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지장애 노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Attitude About the Elderly for Nursing Students: A learning approach based on an elderly-with-cognition-disorder scenario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1 no.1, 2015년, pp.54 - 64  

김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허나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전혜진 (나사렛대학교) ,  정덕유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based on caring for elderly cognition disorder patients. The education consisted of a caring program for patients that included a process of assessment of a patient's mental status, diagnosis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인지장애 노인 간호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노인 간호 교육에서 시뮬레이션 교육의 활용 가능성을 논의 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시나리오는 별도의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으로 운영되는 것은 아니며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노인 간호학 이론과 임상 실습에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대상자는 노인 간호학 임상실습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인지장애 노인으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인지장애 노인 간호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인지장애 노인 간호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노인 간호 교육에서 시뮬레이션 교육의 활용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인지장애를 가진 노인 대상자 시나리오와 고성능 환자 모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유사실험 설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대상자들이 속해있는 대학교의 교과과정 운영은 학번에 따라 전체 학생이 두 군으로 나뉘어 전반부 강의 후 1차 실습이 있고, 후반부 강의 후 2차 실습이 진행되는 block system으로 운영되고 있다. 실험군과 대조군이 전반부, 후반부로 나뉘어 서로 다른 기관에서 실습을 하므로, 연구자는 각각의 장소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두 군 간의 확산효과를 통제하고자 하였다. 사후조사는 실험 군은 시뮬레이션 교육 후 다음 2차 임상 실습 전에 조사하였고, 대조군은 1차 임상 실습 후에 조사하였다.
  • 인지적 영역과 정신운동적 영역 목표 달성을 통해 적절한 진단과 중재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의사소통 영역은 인지장애 대상자, 의료팀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수행하고 효율적인 팀워크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를 통해 치료적 의사소통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간호대학생은 자신을 소개하고 대상자의 속도에 맞추어 천천히 말하되 어린아이 대하듯 하지 말고 반드시 존칭어를 사용하며 대상자의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전달내용을 관심 있게 수용하고 지지하며 대상자와 상호작용하여 반응해야 하며, 다양한 대화 내용은 대상자에게 혼돈을 주므로 한 가지에 대해 말하고 대화에 초점을 둘 수 있도록 수행해야 한다.
  • , 2012), 노인이 필요로 하는 간호는 신체적 측면 뿐 아니라 사회적, 심리적 측면까지 포함하고 있다(Jeong, 20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지장애 입원 노인으로 선정하여 노인 대상자의 신체, 정서적 특성을 반영한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평가하고자 하였다.
  • 정신운동적 영역은 관찰하고 모방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조작하고 정확하게 실제상황에서 적절하게 행동하는 수준까지 달성하는 것으로 인지장애가 있는 대상자에게 신경학적 사정, 간이정신 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사정하고 중재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인지적 영역과 정신운동적 영역 목표 달성을 통해 적절한 진단과 중재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의사소통 영역은 인지장애 대상자, 의료팀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수행하고 효율적인 팀워크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를 통해 치료적 의사소통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인지장애 노인 간호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 후 의사소통 능력은 교육 전보다 높을 것이다.
  • ‘인지장애 노인 간호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 후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교육 전보다 높을 것이다.
  • · 가설 1-1: 인지장애 노인 간호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 후 의사소통 능력은 교육 전보다 높을 것이다.
  • · 가설 1-2: 인지장애 노인 간호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받은 군(이하 실험군)과 제공받지 않은 군(이하 대조군) 의 의사소통 능력의 전후 차이는 유의할 것이다.
  • · 가설 2-1: 인지장애 노인 간호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 후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교육 전보다 높을 것이다.
  • · 가설 3-2: 인지장애 노인 간호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의 노인에 대한 태도 전후 차이는 유의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 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장점은 무엇인가? 시뮬레이션 교육은 가상 상황을 실제에 가깝게 구성하여 간호대학생이 안전한 환경에서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Kameg, Howard, Clochesy, Mitchell, & Suresky, 2010), 간호대학생의 미숙한 술기로 인해 간호대상자에게 끼칠 수있는 위험요소를 배제하여 임상실무 교육을 적용할 수 있으며, 술기를 수행하는 실패의 경험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Lewis, Strachan, & Smith, 2012). 이러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로 인해 최근 국내 간호 교육에서는 시뮬레이션 교육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Lee, Cho, Yang, Roh, & Lee, 2009).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에서 자기효능감을 파악 하고 이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학습자가 자신의 학업적 수행 능력에 대해 보이는 기대나 신념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자가 새로운 상황에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고 수행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로 학습자의 지식과 수행에 대한 개인의 자신감의 정도를 나타낸다(Bandura, 1986). 기존에 보고된 연구들은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에서 원하는 수행이나 기술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인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이 주를 이루었으나, 이를 학업적 지식 습득과 연관 시킬 수 있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으로 구체화시켜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파악 하고 이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시뮬레이션 교육은 간호대학생에서 무엇을 제공하는가? 시뮬레이션 교육은 가상 상황을 실제에 가깝게 구성하여 간호대학생이 안전한 환경에서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Kameg, Howard, Clochesy, Mitchell, & Suresky, 2010), 간호대학생의 미숙한 술기로 인해 간호대상자에게 끼칠 수있는 위험요소를 배제하여 임상실무 교육을 적용할 수 있으며, 술기를 수행하는 실패의 경험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Lewis, Strachan, & Smith, 2012). 이러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로 인해 최근 국내 간호 교육에서는 시뮬레이션 교육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Lee, Cho, Yang, Roh, & Lee,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lan, J. D., & Aldebron, J. (2008). A systematic assessment of strategies to address the nursing faculty shortage, U. S. Nursing Outlook, 56, 286-297. 

