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제주도 남부 조하대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Zone in South Jeju, Korea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7 no.1 = no.73, 2015년, pp.273 - 283  

강규상 (군산대학교) ,  고용덕 (군산대학교) ,  김영식 (군산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at the subtidal zones of Daepo, Wolpyeong, Wimi and Jigwido in south Jeju, Korea from March to December 2009. Total 87 species including 14 green algae, 23 brown algae, and 50 red algae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조하대 연구는 조간대 조사에 비해 물속으로 들어가서 조사해야 하는 어려움과, 그로인한 많은 비용과 노동력이 발생하여, 현재까지도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조하대 지역이 더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한 대포, 월평, 위미 및 지귀도 해역의 조하대의 해조류를 조사하여 각 해역별 해조 군집 특성과 계절별 변동양상을 파악하고 이 결과를 인근 해역에서 선행된 연구와 비교하여 변화양상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생물자원의 보전과 지속적인 이용을 위해 해조 군집 파악이 필요한 이유는? 연안에서 서식하는 해조류의 분포와 군집구조 분석은 연안 해양 생태계의 다양성과 생산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Ko etal., 2008a).
제주도의 특징은? 제주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섬으로, 이 해역은 우리나라에서 쿠로시오 난류의 영향을 제일 많이 받는 해역이고, 지리적 영향으로 인해 한반도의 다른 해역에 비해 수온이 따뜻하다. 이러한 이유로 제주도 해역은 국내의 다른 해역들에 비해 일차 생산자인 해조류가 많이 서식하여 해산 식물 자원의 보물섬으로 불릴 만큼 다양하고 풍부하게 해조류가 분포하고 있는 지역이다(Kim, 1991).
제주도 남부 해역의 문섬의 특징은? 이러한 이유로 제주도 해역은 국내의 다른 해역들에 비해 일차 생산자인 해조류가 많이 서식하여 해산 식물 자원의 보물섬으로 불릴 만큼 다양하고 풍부하게 해조류가 분포하고 있는 지역이다(Kim, 1991). 특히 제주도 남부 해역의 문섬은 다양한 무척추동물, 어류, 해조류 등이 서식하고 있어 섬 전체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천연보호지역으로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생태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rbour, M. G. Burk, J. H. & Pitts, W. D.(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The Benjaminn/ Cumming Pub. Co., Inc. 

  2. Boo, S. M.(1988). Distribution theory study of Cheju sea areas algae, Journal of Cheju Studies, 5, 97-144. 

  3. Bray, J. R. & Curtis, J. T.(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ogical Monographs, 27, 325-349. 

  4. Cheney, D. P.(1977). R & C/P-A new and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Supplement Journal of Phycology, 13, 129. 

  5. Choi, C. G. Kwak, S. N. & Sohn, C. H.(2006).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marine algae at Uljin on the east coast of Korea, Algae, 21, 463-470. 

  6. Choi, H. G.(2008) Effects of thermal effluents from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on macroalgal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Algae, 23, 151-162. 

  7. Feldmann, J.(1937). Recherches sur la vegetation marine de la Mediterranee. La cote des Alveres. Rev. Algol., 10, 1-339. 

  8. Kang, J. W.(1960). The summer algal flora of Cheju Island (Quelpart Island), Bulletin of Pusan Fisheries College, 3, 17-23. 

  9. Kim, M. S. Kim, M. Chung, M. H. Kim, J. H. & Chung, I. K.(2008).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intertidal seaweeds in Chuja Island, Algae, 23, 301-310. 

  10. Kim, Y. H.(1991). Marine plant resources of Cheju Island, Journal of Cheju Studies, 8, 137-156. 

  11. Kim, Y. H. & Park, S. H.(1997). Succession pattern of intertidal benthic algal communities in Cheju Island, Algae, 12, 23-30. 

  12. Ko, C. H. & Sung, N. G.(1983). Community structure and productivity of phytobenthos in Jukdo (Eastern coast of Korea)-1. Benthic marine algal vegetation and its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Botany, 26, 119-130. 

  13. Ko, Y. W. Sung, G. H. & Kim, J. H.(2008a). Estimation for seaweed biomass using regression: A methodological approach, Algae, 23, 289-294. 

