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 신념에 따른 유아 협동 활동에 대한 관심도 및 실천수준
A Study on Collaborative Activity for Young Children in Term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 on Constructivism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1, 2015년, pp.269 - 287  

한희승 (부경대학교) ,  이정화 (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구성주의 교육 신념에 따라 유아 협동 활동에 대한 관심도와 실태가 상이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담임교사 210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구성주의 교육신념을 측정하고 유아 협동 활동에 대한 관심도 및 실천수준을 조사하였다. 교사의 구성주의 신념에 따른 관심도 및 실천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구성주의 신념 점수를 상, 중, 하로 구분한 후, ${\chi}^2$검증, 일원변량분석(ANOVA), Scheff$\acute{e}$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구성주의 교육 신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유아 협동 활동에 대한 관심도와 실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 협동 활동에 관한 체계적인 교사교육은 물론 교사들의 구성주의 교육신념을 형성 강화시키는 것이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유아 협동 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collaborate learning in early childhood settings in Korea.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realities of and the teachers' perception on collaborative learning would differ in terms of the teachers' belief on constructivism. To achieve this purpo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성주의 교육 신념에 따른 유아교사의 유아 협동 활동에 대한 관심도와 실천수준 이 어떠한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를 유아 협동 활동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천수준으로 나누어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협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개별 활동과 대칭되는 의미에서의 협동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를 알아보고자 하기에 협동학습과 협력학습을 구분하기보다는 집단 구성원 모두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공동의 목표나 과제를 위해 함께하는 집단학습 상황(Dillenbourg, 1999; Johnson, Johnson, & Holubec, 1994/2001)을 협동 활동으로 보기로 하겠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 협동 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와 구체적인 실천 양상이 교사의 구성주의 교육 신념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파악해 보고자 한다. 구성주의 신념 수준이 높은 교사들은 낮은 교사들보다 구성주의 교육관에 대한 이해도가 보다 높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연구자들은 구성주의 신념수준이 높은 교사들이 낮은 교사들에 비해 협동학습에 대한 관심과 실천 의지가 더 높게 나타날 것을 가정하였다.

가설 설정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 협동 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와 구체적인 실천 양상이 교사의 구성주의 교육 신념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파악해 보고자 한다. 구성주의 신념 수준이 높은 교사들은 낮은 교사들보다 구성주의 교육관에 대한 이해도가 보다 높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연구자들은 구성주의 신념수준이 높은 교사들이 낮은 교사들에 비해 협동학습에 대한 관심과 실천 의지가 더 높게 나타날 것을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이 실증적으로 확인될 경우 현장에서 유아 협동 활동의 효과적인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둘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구성주의 교육신념에 따라 유아 협동 활동의 실천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 첫째, 유아 협동 활동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이다. 유아교사들의 협동 활동에 대한 관심도는 대체로 높았으며 구성주의 교육신념이 높은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구성주의 교육신념에 따라 유아 협동 활동에 대한 관심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력학습이 주로 어린 연령의 학습자에게 적용되는 이유는? 협동 학습(cooperative learning)이란 소집단의 학습자들이 동일한 학습목표를 향하여 함께 활동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매우 구조화되거나 조직화된 학습방법으로 직소우 협동학습(jigsaw method)을 예로 들 수 있다(Slavin, 1983). 이에 반해 협력학습(collaborative learning)은 ‘공유된 이해(shared understanding)' 발달을 목표로 하나의 과제를 함께 수행하는 학습방법(Summers, 2006)으로 형식적인 학습전략이 거의 사용되지 않고 상호작용적 대화와 놀이가 격려된다 (Vermette, Harper, & DiMillo, 2004). 따라서 협력학습이라는 용어는 주로 어린 연령의 학습자에게 적용되는 (Tolmie, Topping, Christie, Donaldson, Howe, Jessiman, Livingston, & Thurston, 2010) 경향이 있다.
협동 학습이란? 협동 학습(cooperative learning)이란 소집단의 학습자들이 동일한 학습목표를 향하여 함께 활동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매우 구조화되거나 조직화된 학습방법으로 직소우 협동학습(jigsaw method)을 예로 들 수 있다(Slavin, 1983). 이에 반해 협력학습(collaborative learning)은 ‘공유된 이해(shared understanding)' 발달을 목표로 하나의 과제를 함께 수행하는 학습방법(Summers, 2006)으로 형식적인 학습전략이 거의 사용되지 않고 상호작용적 대화와 놀이가 격려된다 (Vermette, Harper, & DiMillo, 2004).
사회·정서적 측면에서 협동 활동이 유아에게 주는 긍정적인 효과는? 실제로 협동 활동은 유아의 언어능력, 문제해결력, 창의성, 학업 성취 등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타인과 함께 활동하고자 하는 동기, 내적 통제, 또래와의 상호작용,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안 정감, 학습과 또래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등 사회·정서적 측면에 이르기까지 긍정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강상, 2013, 홍순옥, 정수금, 2003; Battistch & Watson, 2003; Gauvain & Rogoff, 1989; King, 2007; Kutnicka, Otab, & Berdondinib, 2008) 예를 들어, 협동과정에서 유아들 간의 의견 교환을 통해 나타나는 갈등은 또래들에게 지적인 도전을 촉발하게 되는 데 이러한 지적인 도전은 비판적인 사고, 더 높은 수준의 추론, 초인지적 사고를 촉진시킨다. 또 한 협동 과정에서 경험하는 긍정적 상호의존성은 또래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고 서로를 지지하는 학습구조는 개개인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킨다(Johnson & Johnson,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강상 (2013). 성격유형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유아의 과학활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201-220. 

