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장 이식 환자의 자기효능감, 대처 행동, 치료지시 이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efficacy, Coping, and Compliance in Patients with Kidney Transplantation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1, 2015년, pp.11 - 20  

이정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박효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was to examine the self-efficacy, coping, and compliance in patients with kidney transplantation. Methods: Participants consisted of 300 outpatients who underwent kidney transplantation and regularly visited hospital for health check-up. A tool developed by Ahn (2000) was use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식 후 기간의 연장, 이식 환자의 고령화, 비혈연 간의 이식 증가 등 신장 이식과 관련된 환자의 특성이 변화되고 있으며 ABO 혈액형 부적합 이식의 경우 체액성 거부 반응을 예방하고 항 ABO 항체나 항 HLA 항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식전 리툭시맙 투약 및 혈장 교환술을 시행하게 되어 진균 감염 등 감염의 위험성도 더 높아져[23] 치료지시 이행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장 이식 환자의 자기 효능감 및 대처 행동, 치료지시 이행을 살펴보고, 이식과 관련된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신장 이식 환자의 특성에 따른 교육 및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신장 이식 환자의 자기효능감, 대처 행동 및 치료 지시 이행을 파악하고, 이식과 관련된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장 이식 환자의 자기효능감, 대처 행동, 치료지시 이행을 파악하고 이식과 관련된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처 행동은 낙관적, 자기 의존적, 대면적, 정서 완화적 대처 행동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감정적 대처 행동을 가장 적게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신장 이식과 관련된 특성이 변화되고 있어, 자가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자기효능감 및 대처 행동, 치료지시 이행을 살펴보고 이식과 관련된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8.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장 이식 환자의 자기효능감, 대처 행동, 치료지시 이행 및 관계를 파악하고 신장 이식과 관련된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며, 그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과 치료지시 이행이 낮은 실험군은 무엇인가? 자기효능감과 치료지시 이행에서 정기적인 병원 방문과 면역 억제제 투약 항목점수는 모두 높았지만, 일상생활 관리, 운동, 스트레스 관리, 식이 조절 항목은 모두 낮았다. 30세 미만인 경우 50세 이상인 경우보다 자기효능감 뿐만 아니라 치료지시 이행 또한 낮았으며 동거 가족 수가 2명인 경우 회피적 대처 행동을 많이 사용하고, 남자, 종교가 없는 경우, 직업이 없는 경우 치료지시 이행이 낮았다. ABO 혈액형 부적합 이식인 경우 대처 행동을 더 많이 사용하고 친 가족에게 이식을 받은 경우, ABO 혈액형 적합 이식인 경우, 이식 후 기간이 5년 이상인 경우, 이식 후 입원을 한 경우 치료지시 이행은 낮았다.
환자가 이식받은 신장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 이식 받은 신장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면역억제제 투약, 감염 예방, 식이요법, 운동, 체중 및 혈압 조절, 병원의 정기적 방문, 금연 및 햇빛 노출예방 등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인 추후관리가 필요하다[8-11]. 추후 관리의 불이행은 거부 반응, 감염 등과 더불어 사망이나 이식 신장의 상실을 유발할 수 있다[2,5,6,12,13].
말기 신부전 상태의 환자는 어떤 치료를 받아야 하는가? 만성 신부전은 고혈압 및 당뇨병성 신장병의 증가로 인하여 급증하고 있다. 말기 신부전 상태가 되면 평생 투석이나 신장이식과 같은 신대체요법을 시행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대체요법을 받는 말기 신부전 환자 수는 2012년 70,211명으로, 인구 백 만 명당 1,35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Dong CJ, Nam HK, Seoun WL, Jong SL, Sung RY, Bung SK. DCurrent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013;33:7-34. 

  2. Jeong KH, Lee YJ, Park JE, Oh WT, Lee YJ, Moon JY, et al. Factors predicting long-term graft survival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006;25(4):613-20. 

  3.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Annual report of the transplant 2012[Internet] Seoul; 2014 [cited 2015 January 01]. Available from: http://www.konos.go.kr 

  4. Alexandre GP, Squifflet JP, De Bruyere M, Latinne D, Reading R, Gianello P, et al. Present experiences in a series of 26 ABO-incompatible living donor renal allografts. Transplant proceedings. 1987;19(6):4538-42. 

  5. Park PK, Kown OJ, Kang CM. The impact of elderly donor in renal transplantation.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2008;22:66-9. 

  6. Fadili W, Allah MH, Laouad I. Chronic renal allograft dysfunction: risk factors, immunology and prevention. Arab Journal of Nephrology and Transplantation. 2013;6(1):45-50. 

  7. Jeon KO, Kim MS, Kim YS, Nam JM, Huh KH, Kim SI, et al. Analysis of risk factors affecting the graft survival in living unrelated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2004;18(2):155-63. 

