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3P모형을 통한 영재의 메타인지, 상호작용, 문제해결력, 성취도 간 구조적 관계 분석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etacognition, Interaction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chievement in Gifted Students Through the 3P Model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5 no.1, 2015년, pp.161 - 177  

주영주 (이화여자대학교) ,  김동심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창의적 인재육성을 위한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영재에게 보다 나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영재교육의 성과인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고 이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영재교육의 성과에 영향 미치는 변인은 대표적인 학습접근방식모형으로 알려진 3P모형을 통해 메타인지, 상호작용, 문제해결력, 성취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 산하 영재교육원의 영재 174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영재의 메타인지, 상호작용, 문제해결력, 성취도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의 메타인지, 상호작용은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문제해결력은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며, 메타인지 및 상호작용과 성취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영재교육에서는 학생들의 메타인지, 상호작용 및 문제해결력을 관리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서 학생들에게 적용을 한다면, 영재교육의 성과인 성취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etacognition, interaction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chievement in gifted students through the 3P model.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gifted education are based on 3P(presage, precess. produ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라서 본 연구에서는 Biggs(2003)가 제안한 학습접근방식인 3P모형을 통해서 영재교육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여 질 높은 교육제공은 물론 보다 나은 영재교육환경을 기대하는 학습자나 부모 모두에 부응하고자 한다. 3P모형은 학습자의 학습하는 과정을 예비단계(presage), 과정(precess) 및 산출(product)로 구성되며, 예비단계는 학생요인(student factors)과 교수맥락(teaching context)으로 나누어진다.
  • 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에서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기 위해 3P모형을 기반으로 각 변인들과 성과변인과의 인과관계를 알아봄으로 향후 영재교육프로그램의 내실화를 다지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성과가 학습자에게 어떤 과정을 통해 향상 될 수 있는지 구조적 방법을 통해 실증적으로 접근하여 교육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 화를 다지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성과가 학습자에게 어떤 과정을 통해 향상 될 수 있는지 구조적 방법을 통해 실증적으로 접근하여 교육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 교수맥락은 교수활동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학습상황을 말하며 교수목적, 교수와 평가방법, 교수력, 상호작용 및 교실이나 기관의 풍토 혹은 분위기 등이 여기에 속한다. 연구에서는 지식전달 중심으로 강의식 수업을 하는 일반학교와 달리 학습자의 참여도가 큰 프로젝트수업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영재교육프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 간의 수업 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에 대해 인지하는 정도를 선정하였다.
  • 연구는 영재의 3P모형을 통해 메타인지, 상호작용, 문제해결력, 성취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통합적인 구조모형 속에서 인과관계를 찾으려고 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 영재의 메타인지, 상호작용은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2] 영재의 메타인지, 상호작용, 문제해결력은 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P모형에서 예비단계 내의 변수인 학생요인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3P모형에서 예비단계는 학생요인과 교수맥락으로 구분된다. 학생요인은 학습자 개개인의 역량과 능력에 따른 학습동기로 주제와 관련된 학생의 선수 지식, 주제에 대한 관심, 학생능력 및 참여도 등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중 하나인 메타인지를 선정하였다.
메타인지란? 메타인지는 자신의 사고과정에 대해 인식하면서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며 자신의 수행을 계획하고 점검하며 평가하는 능력을 의미한다(Flavell, 1979). 특히 영재교육에 있어서 메타인지는 영재의 지능발달을 돕기 위해 관심을 받고 있는 영역이며(황은숙, 양승호, 2004), 교수자와 부모들은 적절한 교육을 통해 영재의 메타인지를 개발해야 한다고 했다(Cheng, 1993).
문제해결력이란? 과정과 관련된 변인으로는 문제해결력을 선정하였다. 문제해결력은 인지전략이나 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같은 고차원적인 인지능력들을 활용하여 주어진 문제와 연관되어 있는 장애요소를 극복함으로써 바람직한 목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일련의 사고과정이다(강문숙, 박수홍, 김두규, 2012). 문제해결력은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 접근-회피양상, 개인적통제양식으로 구성된다(Heppner & Petersen, 198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강명희, 송윤희, 박성희 (2008).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메타인지, 몰입, 상호작용과 문제해결력의 관계. 

  2. 강문숙, 박수홍, 김두규 (2012).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블렌디드 PBL 프로그램 개발. 교사교육연구, 51(3), 333-352. 

  3. 강현석, 전명남, 조용개, 심미자, 이은화, 이희원 (2007). 대학교육의 새로운 도전.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4. 김소연, 이신동 (2009). 국가수준 영재교육프로그램 기준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8(3), 63-88. 

  5. 김순화, 송기상 (2011). 영재 교육을 위한 전뇌 이론 기반 협동학습의 정의적 효과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255-268. 

  6. 김주환, 홍세희, 김민규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7.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세종: 교육부. 

  8. 남정희, 이순덕, 임재항, 문성배 (2010). 멘토링을 통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상호작용 변화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9), 953-970. 

  9. 내일신문 (2014.5.27). "과학영재학교 평균 경쟁률 18.41대 1." 

  10.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1. 문은식. (2012).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실의 사회적 환경, 동기적 신념, 인지적, 행동적 관여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아동교육, 21(2), 59-73. 

  12. 박찬옥, 황소영, 나혜선 (2011). 유아의 언어, 인지, 사회.정서 발달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유아행정학회지, 15(1), 117-140. 

  13. 백경숙 (2011).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논총, 32(1), 77-95. 

