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후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on the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2, 2015년, pp.237 - 244  

김형민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작업치료 전공) ,  심민규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작업치료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고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224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의 측정을 위해 뇌졸중 환자 삶의 질 평가도구(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 SS-QOL), 정신건강은 간이정신진단검사(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를 사용하였다. 정신건강과 삶의 질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를 이용하였고,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단순 회기분석과 하위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신건강과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정신건강이 삶의 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으로 $R^2$ 0.28로 28%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하위영역 중 우울은 $R^2$ 0.42로 42%의 설명력을 보였다. 뇌졸중 환자에서 우울이 낮을수록 환자의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활 초기부터 정신건강 요인을 포함한 전인적 접근과 중재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and find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The participants were 224 inpatients diagnosed with stroke. The 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SS-QOL) was used for measuring Qual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진행되어지고 있으나,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는 적은 실정이며, 더불어 정신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 여러 요인들 중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재활치료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를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24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삶의 질과 정신건강의 상관성을 파악하고,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우울이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삶의 질과 정신건강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들의 삶의 질과 정신건강을 측정하여 각 요인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고, 요인들 간의 상관성을 확인 하였다.
  • 즉, 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기분장애, 정신병적 장애, 불안장애등의 많은 정신건강의 문제와 요인이 있으나 포괄적인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정신건강의 여러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혈관 손상에 의해 초래되는 급작스러운 신경학적 결손으로[7,8], 최소한 사망하지 않더라도 대부분 장애를 가지게 된다[9]. 뇌졸중의 장애는 신체적 요인과 정신적인 요인으로 삶의 질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10], 특히 정신적인 요인은 신체 기능이 회복되어도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지속하게 되어[11], 정신건강(mental health)의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12].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 삶의 질이란 “한 개인의 문화권과 가치체계의 맥락 안에서 자신의 목표, 기대, 규범, 관심과 관련하여 삶에 대한 개인적인 지각”이며[1], 주관적으로 느끼는 즐거움, 행복감[2], 일상생활의 활동에서 얻는 만족감과 관계되는 가치판단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3]. 이러한 삶의 질은 모든 인간이 추구할 권리가 있으나[4], 뇌졸중 환자의 경우 만성적인 장애를 지닌 채 낮은 삶의 질을 유지하며 생을 지속하게 된다[5,6].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삶의 질과 정신건강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의 의의는? 본 연구는 224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삶의 질과 정신건강의 상관성을 파악하고,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우울이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의향상을 위해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건강 요인을 고려하고 중재 초기부터 우울을 포함한 전인적 접근과 중재에 초점을 두어야 최적의 재활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WHOQOL. Study protocol fo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ject to develop a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quality of life research, Vol. 2, pp. 153-159, 1993. 

  2. S. Y. Han, Quality of Life and Intrinsic Motivation.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Vol. 2, No.1, pp. 95-111, 1995. 

  3. R. Dubos, The State of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The Western Journal of Medicine, Vol. 125, No.1, pp. 8-9, 1976. 

  4. H. S. Kim, Y. O. Hwang, J. H. Yu, J. H. Jung, H. S. Woo, H. S. Jung,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7, No. 3, 2009. 

  5. C. S. Kwon, Factors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ai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Kor J Neural Rehabil, Vol. 4, No. 1, pp. 21-29, 2014. 

  6. Jung-In Moon,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troke quality of life; using the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SS-QOL). master's.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2003. 

  7. J. Adamson, A Beswick, S. Ebrahim, Is stroke the most common cause of disability.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Vol. 13, No. 4, pp. 171-177, 2004. 

  8. M. V. Radomski, C. A. Trombly-Latham,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9. Y. M. Soung, J. H. Lee, Factors in Post Stroke Depression of Stroke Patients Hospitalized in University Medical Centers. J Korean Gerontol Nurs, Vol. 15, No. 2, pp. 85-94, 2013. 

  10. E. M. Oh, G. R. Hong, Factors Predicting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in Rehabilitation Hospitals after Stroke. J Korean Gerontol Nurs, Vol. 16, No. 2, pp. 107-117, 2014. 

  11. A. S. Darlington, D. W. Dippel, G. M. Ribbers, R. Balen, J. Passchier, J. J. Busschbach, Coping strategies as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A longitudinal study. Cerebrovascular Diseases, Vol. 23, No. 5-6, pp. 401-407, 2007. 