  2. 강인애 (1997). 왜 구성주의인가?-정보화 시대화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서울: 문음사. 

  3. 교육과학기술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구성 방향.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인적자원부 (2007).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돕는 협동 활동 프로그램.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5. 권영례, 이경진, 신옥자 (2011). 협동학습활동이 유아 기하 학습에 미치는 영향. 아동연구, 21(2), 71-85. 

  6. 김랑, 심숙영 (2013). 구성주의 대한 유아교사 신념을 통한 교사개인특성변인, ICT 교수효능감, ICT 불안감과의 관련성 분석. 아동교육, 22(1), 143-161. 

  7. 김수영 (1992).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행위에 관한 연구-대구지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영실 (2009).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교수 적극성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영옥 (2000). 유아의 협동작업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대안적 학습형태의 설계. 유아교육연구, 20(2), 201-222. 

  10. 김종욱, 남정권 (2013). 교사들의 협동학습에 대한 태도 및 인식에 관한 연구. 實科敎育硏究, 19(4), 319-339. 

  11. 김효창 (2013). 혼자서 완성하는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12. 나희주 (1998). 미술 공동작업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주현 (2011).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과 교수실제에 관한 연구-공동 육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변영계, 김광휘 (1999).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5. 서영미 (2012).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 및 실제의 수준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대인문제해결사고.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송응식 (2005). 유아의 협동학습 모형의 탐색에 관한 연구. 제주관광대학논문집, 10, 111-128. 

  17. 양미영 (2013).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구성주의 교육신념 및 교수실제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오선영, 강병재(2002). 유아교사의 교육신념에 따른 역할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역할수행간의 차이. 열린유아교육연구, 7(2), 155-184. 

  19. 이나영, 김영옥, 박형신 (2008). 유아 협동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2), 225-255. 

  20. 이상우 (2009). 살아있는 협동학습. 서울: 시그마프레스. 

  21. 이은정 (2008). 구성주의 교사와 비구성주의 교사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 한국영유아보육학, 54, 209-227. 

  22. 이혜은, 황해익 (2008).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비교 및 연계성 탐색 -탐구생활영역과 수학 및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23-53. 

  23. 임은정 (2007). 유아교사효과 관련 변인 분석: 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정문성, 김동일 (1998). 열린교육을 위한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형성출판사. 

  25. 지성애, 김치곤 (2011). 예비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과학적 태도와 구성주의 교육신념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5(1), 277-300. 

  26. 현윤희 (2013). 구성주의 관점을 가진 유치원 교사의 유아과학교육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홍순옥, 정수금 (2003). 협동 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론총, 12, 1-16. 

  28. 홍정배 (2012). 구성주의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실제에 대한 교사 개인변인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Battistch, V., & Watson, M. (2003). Fostering social development in preschool and early elementary grades through cooperative classroom activities. In R. M Gillies & A. F. Ashman (Eds.), Cooperative learning: The social and intellectual outcomes of learning in groups (pp. 19-35). NY: Routledge Falmer. 

  30. Charlesworth, R., Hart, C. H., Burts, D. C., Thomasson, R. H., Mosley, J., & Fleege, P. (1993). Measur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nd practiv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3), 255-276. 

  31. Czerniak, C. M., & Lump, A. T. (1996).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science education reform.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7(4), 247-266. 

