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을 활용한 저혈당 시나리오 기반의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당뇨병 지식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습득과 지속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Simulated Education-based Hypoglycemia Scenario Using a High-fidelity Simulator on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Diabetes Knowledge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3 no.3, 2017년, pp.319 - 329  

김지영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허나래 (한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effects on diabetes knowledge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patient simulation-based hypoglycemia scenario using a high-fidelity simulator.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repeated measures quasi-experimental desig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수와 1인의 임상실습강사는 본 연구에 참여하지 않았고, 다른 2인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교육의 목표는 단순 지식수준에서 시작하여 이해하고 적용, 분석, 통합, 평가하는 수준까지 달성하는 것으로 저혈당 대상자 증상을 확인하고 대상자에게 적절하며 우선이 되는 간호진단을 확인하도록 하였다. 저혈당 대상자에게 활력징후, 혈액검사 수치, 임상 징후를 사정하고 안전한 투약 및 간호수행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간호학 실습 교과목 내에서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을 활용한 저혈당 시나리오 기반의 시뮬레이션 교육을 운영하여 습득한 지식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실무지식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이론, 임상실습 및 시뮬레이션 교육이 연계된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간호학 실습 교과목 내에서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을 활용한 저혈당 시나리오 기반의 시뮬레이션 교육을 운영하여 습득한 지식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실무지식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이론, 임상실습 및 시뮬레이션 교육이 연계된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을 활용한 저혈당 시나리오 기반의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여 당뇨병 지식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습득과 지속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저혈당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초기 대응을 정확히 하는 것은 대상자 간호에 있어서 중요하다.
  • 본 연구는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을 활용한 저혈당 시나리오 기반의 시뮬레이션 교육을 간호 대학생에게 적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당뇨병 지식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차이와 시간경과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시계열 유사 실험 설계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을 활용한 저혈당 시나리오 기반의 시뮬레이션 교육을 운영하여 간호대학생의 습득한 지식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 가설 1: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의 당뇨병 지식이 시간의 경과(중재 전, 중재 직후, 2개월 후, 4개월 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제난이도,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이 시간의 경과(중재 전, 중재 직후, 2개월 후, 4개월 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교육의 목표는 단순 지식수준에서 시작하여 이해하고 적용, 분석, 통합, 평가하는 수준까지 달성하는 것으로 저혈당 대상자 증상을 확인하고 대상자에게 적절하며 우선이 되는 간호진단을 확인하도록 하였다. 저혈당 대상자에게 활력징후, 혈액검사 수치, 임상 징후를 사정하고 안전한 투약 및 간호수행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저혈당 대상자에게 인슐린 교육, 저혈당 발생 시 간호 과정을 적용하고 치료적 의사소통을 수행하며, 의료팀과 협조적인 의사소통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이 간호 교육에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뮬레이션 모형은 단순한 간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마네킨 모형부터 복잡한 시나리오 재연이 가능한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high-fidelity simulator)까지 그 유형은 다양하다(Kim & Suh, 2012). 그 중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은 인체와 가장 유사한 모형으로 복잡한 시나리오 재연이 가능하여 간호대학생이 임상에서 경험할 수 없는 다양한 환자케이스를 반복적으로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2017년 간호교육인증평가 시 각 대학에서 확보해야 할 실습기자재로 선정될 만큼 간호 교육 영역에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E], 2017).
간호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뮬레이션 모형의 예는 무엇이 있는가? 약 50여 년 전에 시작된 시뮬레이션 교육은 임상 환경과 의료 지식 및 기술이 변화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Nickerson & Pollard, 2010). 간호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뮬레이션 모형은 단순한 간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마네킨 모형부터 복잡한 시나리오 재연이 가능한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high-fidelity simulator)까지 그 유형은 다양하다(Kim & Suh, 2012). 그 중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은 인체와 가장 유사한 모형으로 복잡한 시나리오 재연이 가능하여 간호대학생이 임상에서 경험할 수 없는 다양한 환자케이스를 반복적으로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2017년 간호교육인증평가 시 각 대학에서 확보해야 할 실습기자재로 선정될 만큼 간호 교육 영역에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E], 2017).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이 간호 교육 운영에 필요하다고 판단된 배경은 무엇인가?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이 간호 교육 운영에 권고된 배경에는 무엇보다 임상현장에서 간호대학생들의 실제 간호 수행 경험이 단순 술기에 한정되어 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 Choi (2014)의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에서 직접 실시했던 간호수행으로 활력징후 측정(대상자의 99.1% 수행), 피하 주사 항목에 있는 간이혈당검사(대상자의 86.3% 수행) 순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Han, Cho와 Won의 연구(2014)에서는 간호대학생의 한정된 간호 술기 경험이 신규간호사 임상현장의 부적응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간호대학생이 전문직 간호사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기술과 지식을 적용하고, 궁극적으로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안으로, 다양한 임상상황이 재연된 고성능 인체 환자 모형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 교육 영역에서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qel, A. A., & Ahmad, M. M. (2014). High-fidelity simulation effects on CPR knowledge, skills, acquisition, and retention in nursing students.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11(6), 394-400. 

