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향토음식의 인지도와 기호도 및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umer Awareness, Preference, and Consumption Behavior Regarding Local Food - Focusing on Gyeongju Area -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2, 2015년, pp.154 - 170  

장순옥 (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과) ,  우이식 (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주에 거주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특색 있는 음식으로 발전시켜서, 문화적 우수성을 널리 알릴 필요성이 있으며 경주지역 향토음식의 조사 빛 발굴을 통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류열풍 및 세계화에 발맞추어 경주의 향토음식의 문화적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우리의 소중한 자산을 계승 발전시켜 나가는 향토음식의 기초자료로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74명의 경주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21.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환경요인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지도와 기호도는 평균 및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량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에 따른 유의검증은 t-test로 하였다. 경주향토음식에 대한 결혼 여부에 따른 인지도에서는 잔치국수가 가장 높은 인지도를 나타냈으며, 기호도에서는 전복죽이었다. 향토음식을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모두 청결 및 위생상태의 개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향토음식의 대중화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모두에서 전통적인 조리법의 전수에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토음식의 품질속성에 대하여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항으로는 음식의 위생상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향토음식을 발굴 홍보하고 향토음식점을 개설하여 지역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향토음식을 계승발전시켜야 하는 이유로는 기혼, 미혼 모두 식생활문화계승이 높게 나타났으며, 향토음식을 세계적 음식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중요한 사항으로는 맛이 좋아야 한다가 기혼이 맛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 향토음식을 대중화시키기 위한 필수사항으로는 기혼은 옛 맛을 재현하여야 한다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향토음식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는 미혼, 기혼 모두 맛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real state of local foods was examined targeting Gyeongju citizens to help in developing distinguishing foods and to promote cultural to excellence of local foods widely.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promote cultural excellence of Gyeongju's local foods widely by examining the 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주를 발전시키는 한 방법으로서 지역주민의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를 조사하여 경주지역의 향토음식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계기를 마련하고, 향토음식점의 활성화 방안에 도움이 되며, 향토음식을 계승 발전시키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결과, 본 연구의 시사점은 응답자 대부분은 향토음식에 대한 높은 인지도와 필요성을 가지고 있지만, 접할 기회의 감소로 인하여 섭취빈도가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향토음식의 이용증대를 위해서는 음식관련행사를 개최하여 매스컴(TV, 신문) 등을 이용한 홍보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향토음식이 발전할 수 있도록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경주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좀 더 많은 향토음식을 접할 수 있도록 하여야하며, 향토음식의 관광 상품과 함께 지역발전을 위하여 행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 외래 관광객이 특정한 지역이나 고장을 방문 시 행하는 여러 가지 여가 활동 중에 지역의 향토음식의 체험은 여행의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는 매력적인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으며(Lee YJ,Choi SK 2004), 각 고장의 지역성을 대변할 수 있는 향토색이 가미된 요인 중 음식은 가장 일상적으로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문화적 요인이며, 또한, 향토음식의 맛은 그 지방의 풍토와 그 지방에 사는 사람들의 품성을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Son YJ, 2004). 전통향토음식의 산업화는 지역농산물의 이용 증대와 지역 문화와 음식이 결합된 관광 상품으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LeeDP, Chio KE 2007) 따라서 경주에 거주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인지도, 기호도를 조사하여 현시점에서의 보존과 개발에 대한 이해 및 재조명을 통하여 전통성의 유지와 변화의 필요성을 통해서 외래 방문객이 즐겨 찾을 수 있는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지역경제를 살릴 뿐 아니라(Jang SO, 2009), 향토음식의 전통을 발전 계승시켜 즐겨 찾는 특별음식으로 자리매김을 함에 있어서 일조하고자 하며, 잠재된 향토음식자원을 특색 있는 음식으로 발전시켜서 문화적 우수성을 널리 알릴 필요성이 있으며, 경주지역 향토음식의 조사 빛 발굴을 통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류열풍 및 세계화에 발맞추어 경주의 향토음식의 문화적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우리의 소중한 자산을 계승 발전시켜 나가는 향토음식의 기초자료로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토음식이 강한 지역 특성을 가지는 이유는? 향토음식은 불특정 다수에 의하여 그 고장의 특유한 식습관, 재료, 조리비법 등이 함축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강한 지역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Kim SC 2000). 또한, 향토음식의 맛은 그 지방의 풍토와 그 지방에 사는 사람들의 품성을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으며(Son YJ 2004), 많은 관광 자원 중에서 그 지역의 특색을 가장 잘 표명할 수 있는 것이 그 지방의 향토음식이다.
경주지역의 주요 작물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경주시의 주요 작물로는 건천읍의 보리, 포도, 양송이 현곡면의 토마토, 배, 느타리버섯, 안강읍의 토마토, 단감, 양돈, 강동면의 시금치, 부추, 천북면의 딸기, 양계, 불국동의 토종벌, 부추, 땅두릅, 내남면의 토마토, 딸기, 옴나무, 산내면의 더덕, 곤달비, 염소, 외동읍의 양돈, 한우, 단호박, 양남․ 양북면의 한우, 단감, 토마토 감포읍의 곶감, 단감, 양봉 등이 있다. 주요 농작물로는 벼, 보리, 버섯, 단감, 시설토마토, 사과 포도, 배, 체리 블루베리 등이 있으며, 경주지역행사 및 축제로는 경주국제마라톤대회, 경주벚꽃 마라톤대회, 봉황대뮤직스퀘어, 보문야외국악공연, 교촌문화공연, 선무도공연, 신라문화제 등이 있다(경주시청 2015).
외래 관광객에게 향토음식의 체험은 어떻게 인식되는가? 외국인 관광객들이 선망하는 대한민국의 주요관광지로 손꼽히는 경주는 도시 곳곳이 유적지나 고대 유물들로 채워진 거리 박물관이다 신라천년의 고도를 자랑하는 경주시는 국제회의나 엑스포축제를 성공리에 개최하여 역사적으로 유명한 이미지뿐만 아니라, 국제적 위상까지 성공적으로 끌어올렸다. 외래 관광객이 특정한 지역이나 고장을 방문 시 행하는 여러 가지 여가 활동 중에 지역의 향토음식의 체험은 여행의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는 매력적인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으며(Lee YJ,Choi SK 2004), 각 고장의 지역성을 대변할 수 있는 향토색이 가미된 요인 중 음식은 가장 일상적으로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문화적 요인이며, 또한, 향토음식의 맛은 그 지방의 풍토와 그 지방에 사는 사람들의 품성을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Son YJ, 2004). 전통향토음식의 산업화는 지역농산물의 이용 증대와 지역 문화와 음식이 결합된 관광 상품으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LeeDP, Chio KE 2007) 따라서 경주에 거주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인지도, 기호도를 조사하여 현시점에서의 보존과 개발에 대한 이해 및 재조명을 통하여 전통성의 유지와 변화의 필요성을 통해서 외래 방문객이 즐겨 찾을 수 있는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지역경제를 살릴 뿐 아니라(Jang SO, 2009), 향토음식의 전통을 발전 계승시켜 즐겨 찾는 특별음식으로 자리매김을 함에 있어서 일조하고자 하며, 잠재된 향토음식자원을 특색 있는 음식으로 발전시켜서 문화적 우수성을 널리 알릴 필요성이 있으며, 경주지역 향토음식의 조사 빛 발굴을 통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류열풍 및 세계화에 발맞추어 경주의 향토음식의 문화적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우리의 소중한 자산을 계승 발전시켜 나가는 향토음식의 기초자료로 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ttp://koreanfood.rda.go.kr. 

