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핵심역량의 국제적 동향 탐색
An Exploration of International Trends about the Core Competencies in Mathematics Curriculu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4 no.1, 2015년, pp.65 - 81  

김선희 (강원대학교) ,  박경미 (홍익대학교) ,  이환철 (한국과학창의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national trends of how the core competencies are reflected in mathematics curriculum,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the revision of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curriculum of the 9 countries including the U.S., Canada(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eSeCo은? 핵심역량이 본격적으로 담론화된 것은 OECD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프로젝트를 통해서이다. DeSeCo는 1997년부터 2003년까지 여러 국가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로, 미래 사회에서 개인의 성공적인 삶과 사회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을 규명하였다(OECD, 2003). DeSeCo의 영향으로 호주, 뉴질랜드, 독일, 캐나다, 대만 등 세계 여러 국가에서는 역량을 중심으로 초․중등 교육과정을 개편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교과 중심의 교육과정을 핵심역량 중심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이유는? DeSeCo의 영향으로 호주, 뉴질랜드, 독일, 캐나다, 대만 등 세계 여러 국가에서는 역량을 중심으로 초․중등 교육과정을 개편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이처럼 교과 중심의 교육과정을 핵심역량 중심으로 전환시키고자 하는 이유 중 하나는 학교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학습자에게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학교교육의 사회적 책무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학과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은? 2009 개정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을 표면화시켜 강조하지는 않았으나 수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수․학습방법’, ‘평가’에 핵심역량의 아이디어를 반영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목표’에서는 일반적인 차원의 다양한 핵심역량의 요소 중 수학과와 관련이 깊은 것은 창의적 사고능력, 문제해결 능력, 정보처리 능력, 의사소통 능력이라고 보고, 이를 수학 교과로 특화한 것을 ‘수학적 과정’으로 개념화하였다. 다음의 ‘목표’를 살펴보면 ‘문제해결’과 ‘의사소통’이 핵심역량과 수학적 과정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데, 핵심역량에 일반적인 문제해결과 의사소통, 수학적 과정에 수학적 문제해결과 수학적 의사소통이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핵심역량은 수학적 과정의 교수․ 학습을 통해 증진되는 것으로 말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notification 2011-361.) 

  2. 교육과학기술부, 부산시교육청 (2009).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 및 운영사례(III) -대만-. 교육과정 자료-438.(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2009). World countries' curriculum and manage cases(III) -Taiwan-. Curriculum Data-438.) 

  3. 김선희, 김부미, 이종희 (2014). 수학교육과 정의적 영역. 경문사.(Kim, S.H., Kim, B.M. & Lee, C.H. Affective domain in mathematics education. Kyungmoon.) 

  4. 박경미 외 11 (2014). 문.이과 통합형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최종보고서. 교육부.(Park, K. et al. (2014). A research report of reconstructing mathematics curriculum incorporating liberal art and natural science. Ministry of Education.) 

  5. 박혜숙, 나귀수 (2010).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수학적 과정'의 신설에 대한 소고. 수학교육논문집 24(3). 503-523.(Park, H. & Na, G. (2010). Investigating on the building of 'mathematical process' in mathematics curriculum.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4(3), 503-523.) 

  6. 서동엽 (2010). 수학적 추론의 본질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1), 65-80.(Seo, D. Y. (2010). A study on the nature of the mathematical reasoning.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4(1), 65-80.) 

  7. 유현주 (2000). 수학적 의사소통과 수학의 교수-학습. 학교수학 2(1). 53-72.(Yu, H.J. (2000).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mathematics learning-teaching. School Mathematics, 2(1), 53-72.) 

  8. 윤현진, 김영준, 이광우, 전제철 (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 핵심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7-1.(Yoon, H., Kim, Y., Lee, K. & Jeon, J. (2007). A study on developing a key competence in the primary/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the future of Koreans. KICE RRC 2007-1.) 

  9. 이광우 (2014). 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 교육부 워크샵 자료.(Lee, K. (2014). A direction of developing subject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Workshop.) 

  10. 이광우, 민용성, 전제철, 김미영 (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I): 핵심 역량 영역별 하위 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8-7-1.(Lee, K., Min, Y., Jeon, J. & Kim, M. (2008). A study on developing key competencies in the primary/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the future of Koreans(II). -Focused on the establishing sub-domains and components for key competencies-. KICE RRC 2008-7-1.) 

  11. 이광우, 박지만, 박민정 (2013).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3-17.(Lee, K., Park, J. & Park, M. (2013). A study on the directions reconstructing core competencies-focused curriculum. KICE CRC 2013-17.) 