  12. J. Y. Park, The Effect of Aerobic and Resistance Training on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16, no. 3. pp. 205-217, 2007. 

  13. A. Beattie, M. Gott, L. Jones, M. Sidell, Health and wellbeing: a reader. Macmillan, Basingstoke. 1993. 

  1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uthor. 1994. 

  15. www.kostsat.go.kr. 2011. 

  16. M. L. Niemi, R. Laaksonen, M. Kotila, O. Waltimo, Quality of life four years after stroke. Stroke, Vol. 19, pp. 1101-1107, 1988. 

  17. UK700 Group,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 175, pp. 426-432, 1999. 

  18. Y. D. Kwon, H. Chang, Y. J. Choi, S. S. Yoon, Nationwide trends in stroke hospitalization over the past decad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55, No. 10, pp. 1014-1025, 2012. 

  19. Jung-Bin Yang, A Study on the disease-related, psyvhosocial and e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stroke survivors. Ph.D.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2009. 

  20. M. Astrom, R, Adolfsson, K. Asplund, Major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A 3-year longitudinal study. Stroke, Vol. 24, pp. 976-982, 1993. 

  21. F. Khan, Poststroke depression. Clinical Practice, Vol. 33, No. 10, pp. 831-834, 2004. 

  22. E. M. Whyte, B. H. Mulsant, Post stroke depression: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and biological treatment. Biological Psychiatry, Vol. 52, pp. 253-264, 2002. 

  23. I. S. Park, D. Y. Kim, C. Y. Kang, The relationship of Dysfunctions Degree, Daily Living Activity, Depressiveness and Qualiry of Life among the Elderly Suffering from Strok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5, No. 2, pp. 173-186, 2011. 

  24. J. H. Kim, H. S. Kang, W. O. Kim, M. J. Wang, C. M. Chang,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Stroke Patient at Home. Korean J Rehabil Nurs, Vol. 9, No. 1, pp. 49-55, 2006. 

  25. B. H. Cho, M. H. Ko, S. Y. Kim, A Study on stroke patient's ADL, depress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 6, No. 1, pp. 51-60, 2003. 

  26. S. W. Linda, W. Morris, E. H. Lisa, O. C. Daniel, B. Jose, Development of a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Stroke, Vol. 30, pp. 1362-1369, 1999. 

  27. K. I. Kim, H. T. Won, J. H. Lee, K. Y. Kim, Standardization study of symptom check list-90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17, No. 4, pp. 449-458, 1978. 

  28. So-Yeon Jeon, A story of the SCL-90-R and the color preference on the Sasang physical constitution. master'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2012. 

  29. Sun-Ock Lim,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Ph.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2002.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position paper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ocial Science & Medicine, Vol. 41 No.10, pp. 1403-1409, 1995. 

  31. S. D. Yoo, M. H. Chun, S. B. Ryun,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ity of poststroke depression(PSD)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patients with strok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33, pp. 527-532, 2009. 

  32. Y. H. Han, A. J. Lim, S. R. Kim, J. Y. Kim, K. Y. Kam, The effect of changes in post-stroke depression on cognition and upper extremity recover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9, No. 2, pp. 39-51, 2011. 

  33. R. B. King,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Stroke, Vol. 27, 1467-1472, 1996. 

  34. K. Hafen, J. Jastrebow, R. Nubling, J. Bengel, Development a patient questionnaire for assessment a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PAREMO). Rehabilitation, Vol. 40, No. 1, pp. 3-11, 2001. 

  35. E. J. Chung, B. H. Lee, A Comparison of balanc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rients with depression and those without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Vol. 8, No. 3, pp. 61-69, 2012. 

  36. F. J. Carod-Artal, Determining quality of life in stroke survivors. Expert Review of Pharmacoeconomics & Outcomes Research, Vol. 12, No. 2, pp. 199-211, 2012. 

  37. F. J. Carod-Artal, J. A. Egido,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 The importance of a good recovery. Cerebrovascular Diseases, Vol. 27, No. 1, pp. 204-214, 2009. 

  38. Eun-Mi Oh,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us, daily living activitie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suffering from stroke. master'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