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asonal variations of seaweed community structure according to ocean environment at three areas in the east coast of Korea. Mean water temperatures of Gosung, Samchuk, and Gyeongju were $8.3^{\circ}C$, $11.2^{\circ}C$, and $13.1^{\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동해 해역별로 같은 시기에 해조상의 변화를 조사한 자료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수온 등 환경이 해조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동해 연안의 3개 해역을 중심으로 계절별 해조상과 군집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환경과 해조류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서 고성군 대진, 삼척시 임원, 경주시 감포 3개 해역을 대상으로 분기별로 해조상을 수온과 영양염과 비교 및 분석하여 해양 환경에 따른 해조류 분포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온 등 환경이 해조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동해 연안의 3개 해역을 중심으로 계절별 해조상과 군집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환경과 해조류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서 고성군 대진, 삼척시 임원, 경주시 감포 3개 해역을 대상으로 분기별로 해조상을 수온과 영양염과 비교 및 분석하여 해양 환경에 따른 해조류 분포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변화가 가속화되어 21세기 해수 평균수온과 해수면은 어떻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하는가? 2007년에 발간된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제 4차 보고서에 따르면 21세기에는 기후변화가 가속화되어 해수 평균수온이 6.4℃, 해수면은 최대 59 cm 상승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우리나라 주변 해역은 지난 41년간 1.35℃, 연간 0.
해조류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며 해조류가 소실되는 갯녹음 현상의 원인은 무엇인가? 033℃ 상승하였는데 이러한 기후변화는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및 해류변화 등이 원인이며, 이로 인해 생태계의 먹이망 구조변화, 어류자원변동이 예상된다(ME, 2010). 기후변화의 대표적 현상인 수온 상승은 해조류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며 해조류가 소실되는 갯녹음 현상의 원인으로 주목 받고 있다(Fujita. 2010).
같은 장소에서도 조사 시점에 따라 해조상과 생물량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의 사례는 무엇인가? 같은 장소에서도 조사 시점에 따라 해조상과 생물량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강원 임원 해역 조사에서 다시마, 개다시마, 미역, 우뭇가사리, 야끼시리구멍쇠미역 등이 서식하였는데 현존량은 429.9 g/m2이었고, 조사당시 우점종은 다시마였다(Jang 등, 1994).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 개다시마 등이 이미 소실되었으며 대형갈 조류의 현존량도 현저히 감소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Boo, S. M., 1987,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from shore area of Kangwon province, Korean J., Phycol., 2(2), 223-235. 

  2. Boo, S. M., Lee, I. K., 1986, Studies on benthic algal community in the east coast of Korea, I., Floristic composition and periodicity of Sokcho rocky shore, Korean J., Phycol., 1, 107-116. 

  3. Cheney, D. P., 1977, R & C/P-A new and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Suppl., J., Phycol., 13, 129. 

  4. Choi, C. G., Kwak, S. N., Sohn, C. H., 2006,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marine algae at Uljin on the east coast of Korea, Algae, 21(4), 463-470. 

  5. Choi, C. G., Lee, H. W., Hong, B. K., 2009,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Dokdo, east sea, Korea. Kor., J., Fish Aquat Sci., 42, 503-508. 

  6. Choi, G. C., Hyun, S. R., 2010, Marine algse community of ulsan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Kor., J., Fish., Aquat., Sci., 43(3), 246-253. 

  7. Chung, H. S., Lee, H. J., Lee I. K., 1991, Vert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on a Gallam rocky shore of the mid-east coast of Korea, Korean J., Phycol., 6, 55-67. 

  8. Clarke, K. R., Gorley, R. N., 2006, User Manual/Tutorial. PRIMER-E Ltd, Plymouth, PRIMER V6. 

  9. Dring, M. J., 1992, The biology of marine plants, Combridge univ. Press, Cambridge. 

  10. Feldmann, J., 1937, Recherches sur la vegetation marine de la Mediterranee, La cote des Alberes Rev., Algol 10, 1-339 

  11. Fujita, D., 2010,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iosyake in Japan, Bull, Fish., Res., Agen., 32, 33-42. 

  12. Jang, J. W., 1994,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Kangwon, 122. 

  13. Kang, J. W., 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 Pusan Fish., Coll., 7, 1-125. 

  14. Kang, P. J., Young, I. K., Ki, W. N., 2008,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in Ilkawang bay, Korea, Algae, 23(4), 317-326. 

  15. Kim, C. H., Kim, K., 1983,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the cold water mass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18, 73-83. 

  16. Kim, H, K., Kim, Y. H., 1991, Marine Algal Communities around Three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Algae, 6(2), 157-192. 