  8. Ryu JH, Kim MH, Kang IS. A study on the compliance and educational demand of renal transplantation patient.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03;6(2):226-38. 

  9. Son YS, Hyun SJ. Kim NM, Eum OJ, Kim CG, Kim DJ, et al. The effect of compliance, family support and graft function on quality of life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2008;22(2):254-61. 

  10. Gheith OA, EL-Saadany SA, Donia S AA, Salem YM. Compliance of kidney transplant patients to the recommended lifestyle behaviours: single centre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08;14:398-407. http://dx.doi.org/10.1111/j.1440-172x.2008.00710.x 

  11. Kobus G, Malyszko J, Malyszko JS, Puza E, Gajewska B, Mysliwiec M. Compliance with lifestyle recommendation in kidney allograft recipients. Transplantation Proceedings. 2011;43: 2930-4. http://dx.doi.org/10.1016/j.transproceed.2011.08.031 

  12. Koo TY, Park HS, Kim HC, Park JS, Lee CH, Kim GH, et al. Infectious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kidney transplantation: follow-up results in single center.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2008;22(1):77-84. 

  13. Gaynor JJ, Ciancio G, Guerra G, Sageshima J, Hanson L, Roth D, et al. Graft failure due to noncompliance among 628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with long-term follow-up: a singlecenter observational study. Clinical and Transplantational Study. 2014;97(9):925-33. http://dx.doi.org/10.1097/01.tp.0000438199.76531.4a 

  14. Kim MH, Kim MS, Kwon OJ, Kang CM.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kidney transplant patients and dialysis patients.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2009;23(1):65-70. 

  15. Weng LC, Dai YT, Wang YW, Huang HL, Chiang YJ. Effects of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urs on depressive symptom of Taiwanese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8;17(13):1786-94.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7.02035.x 

  16. Ahn JH. The effect of the self efficacy promotion and exercise training program of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00;30(5):1181-94. 

  17. Urstad KH, Oyen O, Andersen MH, Moum T, Wahl AK.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renal recip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Transplantation. 2012;26: E246-53. http://dx.doi.org/10.1111/j.1399-0012.2012.01666.x 

  18. Benight CC, Bandura A. Social cognitive theory of posttraumatic recovery: the role of perceived self-efficac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004;42(10):1129-48. http://dx.doi.org/10.1016/j.brat.2003.08.008 

  19. Lindqvist R, Carlsson M, Sjoden PO. Coping strategies of people with kidney transpla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4;45(1):47-52.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3.02859.x 

  20. Gill P. Stressors and coping mechanism in live-related renal transplantatio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2;21:1622-31.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2.04085.x 

  21. Liu H, Feurer ID, Dwyer K, Shaffer D, Pinson CW. Effects of clinical factors on psychosocial variables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65(12):2585-96.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9.05111.x 

  22. Chen KH, Weng LC, Lee S. Stress and stress-related factors of patients after renal transplantation in Taiwan: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0;19: 2539-47.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9.03175.x 

  23. Yang JS. ABO incompatible kidney transplantation.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011;30:355-8. 

  24. White C, Gallagher P. Effect of patient coping preferences on quality of life following renal transplant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11):2550-9.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410.x 

  25. Kim DH, Kang SW, Ko KI, Kim CH, Lee JH, Lee JH, et al. Comparison of various methods for estimating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008;27:560-8. 

  26. Bandura A. The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ew Jersey: PrenticeHall; 1985. 

  27. Laza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984. 

  28. Jalowiec A, Murphy SP, Powers MJ.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Jalowiec coping scale. Nursing Research. 1984;33(3): 157-61.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405000-00008 

  29. Whang YO. The study of coping behavior of the heart transplant recipients-focused on the relation of stress, cop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4. p. 1-167. 

  30. Weng LC, Dai YT, Huang HL, Chiang YJ.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urs and quality of life of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4):828-38.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9.05243.x 

  31. Germani G, Lazzaro S, Gnoato F, Senzolo M, Borella V, Rupolo U, et al. Nonadherent behaviors after solid organ transplantation. Transplantation Proceedings. 2011;43(1):318-323. http://dx.doi.org/10.1016/j.transproceed.2010.09.103 

  32. Oh SH, Yoo EK.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kidney transplant and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06;36(7):1145-53. 

  33. Lin SY, Fetzer SJ, Lee PC, Chen CH. Predicting adherence to health care recommendations using health promotion behaviours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within 1-5 years posttransplan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1;20:3313-21.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1.03757.x 

  34. Yavuz A, Tuncer M, Erdogan O, Gurkan A, Cetinkaya R, Akbas SH, et al. Is there any effect of compliance on clinical parameters of renal transplant recipient?. Renal Transplantation. 2004;36(1):120-1. http://dx.doi.org/10.1016/j.transproceed.2003.11.0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