  32. Dewey, J. (1916). Democracy and education. NY: Macmillan. 

  33. Dillenbourg, P. (1999). What do you mean by collaborative learning?. In P. Dillenbourg (Ed), Collaborative-learning: Cognitive and computational Approaches. (pp. 1-19). Oxford: Elsevier. 

  34. Duffy, T. M., & Jonassen, D. H. (1992). Constructivism and the technology of instruction: A conversa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5. Ernest, P. (1995). The one and the many. In L. Steffe & J. Gale (Eds.), Constructivism in education (pp 459-486).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6. Fosnot, C. T. (1996). Constructivism: A psychological theory of learning. In C. T. Fosnot (Ed.),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ce (pp. 8-33).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7. Fosnot, C. T., Gould, J. S., Greene, M., Julyan, C., Lester, J. B., & Schifter, D., et al. (2006).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ve, 구성주의 이론, 관점, 그리고 실제 (조부경, 김효남, 백성혜, 김정준 옮김). 서울: 양서원(원판 2001) 

  38. Gauvain, M., & Rogoff, B. (1989).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children's planing skills. Developmental Psychology, 25(1), 139-151. 

  39. Honebein, P. C. (1996). Seven goals for the design of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In B Wilson (Ed.),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Case studies in instructional design. (pp. 17-24).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40. Johnson, D. W., & Johnson, F. P. (2012). Joining together: Group theory and group skills (11th ed.). Englewood Cliffs, NJ: Pearson. 

  41. Johnson, D. W., & Johnson, R. T. (1994).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Boston, MA: Allyn and Bacon. 

  42. Johnson, D. W., Johnson, R. T., & Holubec, E. (2001). Cooper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학생들과 함께하는 협동학습(추병완 옮김). 서울: 백의(원판 1994). 

  43. Jollife, W. (2007). Cooper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Putting it into practice. London: Paul Chapman Publishing. 

  44. Jonassen, D. (1991). Evaluating constructivist leaning. Educational Technology, 36(9), 28-33. 

  45. Kagan, S. (1999). Cooperative Learning, 협동학습(기독초등학교 협동학습 연구모임 옮김). 서울: 디모델(원판 1998). 

  46. Katz, L. G., & Chard, C. S. (1989). Engaging children's mind: The project approach. Norwood, NJ : Ablex. 

  47. King, N. (2007). Developing imagination, creativity, and literacy through collaborative story making: A way of knowing. Havard Educational Review, 77(2), 204-227. 

  48. Kutnicka, P., Ota, C., & Berdondinib, L. (2008). Improving the effects of group working in classrooms with young school-aged children: Facilitating attainment, interaction and classroom activity. Learning and Instruction, 18(1), 83-95. 

  49. Kuykendall, J. (1993). "Please," "Thank you," "You're welcome": Teacher language can positively impact prosocial development. Day Care and Early Education 21(1), 30-32. 

  50. Lumpe, A. T., Haney, J. J., & Czernaik, C. M. (1998). Science teacher beliefs and intentions regarding the use of cooperative learn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8(3), 123-135. 

  51. Marril, M. D. (1991). Constructivism and instructional design. Educational Technology, 31(5), 45-53. 

  52. Mayer, R. (1985). Recent research on teacher beliefs and its use in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53. Robinson, H., & Schwartz, S. L. (1982). Designing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Boston, MA: Allyn and Bacon. 

  54. Saracho, O. N. (1989). An analytic scheme to compa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lassroom behaviors and environment.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49(1), 37-55. 

  55. Slavin, R. E. (1983). Cooperative learning. NY: Longman. 

  56. Spodek, B. (1987). Thought processes underlying preschool teachers' classroom decision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29(2), 197-208. 

  57. Summers, J. J. (2006).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math on sixth graders' individual goal orientations from a socio constructivist perspective.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6(3), 273-290. 

  58. Tolmie, A. K., Topping, K. J., Christie, D., Donaldson, C., Howe, C., Jessiman, E., Livingston, K., & Thurston, A. (2010). Social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primary schools. Learning and Instruction, 20(3), 177-191. 

  59. Vermette, P., Harper, L., & DiMillo, S. (2004). Coopera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with 4-8 year olds: How does research support teachers' practice?. Journal of Instructional Psychology, 31(2), 130-134. 

  60. Wordsworth, B. J. (1996). Piaget's theory of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Foundations of constructivism (5th ed.). White Plains, NJ: Longman. 

  61. Yonemura, M. (1979). Teacher talk. Childhood Education, 55(3), 152-1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