  2. Bambini, D., Washburn, J., & Perkins, R. (2009). Outcomes of clinical simulation for novice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onfidence, clinical judgment.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2), 79-82. 

  3.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4. Choi, K. B. (2012). The effect of elderly nursing care education programs on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nursing performance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 522-532. 

  5. Choi, S. J., Kwon, M. S., Kim, S. H., Kim, H. M., Jung, Y. S., & Jo, G. Y. (2013). Effects of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nursing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health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97-105. 

  6.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7. Gebhardt, M. C., Sims, T. T., & Bates, T. A. (2009). Enhancing geriatric content in a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4), 245-248. 

  8. Holroyd, A., Dahlke, S., Fehr, C., Jung, P., & Hunter, A. (2009). Attitudes toward aging: implications for a caring profess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8(7), 374-380. 

  9. Hur, G. H. (200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7(6), 380-408. 

  10. Hur, H. K., & Park, S. M. (2012). Effects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for emergency care of patients with dyspnea, on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110-118. 

  11. Hur, H. K., & Roh, Y. S. (2013). Effects of a simulation based clinical reasoning practice program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5(5), 574-584. 

  12. Jeong, H. S. (2012). Need for gerontological nursing education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19(1), 19-27. 

  13. Johnson, E. A., Lasater, K., Hodson-Carlton, K., Siktberg, L., Sideras S., & Dillard, N. (2012). Geriatrics in simulation: role modeling and clinical judgment effect.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3(3), 176-80. 

  14. Kameg, K., Howard, V. M., Clochesy, J., Mitchell, A. M., & Suresky, J. M. (2010). The impact of high fidelity human simulation on self-efficacy of communication skill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31(5), 315-323. 

  15. Kim, A., & Park, I. Y. (2001).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1), 95-123. 

  16. Kim, M. H. (2011).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Helath Service Management, 5(4), 113-126. 

  17. Kim, Y. O., Bae, Y. S., Kim, S. M., & Yang, J. J. (2010). The effects of web-contents learning for adult-care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5-13. 

  18. Lee, S. E. (2011). Evaluation of the standardized patients(SP) managed instruction for a clinical maternity nursing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1), 14-24. 

  19. Lee, W. S., Cho, K. C., Yang, S. H., Roh, Y. S., & Lee, G. Y. (2009).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64-72. 

  20. Lewis, R., Strachan, A., & Smith, M. M. (2012). Is high fidelity simulation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non-technical skills in nursing? A review of the current evidence. The Open Nursing Journal, 6, 82-89. 

  21. Ministry Health and Welfare (2013). Dementia prevalence survey report: 2012 February 8, 2015, Retrieve from http://www.mw.go.kr/ 

  22.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012).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2nd ed). New York: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3. Oh, H. K. & Han, Y. I (2012). Effect of nursing simulation-based education i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elf-effica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6(4), 245-254. 

  24. Parmelee, D. X. (2010). Team based learning: moving forward in curriculum innovation: a commentary. Medical Teacher, 32, 105-107. 

  25. Rubin, R. B., Martin, M. M., Bruning, S. S., & Power, D. E. (1991).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development and test of a self-efficacy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Communication Association, Atlanta, GA. 

  26. Sanders, G. F., Montgomery, J. E., Pittman, Jr. J. F., & Balkwell, C. (1984). Youth'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3(1), 59-70. 

  27. Sheets, I. W., & Ganley, B. J. (2011). Integrating simulation into a foundational gerontological nursing cours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0(12), 689-692. 

  28. Shinnick, M. A., Woo, M., & Evangelista, L. S. (2012). Predictors of knowledge gains using simulation in the education of prelicensur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8(1), 41-47. 

  29. Sleeper, J. A., & Thompson, C. (2008). The use of hi fidelity simulation to enhance nursing students'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5(1), 1-12. 

  30. Zavertnik, J. E., Huff, T. A., & Munro, C. L. (2010). Innovative approach to teaching communication skills to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9(2), 65-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