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복지 현장의 전문인력 직무내용과 특성 분석
Analysis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Housing Welfare Professionals in Field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6 no.1, 2015년, pp.129 - 137  

최병숙 (전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권오정 (건국대학교 건축학부 주거환경전공) ,  양세화 (울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은난순 (가톨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ed to analyz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housing welfare professionals in fields in order to provide directions of the Housing Welfare Professional Certificate program operated by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In October 2013, a series of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five housing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내 취약계층 청소년 가구의 주거환경 관련 수리/교체 및 시설 개선 서비스를 실시한다.
  • 물리적으로 노후된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슬럼화 우려 등 임대단지의 부정적 이미지를 쇄신함으로써, 입주민들의 자긍심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공동체 의식형성의 기본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사업이다.
  • 본 연구에서는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직무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어떤 직무에 대한 분석은 다른 직무의 특색과 구별하고 고유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매우 중요한 작업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주거복지 현장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 본 절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주거복지 행정업무를 분석하였다. 현재 주거복지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주거복지 행정의 틀을 마련한 지방자치단체 중특별시, 광역시, 수도권 소도시와 기초자치단체를 선정하여 홈페이지에 제시되어 있는 주거복지 행정업무내용을 분석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장에서의 주거복지 업무가 어느 기관에서, 누구에 의해, 어떤 업무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현재 주거복지 업무 담당자로서 수행하고 있는 제반 업무와 이에 수반되는 주거복지시스템의 문제점들을 파악하였다. 더불어 주거복지사 자격제도, 주거복지사 배치와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사항, 그리고 향후 주거복지 업무의 개선에 필요한 요구 등에 대한 담당자들의 의견을 현장 방문에 의한 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주거복지 관련 업무를 담당할 전문 인력의 직무와 향후 발전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주거복지의 직무와 직업 방향을 중심으로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거복지에 대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도입된 것은? 주거복지 활동은 2000년대 초부터 민간 차원의 현장에서 이미 이루어져왔으며 이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은 관련 학계와 기관을 중심으로 꾸준히 강조되어왔다. 그 일환으로 2013년부터 시험제도로 도입된 (사)한국주거학회의 등록민간자격인 주거복지사가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 국가공인에 의한 제도화의 움직임이 진행 중에 있다.
주거복지 활동이 시작된 시기는? 주거복지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커지고 이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주거복지 업무를 수행할 전문인력 양성이 주요 과제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주거복지 활동은 2000년대 초부터 민간 차원의 현장에서 이미 이루어져왔으며 이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은 관련 학계와 기관을 중심으로 꾸준히 강조되어왔다. 그 일환으로 2013년부터 시험제도로 도입된 (사)한국주거학회의 등록민간자격인 주거복지사가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 국가공인에 의한 제도화의 움직임이 진행 중에 있다.
주거복지 업무를 수행할 전문인력 양성이 주목받은 이유는? 주거복지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커지고 이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주거복지 업무를 수행할 전문인력 양성이 주요 과제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주거복지 활동은 2000년대 초부터 민간 차원의 현장에서 이미 이루어져왔으며 이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은 관련 학계와 기관을 중심으로 꾸준히 강조되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i, B. (2011). Current Conditions of Housing Welfare Policy in Korea. City Construction Committee & Welfare Environment Committee, Jeonju City Council. 

  2. Hong, I. W. (2009). Evaluation of Establishing Housing Welfare Network. 2009 Annual Report of Housing Welfare Center. 

  3. Jeonju Housing Welfare Center (2009). Development of Housing Welfare Coordinator Education. 

  4. Jang, Y. H., & Park, E. C. (2005). Constructing Connection System of Housing Welfare Policy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Seoul Development Institute. 

  5. KEIS (2010). Job Traveling to the World. 

  6. Kim, H., Park, M., Chun, H., Cha, M. & Kim, T. (2012). A Study on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Housing Support Service System.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7. Kim, H., Song, H., & Yoon, J. et al. (2004). A Study for Reorganizing the Housing Programs and Establishing the Delivery System.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8. KRIVET (2013). A Guide for Operations and Management of Private Qualification. 

  9. Kwon, O. J., Yang, S., Choi, B., Eun, N. S., & Lee, H. J. (2013). Development of Certificate Program for Housing Welfare Professional.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0. Nam. W. S. (2010).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housing service centers by NGOs in housing welfare delivery system. Journal of KHA, 21(5), 63-72. 

  11. Park, N. H, & Choi, J. S. (2008). A Study for establishing the housing welfare delivery system in Incheon. Journal of KHA, 20(1), 123-132. 

  12. Park, Y. (2014). Introduction trend of housing welfare worker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task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 Korea. KJSWE, 26, 61-82. 

  13. Seo, J. G. (2009). Evaluation and Assignment. 2009 Annual Report of Housing Welfare Center. 

  14.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12). A Survey of Certificate and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Related to Housing Welfare. 

  15. http://jjhw.icomn.net/ (Chonbuk Housing Welfare Center) 

  16. http://www.q-net.or.kr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17. http://portal.hud.gov/hudportal/HUD?src/program_offices/housing/sfh/hcc 

  18. http://www.adviceguide.org.uk/england/law_e/law_civil_rights_e/law_complaints_e/how_to_use_an_ombudsman.html 

  19. http://www.housing-ombudsman.org.uk 

  20. http://www.ombudsmanassociation.org 

  21. http://www.lh.or.kr/lh_offer/business 

  22. http://portal.newplus.go.kr/newplus_theme/portal/newplus/HappyHouse/ 

  23. http://www.kohom.co.kr/web/mainComm 

  24. http://citybuild.seoul.go.kr/archives/33903 

  25. http://www.geumcheon.go.kr/program 

  26. http://www.incheon.go.kr/app/organiz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