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향토음식의 학교급식 적용 활성화를 위한 초등학생의 향토음식 섭취 빈도 및 견해 조사 -경상도과 전라도 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ake Frequency and Opinions Regarding Native Local Foods in School Foodservice -Focus on Regional Comparison of Gyeongsang-do and Jeolla-do-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2, 2015년, pp.275 - 280  

황혜인 (경남대학교 대학원 첨단공학과 식품영양전공) ,  김현아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향토음식의 학교급식 적용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평소 섭취 빈도와 학교급식에서의 향토음식 제공에 대한 견해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경상도와 전라도의 지역 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라도지역 일부 소재 초등학생 261명과 경상도지역 일부 소재 초등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향토음식의 평소 섭취 빈도를 비교한 결과, 경상도 향토 음식의 평소 섭취 빈도는 경상도와 전라도의 지역 간 차이가 있어(P<0.01) 경상도지역 초등학생이 전라도지역 초등학생보다 경상도 향토음식을 더 자주 섭취하고 있었으며, 미역찹쌀수제비(P<0.05), 배추전(P<0.05), 애호박죽(P<0.05)의 3개 음식에서 지역 간의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전라도 향토 음식의 경우 경상도와 전라도의 지역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교급식에서의 향토음식 제공에 대한 견해에 대해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향토음식에 대한 관심도는 지역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학교급식에서 향토음식 제공에 대한 의견은 지역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여(P<0.01), 학교급식에서 향토음식이 제공되는 것에 대해 경상도지역 초등학생이 전라도지역 초등학생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급식에서의 향토 음식의 바람직한 제공 빈도 항목은 '현재수준보다 줄여야 한다' 40명(7.8%),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 332명(64.5%), '현재 수준보다 늘여야 한다' 143명(27.8%)으로 조사되어 현재 수준을 유지하는 것에 대해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향토음식에 대한 섭취 빈도가 매우 낮은 수준으로 향후 초등학생들에게 학교급식뿐만 아니라 외식 및 가정의 다양한 환경에서 향토음식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향후 학교급식에서 향토음식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교급식메뉴의 개발 및 활용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향토음식에 대한 친밀도와 인식을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향토음식을 계승 발전해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향토음식에 대한 섭취 빈도와 학교급식에서 향토음식 제공에 대한 견해에서 경상도와 전라도 간의 지역적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지역적 차이 없이 다양한 향토음식을 경험하고 폭넓게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하겠다. 동시에 이러한 지역적 차이의 원인에 대한 다각적 측면에서의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하여 표본을 선정하였다는 제약점이 있으므로 향후 좀 더 다양한 지역의 좀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단체급식 적용을 전제로 하여 적용 가능한 경상도 향토음식 10가지와 전라도 향토음식 10가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는데, 향후 향토음식을 주메뉴와 찬류로 구분하여 좀 더 많은 수의 다양한 향토음식의 적용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intake frequency and opinions regarding native local foods in school foodservice and compared eating status between students in Gyeongsang-do and Jeolla-do.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0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do and Jeolla-do. The res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생 식습관 형성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대상인 초등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으로 지역적 차이를 나타내는 경상도와 전라도의 지역적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지역적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연구 문제를 선정한 것은 선행 연구(25)에서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단체급식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경상도와 전라도 대학생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기에 본 연구에서는 경상도와 전라도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주요 연구 문제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향토음식의 학교급식 적용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평소 섭취 빈도와 학교급식에서의 향토음식 제공에 대한 견해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경상도와 전라도의 지역 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라도지역 일부 소재 초등학생 261명과 경상도지역 일부 소재 초등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의 섭취 빈도를 알아보고 학교급식에서의 향토음식 적용에 대한 견해를 분석한 후 경상도와 전라도의 지역적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한 세부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선정된 전라도지역 향토음식 10가지는‘보리고구마밥’, ‘두부떡국’, ‘버섯애호박볶음’, ‘나주곰탕’,‘밤죽’, ‘수제비팥죽’, ‘굴떡국’, ‘파래된장국’, ‘미나리무침’, ‘콩나물잡채’이며, 경상도지역 향토음식 10가지는 ‘버섯밥’, ‘미역찹쌀수제비’, ‘재첩국’, ‘감자잡채’, ‘콩나물장조림’, ‘배추전’, ‘닭칼국수’, ‘애호박죽’, ‘따로국밥’, ‘동래파전’이다. 조사 대상 초등학생의 향토음식에 대한 설문지의 이해도를 높이고 성실한 답변을 유도하기 위해 설문지에 향토음식의 이름과 각 음식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였다. 향토음식에 대한 섭취 빈도는 5점 Likert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토음식이란 무엇인가? 향토음식이란 그 지역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으로 타 지역의 음식과는 비교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진 맛과 형태를 지닌 음식을 말한다(1). 그러나 급속한 산업 발전,교통의 발전, 빈번한 인구 이동, 가공식품과 인스턴트식품의생산, 외국 식품 및 조리법의 유입 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로 인해 우리나라 향토음식은 사실상 그 명맥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2,3).
향토음식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선행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이에 우리나라 고유의 향토음식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선행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Shin(4)의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 중학생의 41.7%가, Park(5)의 연구에 의하면 조사 대상 고등학생의 75.7%가 향토음식을 계승 발전시켜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6)에서는 5점 척도 기준으로 남녀 모두 4점 이상의 점수를 보여 대체적으로 향토음식의 계승 및 발전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향토음식을 계승 발전시켜야 하는 주된 이유로는 ‘지역 특색의 보존’(7)과 ‘식생활 문화의 계승’(4,8)을 들 수 있다. 여러 선행 연구(4-8)에서 향토음식의 계승과 발전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실제 식생활에서 향토음식을 이용하는 횟수가 줄어들고 있는데, 그 주된 이유로는 접할 기회가 적어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조사되었다(9). Hong(10)은 울산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급식에서 향토음식의 제공횟수를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의 32.9%가 학교급식에서 향토음식이 거의 제공되지 않았다고 응답하였고, 급식에서 향토음식을 적용할 경우 향토음식 및 문화의 우수성을 인식하게 하고 전통 식습관 확립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2/3에 해당되어 학교급식으로 인한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 식생활에서 점점 잊혀져가는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활성화하기 위하여 단체급식에서 향토음식을 적용・제공하는 방법을 새로운 대안으로 제안할 수 있다.
향토음식이 명맥을 유지하기 어려워진 이유는 무엇인가? 향토음식이란 그 지역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으로 타 지역의 음식과는 비교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진 맛과 형태를 지닌 음식을 말한다(1). 그러나 급속한 산업 발전,교통의 발전, 빈번한 인구 이동, 가공식품과 인스턴트식품의생산, 외국 식품 및 조리법의 유입 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로 인해 우리나라 향토음식은 사실상 그 명맥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ung NW, Cha KH. 2007. The local food. Kyomunsa, Gyeonggi, Korea. p 17-21, 26-27, 107-108, 147-148. 

