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부모양육태도 불일치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the Ego-Resilience and Disagreement in Parents'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2, 2015년, pp.299 - 308  

정경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과) ,  김봉환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부모양육태도 불일치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자아탄력성과 부모양육태도의 일치성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됨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17명의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부모양육태도 척도를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고위험 사용자군 17명(5.3%),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50명(15.8%), 일반 사용자군 250명(78.9%)으로 나타나,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이 21.1%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고위험 사용자군은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과 일반 사용자군에 비해 자아탄력성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 사용자군에 비해 부모 양육태도 불일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개인요인인 자아탄력성과 가정환경요인인 부모 양육태도 불일치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이 높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자아탄력성을 높이고 부모가 일치된 태도로 자녀를 양육하는 것이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the ego-resilience and disagreement in parents'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To conduct this study, 317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자아탄력성이 인터넷이나 휴대전화 중독에 유용한 예측변인으로 밝혀지고 있고[12],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높은 집단이 자아탄력성 수준이 낮았다는 연구[13]를 토대로, 스마트폰 중독 수준별로 자아탄력성이 차이를 보일 수 있음을 유추하였다. 또한 부모양육태도 불일치가 청소년 문제행동의 원인이 됨을 밝힌 연구[14]를 바탕으로 하여, 부모양육태도 불일치가 스마트폰 중독수준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자아탄력성, 부모양육태도 불일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일일 사용시간 제한을 위한 제도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수준별로 자아탄력성과 부모양육태도 불일치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수준별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성을 밝히고, 각 중독수준 특성에 맞는 예방과 치료적 접근에 대한 실천적인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을 고위험 사용자군,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일반 사용자군으로 나누어 집단별 차이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스마트폰 중독수준별 차이를 검증함에 있어 먼저, 개인요인으로 스트레스나 어려움의 상황에서도 문제행동을 보이지 않고 적응적으로 살아가는 성격특성으로 밝혀지고 있는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보고자 한다. 이는 자아탄력성이 인터넷이나 휴대전화 중독에 유용한 예측변인으로 밝혀지고 있고[12],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높은 집단이 자아탄력성 수준이 낮았다는 연구[13]를 토대로, 스마트폰 중독 수준별로 자아탄력성이 차이를 보일 수 있음을 유추하였다.
  •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고위험 사용자군과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일반 사용자군의 자아탄력성이라는 개인성격 특성과 부모양육태도 불일치라는 가정 환경적 특성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수준별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예방과 치료가 중독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수준별로 자아탄력성과 부모양육태도 불일치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수준별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성을 밝히고, 각 중독수준 특성에 맞는 예방과 치료적 접근에 대한 실천적인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317명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을 고위험 사용자군,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일반 사용자군으로 나누어 집단별 차이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스마트폰 중독수준별 차이를 검증함에 있어 먼저, 개인요인으로 스트레스나 어려움의 상황에서도 문제행동을 보이지 않고 적응적으로 살아가는 성격특성으로 밝혀지고 있는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첫째,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따라 자아탄력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따라 부모양육태도 불일치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스마트폰 중독을 무엇이라 정의하였는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스마트폰 중독을 스마트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 불안, 초조함을 느끼며, 일상생활에서 부적응이 나타남에도, 스마트폰 사용을 조절할 수 없는 상태로 정의하였다[15]. 이러한 스마트폰 중독은 일상생활장애, 가상대인관계지향, 내성, 금단의 4가지 차원으로 설명할 수 있다[16].
스마트폰 중독을 설명할 수 있는 4가지 차원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스마트폰 중독을 스마트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 불안, 초조함을 느끼며, 일상생활에서 부적응이 나타남에도, 스마트폰 사용을 조절할 수 없는 상태로 정의하였다[15]. 이러한 스마트폰 중독은 일상생활장애, 가상대인관계지향, 내성, 금단의 4가지 차원으로 설명할 수 있다[16]. 즉 스마트폰 중독은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 불안, 초조 등이 나타나며, 일상생활에서 장애를 경험하고, 스마트폰에 의존, 집착하게 됨으로, 내성과 금단증상이 나타나는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스마트폰 중독관련 연구가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스마트폰 중독관련 연구는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다. 이는 스마트폰 보급률이 급속도로 증가하여 현대인의 생활 속에 빠르게 침투하였고, 생활에 편리함을 주는 동시에, 몰입, 의존, 과다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음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진행된 스마트폰 중독관련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나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결과에 초점을 둔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2,3,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NIA, 2013 The survey of internet addiction. Seoul: NIA, 2014. 

  2. K. H. Hwang, Y. S. Yoo, O. H. Cho,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 12, No. 10, pp. 365-375, 2012. 

  3. H. S. Choi, H. K. Lee, J. C. Ha,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er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3, No. 5, pp. 1005-1015, 2012. 

  4. B. N. Kim,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youth's socially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4, pp. 208-217 2013. 

  5. Chang-Min Keum, Research into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Mental Health Proble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at Kore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6. NIA, 2012 The survey of internet addiction. Seoul: NIA, 2013. 

  7. B. N. Kim, E. J. Ko, H. I. Choi,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A focus on differences in classifying risk groups. Studies on Korean Youth, Vol. 24, No. 3, pp. 67-98, 2013. 