  17. Kim, H. Y., Hee, M. E., Kang, Y. S., 1998,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warm tolerant benthic marine algae in Korea I., Kori nuclear power plant, Algae, 13(2), 213-226. 

  18. Kim, Y. D., Gong, Y. G., Jeon, C. Y., Song, H. I., Park, M. S., Lee, C. S., Yoo, H. I., Kim, Y. H., 2010,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Daeji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Kor., J., Fish Aquat., Sci., 43(5), 532-539. 

  19. Kim, Y. D., Park, M. I., Yoo, H. I., Min, B. H., Moon, T. S., Choi, H. G., 2012, Seasonal variation in subtidal seaweed community structure at hajung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Kor., J., Fish Aquat., Sci., 44(6), 532-539. 

  20. Kim, Y. D., Hong, J. P., Song, H. I., Park, M. I., Moon, T. S., Yoo, H. I., 2012, Studies on Technology for Seaweed Forest Construction and Transplanted Ecklonia cava Growth for an Artificial Seaweed Reef J., Environ., Biol., 33, 969-975. 

  21. Kim, Y. H., 2010, Algae, second edition, 6. 

  22. Kim, Y. H., Ki, W. N., Sohn, C. H., 1997, Interidal benthic marine algae at chumunjin on the east coast of Korea: flora,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Algae, 12(2). 

  23. Lee, J. W., Lee, H. B., 1988, A floristic study on marine benthic algae of Yongil Bay and adjacent areas, ea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Phycol 3, 165-182. 

  24. Lee, S. Y., Lee, J. W., Lee, H. B., 1997, Marine benthic algae flora of Yongil bay and its adjacent areas the eastern coast of korea, algae, 12(4), 303-311. 

  25. Lee, I. K., Kim, Y. H., 1999, Bio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marine benthic organisms and uses of algal resources in the coastal zone of Korea and Japan I. Benthic marine Algae in the east coast of Korea, Algae, 14, 91-110. 

  26. Lee, Y. P., Kang, S. Y., 2002, A Catalogue of the Seaweeds in Korea. Cheju National University Press, Cheju 

  27. Maegawa, M., 1990, Ecological studies of Eisenia bicyclis(Kjellman)Setchell and Ecklonia cava kjellman, Bull Fac Bioresources Mie Univ., 4, 73-145 

  28. Maegawa, M., Kida, W., 1989, Regeneration process of Ecklonia marine forest in the coastal area of Shima Peninsula, central Japan. J., Phycol, 37, 194-200. 

  29.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36-71. 

  30. McNaughton, S. J., 1967, Structure and function in California grasslands, Ecology, 49, 962-972. 

  31. ME, 2010, Climate change adaption actions for local government, 608. 

  32. MOMAF, 1997, Aquaculture of Undaria pinnatifida and Costaria costata, 75. 

  33. Nam, K. W., Kim, Y. S., Kim, Y. H., Sohn, C. H., 1996, Benthic marine algae in east coast of Korea: flora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J., Korean Fish., Soc., 29, 727-743. 

  34. NFRDI Report, 2007, A Study on Construction of Seaweed Forest in the East Sea, In 2007 final report on fisheries life sciences and aquaculture sciences, Yemoonsa, Busan, Korea, 1-542. 

  35. NFRDI, Report, 2008, Annual Report of Oceanographic Observations, 56. 

  36. NFRDI, Report, 2009, Annual Report of Oceanographic Observations, 57. 

  37. NFRDI, 2011, Studies on construction of seaweed forest area in Korea, 991. 

  38. NFRDI, 2011, Annual report of oceanographic observations for 2011 

  39. Novaczek, I., 1980, The development and phenology of Ecklonia radiata(C.Ag.)J., Ag., PhD thesis, Auckland University, NewZealand. 

  40. Pielou, E. C., 1969,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Wiley, New. 

  41. Segawa, S., 1956, Coloured illustrations of the seaweeds of Japan, Hokkusha, Osaka. 

  42. Shannon, C., 1948,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Bell Syst Tech., J., 27. 

  43. Shin, J. D., Ahn, J. K., Kim, Y. H., Lee, S. B., Kim, J. H., Chung, I. K., 2008a,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at Daejin and Jukbyeo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Algae, 23, 231-240. 

  44. Shin, J. D., Ahn, J. K., Kim, Y. H., Lee, S. B., Kim, J. H., Chung, I. K., 2008b, Temporal variations of seaweed biomass in Korean coast: Daejin, Kangwondo, Algae, 23, 327-334. 

  45. Shon, C. H., Choi, C. G., Kim, H. G., 2007, Algal communities and useful seaweed distribution at gangnung and it's vicinity in east coast of Korea, Algae, 22(1), 45-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