  14. Ko, Y. W. Sung, G. H. Yi, C. H. Kim, H. H. Choi, D. H. Ko, Y. D. Lee, W. J. Koh, H. B. Oak, J. H. Chung, I. K. & Kim, J. H.(2008b). Temporal variations of seaweed biomass in Korean coast: Munseom, Jeju island, Algae, 23, 295-300. 

  15. Koh, C. H.(1983). Community structure and productivity of phytobenthos in Jukdo (eastern coast of Korea). II Seasonal changes of algal vegetation in relation to annual growth large brown algae, Korean Journal of Botany, 26, 181-190. 

  16. Lambshead, P. J. D. Platt, H. M. & Shaw, K. M.(1983). The detection of differences among assemblages of marine benthic species based on an assessment of dominance and diversity, Journal Natural History, 17, 859-874. 

  17. Lee, I. K. Kim, Y. H. Lee, Y. P. & Park, S. H.(1994).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intertidal benthic algal community in Cheju island 1.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s, Korean Journal of Phycology 9, 193-203. 

  18. Lee, J. C.(2007). Study on the Algal Vegetation in the Subtidal Zone of Jeju Island, Master of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52. 

  19. Lee, K. W.(1976). Survey of the algal flora of Jeju Island, Bulletin of Marine Biological Station Cheju University, 1, 21-42. 

  20. Lee, K. W. & Ko, S. J.(1991). Algal flora of four Islets without inhabitants along the coast of Cheju Island, Cheju Inhabited of the Research Report, 239-269. 

  21. Lee, K. W. Shon, C. H. & Chung, S. C.(1998). Marine algal flora and grazing effect of sea urchins in the costal waters of Cheju Island, Journal of Aquaculture, 11, 401-419. 

  22. Lee, Y. P. & Kang, S. Y.(2002). A Catalogue of the Seaweeds in Korea. Cheju National University Press, Cheju, Korea, 662. 

  23. Lee, Y. P. & Lee, I. K.(1976). On the algal community in the intertidal belt of Jeju island, Korean Journal of Botany, 19, 111-118. 

  24. Lee, Y. P. & Lee, I. K.(1982). Botanical distribution studies of rock algal island resour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Journal, 7, 73-91. 

  25. Littler, M. M. & Littler, D. S.(1984). Relationships between macroalgal functional form groups and substrate stability in a subtropical rocky intertidal system,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74, 13-34. 

  26. Oak, J. H. Keum, Y. S. Hwang, M. S. & Oh, Y. S. (2004). Subtidal algal community of Supseom and Seongsanpo in Jeju Island, Underwater Science & Technology, 5, 3-9. 

  27. Orfanidis, S. Panayotidis, P. & Stamatis, N.(2001). Ecological evaluation of transitional and coastal and water; A marine benthic macrophytes-based model, Mediterranean Marine Science, 2, 45-65. 

  28. Orfanidis, S. Panayotidis, P. & Stamatis, N.(2003). An insight to the ecological evaluation index (EEI), Ecological Indicators, 3, 27-33. 

  29. Park, Y. K. Seo, K. S. & Choi, C. K.(2006) Environmental Biology, Daehakseolim. 

  30. Saito, Y. & Atobe, S.(1970). Phytosociological study of intertidal marine algae. 1. Usujiri Benten-Jima, Hokkaido, Bulletin of Faculty of Fisheries Hokkaido University, 21, 37-69. 

  31. Segawa, S.(1956). Coloured Ilustrations of the Seaweeds of Japan, Hoikusha Publ. Co. Osaka. 

  32. Simpson, E. H.(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33. Sohn, C. H. Lee, I. K. & Kang, J. W.(1983). Benthic marine alga of Dolsan-Islan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Structure of algal communities of subtidal zone, Bulletin of Korean Fisheries Society, 16, 379-388. 

  34. Yoo, J. S.(2003).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enthic algal community in the subtidal zone of Yeongil inner and outer bay, Algae, 18, 365-369. 

  35. Yoon, J. T.(1985). Flora of Marine Algae in Cheju Island, Master of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