmon syrup extracted from persimmon and persimmon by-products on blood glucose lev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5):682-688. 

  51. Yoon GS, Go HY (1998). Preparation of waxy barley cake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5):890-896. 

  52. Yoon GS, Kang OJ, Kim HS (198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xy barley starch.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27(2):7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