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낙관성, 일희망, 부모양육태도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of Calling to Optimism, Work Hope and Supportive Parent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 2015년, pp.205 - 214  

정은선 (한라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  하정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청소년상담학과) ,  김정수 (한국외국어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 그 과정을 구조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277명의 자료를 SPSS 18.0과 Amos 8.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지지적 양육태도와 낙관성은 직접적으로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일희망을 매개로 하여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소명의식에는 일희망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지지적 양육태도 및 낙관성의 영향력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환경적 특성과 성격적 특성을 경험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학교상담 및 교육장면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n calling and the role of optimism, work hope, religion and supportive parenting. Furthermore, this study tested if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optimism and work hope) and personal environmental variables (religion and supportive parenting) would affect how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의 성격적 특성으로 낙관성과 일희망, 환경적 특성으로 부모의 양육태도를 각각 상정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변인들이 잠재 변인을 잘 설명하고 있는지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측정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의 측정모형을 검증하는 방법, 즉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잠재 변인 전체의 측정 모형을 검증하였다[49].
  • 이처럼 선행연구들을 통해 소명의식과 일희망이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은 확인되었으나 둘 간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좀 더 면밀하게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어떠한 것이 있는가를 탐색하는 동시에 각 변인들 간에 관계가 어떠한가를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다.
  • 또한 낙관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의사결정이 합리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확신수준이 높았다[21-22]. 소명의식이 진로관련 변인들과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점에서 다양한 진로관련변인들과의 관계가 보고되어 온 바,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낙관성에 대해 조명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이론적 가정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지지적 양육태도와 낙관성, 일희망 간의 관련성을 전제로 하여, 이들이 어떤 경로를 통하여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서, 소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성격적 특성과 환경적 측면을 다각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의 성격적 특성으로 낙관성과 일희망, 환경적 특성으로 부모의 양육태도를 각각 상정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보다 다양한 변인들의 탐색적 연구들을 통해 소명의식에 영향 미치는 개인의 환경적, 심리적 특성들을 보다 다각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성격특성으로 낙관성, 일희망을 상정하고, 환경적 특성으로서 부모의 양육태도, 종교유무를 상정하여 이들 간의 관련성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 특히 일희망은 소명의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그 영향력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나 소명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에 대한 희망을 높일 수 있는 개입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상담자 및 교사와 부모는 지지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하여 학생 또는 자녀가 미래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에 동기를 높일 수 있도록 돕는 조력이 필요하겠다. 이미 낙관성은 진로와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고[17-18], 본 연구를 통해 소명의식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주목해야 할 것이다.
  • 종합하면, 본 연구는 낙관성과 부모의 지지적 양육태도, 일희망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소명의식에 이르게 되는지 살펴봄으로서, 소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성격적 특성과 환경적 측면을 다각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이론적 가정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그림 1과 그림 2를 통해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였다. 즉, 그림 1의 연구모형에서는 부모의 지지적 양육태도가 낙관성, 일희망,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며, 낙관성은 일희망과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였다. 또한, 부모의 지지적 양육태도와 낙관성이 소명의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부모의 지지적 양육태도가 낙관성, 일희망에 영향을 미치며, 낙관성은 일희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명의식이란? Dick과 Duffy에 따르면[8], 소명의식(calling)이란 자신의 일에 대해 개인적인 충만감을 느끼거나 사회적으로 의미 있게 헌신하도록 하는 목적의식을 의미한다. 자기자신의 직업이 하늘의 소명이라는 직업의식으로서 종교적 의미의 용어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에 와서는 개인이 일에 대하여 의미와 목적으로 인식하는 태도[9]나 직업에 헌신하며 타인들의 신뢰를 받고자 하는 태도로 본다[10].
다양한 변인들의 탐색적 연구들을 통해 소명의식에 영향 미치는 개인의 환경적, 심리적 특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는 근거는? 소명의식이 직업에 대한 목적의식이라는 점에서 소명의식에 대한 연구는 주로 진로와의 관계[5-6]나 청소년지도자, 의료사회복지사 등의 직업인들을 대상[1,3-4,12]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소명의식이 긍정심리학에서 논의되는 개인의 행복감 혹은 안녕감과 관련하여 주목하는 개념임에도 불구하고[9], 정작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며, 탐색된 요인이 대부분 사회학적 배경요인들에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1,3]. 따라서 보다 다양한 변인들의 탐색적 연구들을 통해 소명의식에 영향 미치는 개인의 환경적, 심리적 특성들을 보다 다각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낙관성은 어디에 영향을 미치는가? 일반적으로 낙관성이란 미래에 좋은 결과가 생길 것이라는 기대 즉, 결과에 대한 일반화된 긍정적 기대라고 할 수 있으며[13-15], 자신이 경험한 사건에 대한 낙관적 설명양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16]. 낙관성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적응성,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들은 [17-18] 낙관성과 소명의식과의 관련도 유의할 수 있음을 짐작케한다. 낙관성과 진로관련 연구에서 낙관성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진로결정 수준이 높고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탐색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도전하고 인내심을 갖고 성취하려는 경향을 보였다[19-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D. W. Kim, N, S, Cho.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Calling and Ethics of the Medical Social Worker". Korean Public Personal Administration Review, 11(2), 221-244. 2012. 