  2. Min SH, Um JS, Oh IG. 2005.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the native local foods in Jecheon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504-515. 

  3. Kim IS, Choi OB, Yu HH, Shin MG. 2007. Recognition of native local foods in the Jeonju area of Korea by adul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765-779. 

  4. Shin JH. 2009. An analysis of students' recognition and acceptance for traditional food and local food at middle school in Jeju. MS Thesis. Ch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p 22, 57-58, 72-74, 80-87. 

  5. Park BH. 2004.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on Korean food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imje.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p 15-16, 22, 43-46, 49-55. 

  6. Lee SJ. 2005.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local food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52-54, 60-68. 

  7. Jung SH. 2009.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som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using in school meal service concerning Busan, Kyengsangnamdo local foods. MS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Korea. p 11, 58-60, 68-72. 

  8. Lee YJ. 2006. Analysis of current use of local food of adults in Gyeongju classified by age. Korean J Food Culture 21: 577-588. 

  9. Lee GJ. 2002. A study on awareness and preference of Andong regional food by Andong teenager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78-81. 

  10. Hong KH. 2010.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local food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Ulsan area. M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p 84-89. 

  1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Korean food and healthy. Kyomunsa, Gyeonggi, Korea. p 142, 193-207. 

  12. Kim HR, Kwak NS, Kim EJN, Jo YY. 2010. Report of improving national diet by promoting the nutrition management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Korea. p 3-21, 29-33, 43. 

  13. Ministry of Education. 2013. Report on school foodservice in 2012. Seoul, Korea. p 1. 

  14. Lim JK. 2008.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local foods of teenager in Jeonbuk province.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Jeonbuk, Korea. p 42-44. 

  15. Min KH. 2003.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foods of university student in Jeonla-buk area.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9: 127-147. 

  16. Yang HS, Rho JO. 2005. Recognition and preference native local foods by university students in Chonbuk area.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 49-58. 

  17. Lee YH. 2009. A study on local food awareness in Gangwon province.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 48, 68-72. 

  18. Ha MO. 2006.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inhabitants for local foods in Ulsan area.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 p 84-92. 

  19. Park KT. 2011.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wareness of native local foods -centering around Gimhae, Gyeongnam provinc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 98-110. 

  20. Moon SS. 2012.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wareness of native local foods: centering around Jeongeup area.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6: 435-445. 

  21. Min KH.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foods and tourism merchandising in Gimje area.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4: 295-309. 

  22. Lee SH. 2010. Promotional scheme for local food festivals. Journal of the Table & Food Coordinate 4: 65-81. 

  23. Lee SI. 2012.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market vitalization method about tourism products of local food -focusing on Gwangju and Jeonnam region-. Journal of Hotel & Resort 11: 101-123. 

  24. Kim SI, Park YJ, Kim SY, Chang HJ. 2013. A study on the Damyang area restaurants in bamboo food village. Korean J Food Culture 28: 348-355. 

  25. Lee SJ, Kim HA. 2010. Comparative analysis of price sensitivity for using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university foodservices between Jeonnam and Gyeongnam area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220- 1230. 

  2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The dictionary of traditional local foods. Kyomunsa, Gyeonggi, Korea. p 171, 385. 

  2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 Good food for food service: taste travel with local food. Modern Plus, Gyeonggi, Korea. p 14-17, 22-29, 52-63, 72-87, 106-117, 140-147, 176-179, 182-185, 190-193. 

  28.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7. Standardized recipe for institutional foodservice.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Seoul, Korea. p 320-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