  12. 이광우, 전제철, 허경철, 홍원표, 김문숙 (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10-1.(Lee, K., Jeon J., Huh, K., Hong W., & Kim, M. (2009). Redesign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developing future Koreans' core competences. KICE RRC 2009-10-1.) 

  13.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 (2012). 미래 사회 대비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4.(Lee, K., Kwak, Y.S., Lee, S. & Choi, J. (2012). Design of the competencies-ba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uture society. KICE RRC 2012-4.) 

  14. 이근호, 김기철, 김사훈, 김현미, 이명진, 이상하, 이인제 (2013a).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탐색: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교육평가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3-2.(Lee, K., Kim, K., Kim, S., Kim, H., Lee, M., Lee, S., & Lee, I. (2013a). Improvement plan of the subject curriculum based on the key competencies-focusing on the alignment of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assessment. KICE RRC 2013-2.) 

  15. 이근호, 이광우, 박지만, 박민정 (2013b).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3-17.(Lee, K., Lee, K., Park, J., & Park, M. (2013b). A study on the directions reconstructing core competencies-focused curriculum. KICE CRC 2013-17.) 

  16. 이영준, 백성혜, 신재홍, 유헌창, 정인기, 안상진, 최정원, 전성균 (2014).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BD14060010.(Lee, Y. Baik, S., Shin, J., You, H., Jeong, I., An, S., Choi, J., & Jeon, S. (2014). Research for introducing computational thinking into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KOFAC BD14060010.) 

  17. 장혜원 (2012). 미국의 수학교육과정 규준 CCSSM의 수학적 실천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22(4), 557-580.(Chang, H.W. (2012). Study on the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 of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2(4), 557-580.) 

  18. 정상권, 이경화, 유연주, 신보미, 김구연 (2011). 과정 중심의 수학교과 평가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1.(Chung, S., Lee, K.H., Yoo, Y., Shin, B.M., & Kim, G. (2011). A study on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school mathematics. KOFAC 2012-1.) 

  19. 조윤동, 윤용식 (2014). 핵심 역량 육성의 관점에서 비교한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수학교육학연구 24(1). 45-65.(Jo, Y.D. & Yun, Y.S. (2014). A Comparison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and Japan in viewpoint of promotion of key competencie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4(1), 45-65.) 

  20. 중국교육부 (2011). 의무교육 수학과정표준(2011년판). 중국인민공화국교육부제정.(中國敎育部(2011). 義務敎育數學課程標準(2011年版). 中國人民 共和國敎育部制定.) 

  21. 최승현, 곽영순, 노은희 (2011).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학습과 교사교육 방안: 중학교 국어, 수학,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1-1.(Choe, S., Kwak, Y., & Noh, E. (2011).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learners' key competencies: centering on mother tongue, mathematics and science. KICE RRI 2011-1.) 

  22. 최지영, 이대현 (2009). 소집단 문제해결 학습에서 수학문제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의 패턴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3), 247-265.(Choi, J. & Lee, D. (2009). An analysis of the communic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mathematical problem types in small group.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2(3), 247-265.) 

  23. 황선욱 외 32명 (2011).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과내용 개선 및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4.(Hwang, S. et al. (2011). Draft of the creativity-focus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e future. KOFAC 2011-4.) 

  24.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2011). The Australian Curriculum. 

  25.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2014).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http://www.corestandards.org/math(검색일: 2014.10.23.). 

  26. Curriculum Development Council (2002). Mathematics Education. Key Learning Area Curriculum Guide (Primary 1-Secondary 3). Hong Kong. 

  27. Department of Education, England (2013).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Key stages 3 and 4 framework document. 

  28. Ginsburg, A., Leinwand, S., & Decker, K. (2009). Informing Grades 1-6 standards development: What can be learned from high-performing Hong Kong, Korea, and Singapore? American Institute for Research. 

  29.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Government (HKSARG, 2007). Mathematics Curriculum and Assessment Guide(Secondary 4-6). http://334.edb.hkedcity.net/doc/eng/curriculum/Math%20C&A%20Guide_updated_e.pdf 

  30. Minister of National Education, Poland (2008). The core curriculum of preschoo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in particular types of schools (Certified translation from Polish language). Annexes to the Regulation of the Minister of National Education of December 23rd, 2008 (Journal of Laws of 15 January 2009, No 4, it. 17). 

  31.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007). Secondary Mathematics Syllabuses. 

  32. Ministry of Education, Canada (2005). 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1-8 Mathematics. 

  33.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 VA: NCTM. 

  34.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VA: NCTM. 

  35.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DeSeCo). OECD Press. 

  36. Schoenfeld A.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Orlando, FL: Academic Press. 

  37.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19(3), 33-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