  2. E. K. Lea.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Youth Work as a Vocation and Attendant Levels of Job Satisfaction". Studies on Korean Youth, 22(1), 115-140. 2011. 

  3. J. Y. Jang, J. Y. Lee. "The Relation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Meaning, Living a Calling, Life Meaning, and Job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26(1), 123-146. 2014. a. 

  4. J. Y. Jang, J. Y.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Meaning, Living a Calling, Life Meaning, and Job Satisfactio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5(1), 259-278. 2014. b DOI: http://dx.doi.org/10.15703/kjc.15.1.201402.259 

  5. J. H. Park, S. K. Yoo.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Work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mong College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3(2), 543-560. 2012. DOI: http://dx.doi.org/10.15703/kjc.13.2.201204.543 

  6. N. M. Yang, E. K Lea. "Mediational Effects of Career Ident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Career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24(1), 51-68. 2012. 

  7. Y. J. Shi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Call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trinsic Motiv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4(1), 209-226. 2013. DOI: http://dx.doi.org/10.15703/kjc.14.1.201302.209 

  8. Dik, B. J. & Duffy, R. D.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Definitions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practice. The Counseling Psychology, 37, 424-450, 2009. DOI: http://dx.doi.org/10.1177/0011000008316430 

  9. Y. R. Shim.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 with a Korean College Student Sample".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11. 

  10. E. J. Jeong.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Caregivers Participated in Long Term Care Insurance Test Service: Focused on Belief in Public Service and Sense of the Calling to the Field".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07. 

  11. Hall, D. T., & Chandler, D. E. (2005). Psychological success: When the career is a calli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6, 155-176. DOI: http://dx.doi.org/10.1002/job.301 

  12. K. O. Seol, J. I. Lim. "Collective Self-Esteem, Calling and Burnout among Youth Companion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25(2), 187-201. 2013. 

  13. J. S. Kim, H. I. Jo.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and Benefit-Find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ed on Perceived Controllability of Adverse Ev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22(3), 797-820. 2010. 

  14. H. S. Shin. "Testing the Mediator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Parents, Peers and Teachers in the Relation between Optimism and Internalizing Problem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7(2), 485-503. 2006. 

  15. Scheier, M. F., & Carver, C. S. (1992).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6(2), 201-228. DOI: http://dx.doi.org/10.1007/BF01173489 

  16. H. K Kwon, H. K. Lee. "The Effect of Optimism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Degree of Satisfaction toward School -Mediated by Achievement Motivation and Ego Strength".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16(4), 723-741. 2004. 

  17. S. H. Lee, E. Y. Son. "The Relation Between Optimism of College Students and Career Decision Scale and Career Adaptability: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4(4), 2525-2544. 2013. DOI: http://dx.doi.org/10.15703/kjc.14.4.201308.2525 

  18. H. K. Kwon. "The Effect of Optimism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Degree of Satisfaction toward school-Mediated by Achievement Motivation and Ego Strenth-Catholic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04. 

  19. H. J. Jin. "Influence of Parental Attachment in College Students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of Doctor of Philosophy. 2011. 

  20. S. R. Kim, J. C. Lee7). "Influence of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on Adolescent Career Maturit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19(2), 393-407. 2007. 

  21. E. G. Seo.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and Optimism on Level of Career 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Stress of College Students". Catholic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07. 

  22. Snyder, C. R. (2002). Hope theory: rainbows in the mind. Psychological Inquiry, 13, 249-275. DOI: http://dx.doi.org/10.1207/S15327965PLI1304_01 

  23. Juntunen, C. L., & Wettersten, K. B. (2006). Work Hop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Measur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 94-106.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53.1.94 

  24. Y. J. An, J. Y. Seo. "The Effects of Work Hope and Career Motivation on College Students' Career Stres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1), 55-81. 2013. 