  14. 신승윤, 류성림 (2014). 초등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와의 관계. 한국수학교육학회, 17(2), 95-111. 

  15. 심연현, 이춘식 (2008). 실과 '목공수업'에서 문제해결학습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14(4), 49-68. 

  16. 유희연, 차현정, 김민석, 함동철, 김희백, 유준희, 박현주, 김찬종, 최승언 (2012).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공동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상호작용 역할과 개인의 내적, 관계적 요인 사이의 관련성. 영재교육연구, 22(2), 265-290. 

  17. 윤초희 (2005). 아동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관련이 있는 인지 및 창의성 요인: 영재아와 보통아간 비교문석. 아동학회지, 26(5), 281-295. 

  18. 이경국 (2008). 메타인지 전략과 인지전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8, 115-139. 

  19. 이지혜 (2010).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학연구, 48(2), 67-92. 

  20. 이혜주 (2007). 아동의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과 관련이 있는 인지 전략 유형분석. 아동학회지, 28(6), 277-295. 

  21. 장선영, 김누리 (2013). 공학전공 학생들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문제해결능력, 학습전략,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25(3), 581-602. 

  22. 조석희, 안도희, 한석실 (2004). 영재의 학업성취도와 사회적 성숙도에 따른 지적, 정의적 및 가정의 심리적 환경 특성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10(1), 97-124. 

  23. 주영주, 이정원, 김동심 (2011).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학업성취도 관련변인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9(9), 71-91. 

  24. 최영신, 김영희 (2006). 가족의 정서적 환경,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력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10(2). 

  25. 한기순 (2006).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5(1), 109-129. 

  26. 황은숙, 양승호 (2004). 영재의 메타인지 발달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사회교육연구. 13, 105-135. 

  27. Annemie Desoete, Herbert Roeyers & Ann Buysse (2001). Metacognition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Grade 3.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4(5), 435-449. 

  28. Arbaugh, J. B. (2000). Virtual classroom versus physical classroom: An exploratory study of class discussion patterns and student learning in an asynchronous Internet-based MBA course. Journal of Management Education, 24(2), 213-233. 

  29. Arends, R., & Castle, S. (1991). Learning to teach (Vol. 142). New York: McGraw-Hill. 

  30. Barrows, H. S. (1986). A taxonomy of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Medical education, 20(6), 481-486. 

  31. Battista, M. & Clements, D. (1986). The effects of Logo and CAI problem solving environments on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mathematics achievemen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 183-193. 

  32. Bernadette, B., Linda S., Roger L., & Elizabeth R. (1985).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 process-oriented approach.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1(1), 205-223. 

  33. Biggs, J. B. (2003). Teaching for quality learning at university (2nd ed.). Maidenhead: Open University Press. 

  34. Bouffard-Bouchard, T., Parent, S., & Laviree, S. (1993). Self-regulation on a concept-formation task among average and gifted student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56(1), 115-134. 

  35.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age Focus Editions, 154, 136-136. 

  36. Chan, K. W. (2010). The Role of Epistemological Beliefs in Hong Kong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The Asia-Pacific Education Researcher, 19(1), 7-24. 

  37. Chang, C. Y.(1999). The use of a problemsolving-based instructional model in initiating change in students' achievement and alternative framework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4), 373-388. 

  38. Cheng, P. (1993). Metacognition and giftedness: the state of the relationship. Gifted child Quarterly, 37(3), 105-112. 

  39. Dowson, M., & McInerney, D. M. (200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survey (GOALS-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4(2), 290-310. 

  40. Flavell, J. H. (1979).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developmental inquiry. American Psychologist, 34, 906 - 911. 

  41.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1995). Multivariate data analyses with readings. NJ: Englewood. 

  42. Heppner, P. P., & Petersen, C. H. (1982).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9(1), 66-75. 

  43. Jaberi, A., Mohammadi, F. A., & Afroghe, S. (2014). The interaction between Iranian EFL learners' motivation, creativity and their English achievement scores. Enjoy Teaching Journal, 2(1), 113-120. 

  44.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 Guilford. 

  45. Mehan, H. (1998). The Study of Social Interaction in Educational Settings: Accomplishments and Unresolved Issues1. Human development, 41(4), 245-269. 

  46. Meyer, M. L., Salimpoor, V. N., Wu, S. S., Geary, D. C., & Menon, V. (2010). Differential contribution of specific working memory components to mathematics achievement in 2nd and 3rd grader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2), 101-109. 

  47. Patrick, H., Ryan, A. M., & Kaplan, A. (2007). Early adolescents' perceptions of the classroom social environment, motivational beliefs, and engag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1), 83-98. 

  48. Pintrich, P. R. (1991).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to Improve Postsecondary Teaching and Learning. 

  49. Sagayadevan, V., & Jeyaraj, S. (2012). The role of emotional engagement in lecturer-student interaction and the impact on academic outcomes of student achievement and learning. Journal of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12(3), 1-30. 

  50. Savery, J. R., & Duffy, T. M. (1995). Problem based learning: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35(5), 31-38. 

  51. Schoenfeld, A. H. (1987). What's All the Fuss About Metacognitlon. Cognitive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89-216. 

  52. Taraban, R., Rynearson, K., & Kerr, M. S. (2000). Metacognition and freshman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Developmental Education, 24(1), 12-18. 

  53. Trentin, G. (2000). The Quality-Interactivity Relationship in Distance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40(1), 17-27. 

  54. Yang, H. J., Yu, J. C., & Wang, C. C. (2010). Social interactions i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in a teaching experiment involving a micro-chip.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Education, 47(3), 319-3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