  2.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Freeman & Company. 

  3. Choi, D. (2014).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experiences on the essential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 184-191. 

  4. Evans, C. B., & Mixon, D. K. (2015). The evaluation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knowledge of post-op pain management after participation in simulation. Pain Management Nursing, 16(6), 930-937. 

  5. Han, A., Cho, D. S., & Won. J. (2014). A study on learning experiences and self-confidence of core nursing skills in nursing practicum among final yea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2), 162-173. 

  6. Hernandez-Padilla, J. M., Suthers, F., Granero-Molina, J., & Fernandez-Sola, C. (2015). Effects of two retraining strategies on nursing students'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BLS/AED skills: A cluster randomized trial. Resuscitation, 93, 27-34. 

  7. Heo, N., Jeon, H. J., Kim, J., & Kang, Y. H. (2014). Learning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team based high-fidelity simula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2(1), 21-33. 

  8. Hur, H. K., & Park, S. M. (2012). Effects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for emergency care of patients with dyspnea, on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111-119. 

  9. Jung, J. S., & Hur, H. K. (2013). Effectiveness and retention of repeated simulation-based basic life support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6(2), 24-36. 

  10. Joo, G. E., Sohng, K. Y., & Kim, H. J. (2015). Effects of a standardized patient simul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on nursing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for blood transfu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2(1), 49-58. 

  11. Kameg, K. M., Englert, N. C., Howard, V. M., & Perozzi, K. J. (2013). Fusion of psychiatric and medical high fidelity patient simulation scenarios: Effect on nursing student knowledge, retention of knowledge, and perception.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34(12), 892-900. 

  12. Kim, A. Y., & Park, I. Y. (2001).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39(1), 95-123. 

  13. Kim, J., & Heo, N. (2014). Hypoglycemia scenario for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using a high-fidelity simulator. Journal of Healthcare Simulation, 3(2), 56-60. 

  14. Kim, J., & Heo, N. (2015). Learner's debriefing experience on team-based nursing simu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3(2), 35-44. 

  15. Kim, J., & Heo, N. (2017). Academic self-efficacy and clinical nursing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2), 611-623. 

  16. Kim, J., Heo, N., Jeon, H. J., & Jung, D. (2015).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attitude about the elderly for nursing students: A learning approach based on an elderly-with-cognition-disorder scenario.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1), 54-64. 

  17. Kim, H. W., & Suh, E. Y. (2012). Nursing students' immersion experiences in a comprehensive simulation scenario using high-fidelity human patient simulator among nursing students: A phenomenological study. Journal of Military Nursing, 30(1), 89-99. 

  18. Kim, S. H., Kim, S. H., & Shim, C. S. (2007). The effect and retention of CPR training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8(6), 496-502. 

  19.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7, March). Manual for accreditation of baccalaureate 2017. Retrieved April 19, 2017, from http://kabone.or.kr/HyAdmin/view.php?bbs_idkab01&doc_num560 

  20. Kwon, M. S. (2010). The effects and retention of the AHA's BLS training on knowledge and skill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2), 222-228. 

  21. Lee, S. K., Kim, S. H., & Park, S. N. (2016). Persistence of integrated nursing simulation program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3), 283-291. 

  22. Nelissen, E., Ersdal, H., Mduma, E., Evjen-Olsen. B., Broerse. J., van Roosmalen, J., et al. (2015). Helping mothers survive bleeding after birth: Retention of knowledge, skills, and confidence nine months after obstetric simulation-based training.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15(1), 190. 

  23. Nickerson, M., & Pollard. M. (2010). Mrs. Chase and her descendants: A historical view of simulation. Creative Nursing, 16(3), 101-105. 

  24. Shim, W. S., Hong, S. B., Choi, Y. S., Choi, Y. J., Ahn, S. H., Min, K. Y., et al. (2006). Development of two parallel diabetes knowledge tests.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30(6), 476-86. 

  25. Smith, K. K., Gilcreast, D., & Pierce, K. (2008). Evaluation of staff's retention of ACLS and BLS skills. Resuscitation, 78(1), 59-65. 

  26. Smith, N., Prybylo, S., & Conner-Kerr, T. (2012). Using simulation and patient role play to teach electrocardiographic rhythms to physical therapy students. Cardiopulmonary Physical Therapy Journal, 23(1), 36-42. 

  27. Tawalbeh, L. I., & Ahmad, M. M. (2014). The effect of cardiac education on knowledge and adherence to healthy lifestyle. Clinical Nursing Research, 23(3), 245-258. 

  28. Tubaishat, A., & Tawalbeh, L. I. (2015). Effect of cardiac arrhythmia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cquisition and retention.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7(9), 1160-1174. 

  29. Yang, J. J. (2012). Th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clinical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14-24. 

  30. Zulkosky, K. D. (2012). Simulation use in the classroom: Impact on knowledge acquisition,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8(1), e25-e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