  8. B. N. Kim, H. I. Choi, Effects of study overprotective parent's raising attitude on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addi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 29, No. 1, pp. 1-25, 2013. 

  9. G. Y. Cho, Y. H. Kim,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Addiction in High School Students in B city.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 26, No. 1, pp. 166-178, 2014. 

  10. Hyeon-Ok Jo, Differ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Impulsiveness and Perceived Stress According to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eimyung University. 2012. 

  11. E. J. Lee, J. K. Eo, The Differences of the Impulsivity and Parenting Attitud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Smartphone Addiction. Journal of Life-span Studies, Vol. 4, No. 1, pp. 1-17, 2014. 

  12. M. R. Song, S. Y. Kim, The Relationship among Peer Attachment, Ego-Resilience and Mobile Phone depend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Youth Culture publishes Forum, Vol. 32, pp. 65-89, 2012. 

  13. Se-Hee Koo, A study on Attachment Factors and Addiction Tendency of the Smart Phone-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diliency-. Ph.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2014. 

  14. J. S. Lee, J. H. Kim, The Impact of the Discrepancy in the Parents' Attitude towards Nurturing On the Perceived Self-Efficacy and Problematic Behavior of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 16, No. 3, 207-235, 2014. 

  15. NIA,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and adults. Seoul: NIA, 2011. 

  16. K. W. Shin, D. I. Kim, Y. J. Jung,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Seoul: NIA, 2011. 

  17. J. Block, Assimilation, accommodation, and the dynamics of personality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Vol. 53, No. 1, 1982 

  18. J. H Block, J. Block,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e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Vol. 13, pp. 39-101, 1980. 

  19. Y. O. Nam, S. J. Le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nd Mental Health in Youth's Internet Addiction by the Addiction Typ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57, No. 3, pp. 195-222, 2005. 

  20. W. C. Becker, Consequences of Different Kinds of Parents Discipline.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Vol. 2, No. 2, pp. 169-308, 1996. 

  21. J. H. Lim, Relaionships between Korean parenting and Adolescents' Developmental Outcomes on Self-Esteem and Social Responsibility.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Vol. 13, No. 1, pp. 135-151, 2006. 

  22. I. J. Choi, The Influence of Cultural Uniqueness of Parent-Children Relationship on Adolescent's Mental Health: Parent-Adolescent Affective Bonding.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Vol. 17, No. 4, pp. 1059-1076, 2005. 

  23. J. H. Noh, H. J. Song, Influence of Disagreement in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on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in Childre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sychotherapy, Vol. 4, No. 1, pp. 1-15, 2012. 

  24. Mi-Hyang Choi,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Rearing Attitude Consistency Between Parents to Children's Self-Efficac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gu University. 2002. 

  25. M. A. Bruch, R. G. Heimberg, P. Berger, T. M. Collins, Social phobia and perceptions of early parental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nxiety Rearch, Vol. 2, No. 1, pp. 57-65, 1989. 

  26. J. M Tschann, E. Flores, L. A. Pasch, B. V. Marin, Assessing interparental conflict: Reports of parents and adolescents in European American and Mexican American famil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 61, pp. 269-283, 1999. 

  27. R. E. Emery, Interparental conflict and the children of discord and divorce. Psychological Bulletin, Vol. 9, No. 2, pp. 310-330, 1982. 

  28. J. F. Cohn, S. B. Campbell, Inflence of maternal depression on infant affect regulation. In D. Cicchetti, Dante (Ed); Toth, Sheree, L. (Ed), (1992).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depression, Rochester symposium o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Vol. 4. Rochester, NY, US: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1992. 

  29. Young, K. S. (1998). Caught in the Net: How to recognize the signs of internet Addiction and a winning strategy for recovery.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30. H. I. Jo,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Internet Use Motives on Internet Addiction: Self-Control as a Mediator.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 13, No. 4, pp. 269-287, 2011. 

  31. H. R. Lee, H. S. Doh, M. J. Kim, B. K. Park, Pathways from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o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Self-Control and Depression/Anxiety, Child Studies in Diverse Contexts, Vol. 30, No. 2, pp. 97-112, 2009. 

  32. W. Y. Shin, M. G. Kim, W. J. Kim, Developing Measures of Resilience for Korean Adolescents and Testing Cro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tudies on Korean Youth, Vol. 20, No. 4, pp. 105-131, 2009. 

  33. M. Y. Huh, A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ventory for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Vol. 12, No. 2, pp. 170-189, 2004. 

  34. MOGEF, 2013 Study of Internet and Smartphone use in youth. Seoul: MOGEF, 2013. 

  35. MOGEF, 2014 Study of Internet and Smartphone use in youth. Seoul: MOGEF, 2014. 

  36. K. A. Jung, B. W. Kim, The Effects of the Ego-Resilience on the Smart-phone u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1, No. 11, pp. 55-74, 2014. 

  37. J. S. Son, Family relation and character formation of children. Collection of dissertations of Sunkyunkwan University, Vol. 15, No. 1, pp. 191-215, 1970. 

  38. N. S. Kim, K. E. Lee, Effects of Self-control and Life Stress on Smart 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s and Statistics, Vol. 37, No. 2, pp. 72-8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