  2. 경주시 농업기술센타 (2009). 구전으로 전해지는 경주 향토음식 채록집 1-19. 

  3. 경주시청 홈페이지 http://www.gyeongju.go.kr/gichild 

  4. 김상보(2004). 생활문화속의 향토음식문화. 신광출판사 413-422. 

  5. 농촌진흥청 (2008). 한국의 전통향토음식 경상북도. 

  6. 농촌진흥청 (2006). 국립농업과학원 전통향토음식정보관리 시스템. 

  7. 이동필.최경은 (2007). 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64-167. 

  8. 한국관광공사 (1993). 향토음식 관광 상품화방안.경상북도 주요 향토음식 12. 

  9. Back JO (2009). A study on the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and importance of native local foods in Busan and Gyeongnam areas. Kore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5(1):137-148. 

  10. Choi SK, Ha MO, Lee YJ, BYun GI (2006). Acomparison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the popularization and merchandising of local food in the Ulsan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2(3):346-354. 

  11. Dittemer P (2001). Dimensions of Hospitality Industry: An Introduction, 3rd ed., New York: Wiley. 

  12. Hall CM, Sharples L (2003). The consumption of experiences or the experience of consumption? An Introduction to the Tourism of Taste. Food Tourism Around the World. Butterworth Heinemane, 1-24. 

  13. Hjalager AM, Richards G (2002). Tourism and Gastronomy. London: Routledge. 

  14. Jang SO (2009). A study on the excavation and tourism commercialization of local foods -Focused on Yeongcheon area-.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Management, Gyeongju University. 

  15. Jin YH, Kim SH, Kim JY (2001). A study of traditional cuisine as tourism resource. J Culture & Tourism 3(2):49-83. 

  16. Jung WS, Hwang SJ (2014). A study on the perceptio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local traditional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Kyungsan city-.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0(1):120-132. 

  17. Kim MJ, Jeon HM (2013). A study on effects of native local foods selection attributes in Gyeong- Ju area. -Focusing on Byulchaeban-.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28(5):111-129. 

  18. Kim SC(2000). A study of traditional cuisine as commercial scale in regional festive events. Korean Journal Culinary Research 6(3):193-223. 

  19. Kim SK, KIM JK, Lee YE (2009). Tourist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native local foods of Namw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24(4):385-390. 

  20. Kwon SJ, Lee JH (2004).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of the northern part of Gyongsang- bukdo and their commercialization. Koren J Tourism Research 19:49-60. 

  21. Lee YJ (2006). Analysis of current use of local food of adults in Gyeongju classified by 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21(6):577-588. 

  22. Lee YJ, Choi SK (2004).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for native foods in Gyeongiu area.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7(1):157-174. 

  23. Lee YJ, Kim SC (2008). A study consciousness of local food menus excavation and development in Gyeongju areas. Kore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24(4):549-559. 

  24. Min KH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foods and tourism merchandising in Gimje area.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4(3):295-309. 

  25. Min SH, Park OJ (2004). A survey on the Koren food preference, frequency and nutriyional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in Kangwondo area. Koren J Food Culture 19(1):43-51. 

  26. Min YH, Park GS (2010). A study perception of Kyung-book local foods by characteristice. Koren Journalg of Food Cookery Sci 26 (1): 72-78. 

  27. Moon SS (2012).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wareness of native local foods: Centeringaround Jeongeup area.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6(6):435-445. 

  28. Park KT (2011).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wareness of native local foods -centering around Gimhae, Gyeongnam provinc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2):98-110. 

  29. Son YJ (2014). A study on the consumer's recognition for tourism merchandising of regional cuisine in Kyonggi province.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Management, Kyonggi University. 

  30. Williams J (1997). We never eat like this at home: food on holiday. In Caplan P(Ed). Food, Health and Indentity. London: Routledg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