  25. Duffy, R. D., Allan, B. A., & Dik, B. J. (2011). The presence of a calling and academic satisfaction: Examining potential mediator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9, 74-80. DOI: http://dx.doi.org/10.1016/j.jvb.2010.11.001 

  26. Whiston, S. C., & Keller, B. K. (2004). The influence of the family of origin on career development: A review and analysi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2, 493-568. DOI: http://dx.doi.org/10.1177/0011000004265660 

  27. Greenberg, M. T., Siegel, J. M., & Leitch, C. J. (1983). The nature and importa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s to parents and peers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 Adolescence, 12, 373-386. DOI: http://dx.doi.org/10.1007/BF02088721 

  28. Y. K. Au. "A Multilevel Analysis Adolescents' Changes on Job Aspiration Level".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41, 275-298. 2011. 

  29. H. S. Kim, Y. C. Roh. "Peer and Teacher Support and Optimism as a Mediator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Career Aspiratio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4(5), 2817-2832. 2013. DOI: http://dx.doi.org/10.15703/kjc.14.5.201310.2817 

  30. Blustein, D. L., Walbridge, M. M., Friedlander, M. L., & Palladino, D. E. (1991). Contribution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parental attachment to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 39-50.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38.1.39 

  31. Flores, L. Y., & O'Brien, K. M. (2002). The career development of mexican American adolescent women: A test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9(1), 14-27.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49.1.14 

  32. Y. J. Woo, H. Y. Hong. "The Influence of Parental Support on Career Aspirati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Late Adolescence". Korean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Therapy, 3(1), 31-53. 2011. 

  33. Keller, B. K., & Whiston, S. C. (2008). The role of parental influences on young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 198-217. DOI: http://dx.doi.org/10.1177/1069072707313206 

  34. Y. J. Gong. "The Influences of Career-Related Parental Support and Children's Locus of Control on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1(3), 223-242. 2008. 

  35. Kenny, M. E., Walsh-Blair, L. Y., Blustein, D. L, Bempechat, J. & Seltzer, J. (2010).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urban adolescents: Work hope, autonomy, support and achievement-related belief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7(2), 205-212. DOI: http://dx.doi.org/10.1016/j.jvb.2010.02.005 

  36. Yakushko, O. & Sokolova, O. (2010). Work Hope and Influence of the Career Development Among Ukraini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6(4), 310-323. DOI: http://dx.doi.org/10.1177/0894845309345670 

  37. D. K. Yang.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s , Optimism , and Hassl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8(1), 1-23. 2001. 

  38. Felner, R., Ginter, M., & Primavera, J. (1982). Primary prevention during school transition: Social support and environment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9(1), 14-27. DOI: http://dx.doi.org/10.1007/978-1-4419-8646-7_9 

  39. Dik, B. J., Eldridge, B. M., & Steger, M. F. (2008, August). Development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 (CVQ).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s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oston, MA. 

  40. Y. R. Shim, S. K Yoo.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K)".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24(4), 847-872. 2012. 

  41. Scheier, M. F., & Carver, C. S. (1985). Optimism, coping and health: Assessment and implications of generalized outcome expectancies. Health Psychology, 4(3), 219-247. DOI: http://dx.doi.org/10.1037/0278-6133.4.3.219 

  42. Scheier, M. F., Carver, C. S. & Bridges, M. W. (1994).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6), 1063-1078.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67.6.1063 

  43. Schaefer, E. S. (1965). A Configurational analysis of Children's Reports of Parent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9(6), 552-557. DOI: http://dx.doi.org/10.1037/h0022702 

  44.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67, 3296-3319. DOI: http://dx.doi.org/10.2307/1131780 

  45. J. Y. Cho. "Pathways from Interparental Conflict to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Maternal Support and Control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Effects of Mediating".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10. 

  46.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 18-29.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45.1.18 

  47. MacCallum, R., Widaman, K., Preacher, K., & Hong. sehee. Sample size in factor analysis: The role of model error.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6, 611-637. 2001. DOI: http://dx.doi.org/10.1207/S15327906MBR3604_06 

  48. H. S. Lee, J. H. Li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Amos 6.0. Bobmunsa. 2007. DOI: http://dx.doi.org/10.1002/97804700247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