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한 색소성분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Various Color Resources Extracted from Natural Pla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2, 2015년, pp.165 - 172  

황초롱 ((재)남해마늘연구소) ,  강민정 ((재)남해마늘연구소) ,  심혜진 ((재)남해마늘연구소) ,  서화진 ((재)경북천연염색산업연구원) ,  권오운 ((재)경북천연염색산업연구원) ,  신정혜 ((재)남해마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향, 감, 오배자, 황벽, 치자, 홍화황 및 아나토와 같은 천연 식물로부터 얻어진 색소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오배자 추출물에서 2,441.45 mg/k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향 추출물에서 1,346.48 mg/kg으로 높았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환원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오배자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alpha}$-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감 추출물에서 ($IC_{50}=22.83{\mu}g/mL$)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오배자 추출물에서 높았다. ${\alpha}$-Amylase 및 lipase에 대한 저해 활성 역시 감 추출물 처리 시 각각 49.45% 및 61.01%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20{\mu}g/mL$ 농도로 처리 시 3T3-L1 세포 내 지방 축적율은 감, 정향 및 아나토 추출물 처리군에서 각각 81.54%, 83.36% 및 85.70%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3T3-L1 세포 내 triglyceride 함량은 정향 추출물 처리군이 66.11%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감 추출물 처리 군에서 88.88%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천연식물류로부터 추출한 색소 원료 중 오배자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감 추출물은 소화효소 저해 활성과 3T3-L1 세포 내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가짐으로써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various color resources extracted from natural plants such as, clove, persimmon, gall nut, amur cork, gardenia, safflower, and annatto. Total phenolic content was the highest in gall nut extract (2,441.45 m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연구와 같이 일부 천연색소는 색상을 띰과 동시에 약리적 작용이 인정되어 이미 식품 또는 염료로 활용되고 있고 대다수가 특정 색소의 원료를 소재로 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기능성을 검증하고 있으나, 그 원료에서 추출한 색소 자체의 특성 및 생리적 기능성 등을 비교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색소 소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정향, 감, 오배자, 황벽 외에도 치자(Gardenia,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홍화황(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및 아나토(Annatto, Bixa orellana L.) 7종의 색소를 이용하여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이들 소재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배자란 무엇인가? 감(Persimmon, Diospyros kaki)에서 분리되는 카로티노이드 색소는 주로 탄닌 성분으로 산화・환원반응을 기질로 하여 색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며(11), 폴리페놀 성분들은 항산화, 항암 및 항아토피 등에도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2,13). 오배자(Gallnut, Aphis chinensis)는 옻나무과에 속하는 붉나무에 진딧물이 기생하여 생긴 벌레집으로 주요 물질인 pyrogallol tannin은 항산화(14), 항혈전(15), 항바이러스(16) 및 멜라닌 합성 억제 활성(17) 등과 관련성이 높고, 무색이지만 산화되면 짙은 갈색, 황색 또는 갈색을 나타내어 천연염료로도 두루 사용되고 있다. 황벽(Amur cork, Phellodendron amurense)은 황벽나무의 노란 수피로 예전부터 약재 및 염재로 이용되어 왔고, 황벽 황색색소의 주성분인 berberine은 지방분해 활성(18), 피부 멜라닌 저해 활성(19) 및 항산화 활성(20)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정향유의 주성분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천연색소 소재로 정향(Clove, Syzy-gium aromaticum)은 꽃봉오리를 주로 염료로 이용하는데 정향유의 주성분인 eugenol은 항균성, 항곰팡이성 및 항바이러스 등에 효과가 있고, 정향 추출물로 염색할 경우 염색포의 항균성과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9,10). 감(Persimmon, Diospyros kaki)에서 분리되는 카로티노이드 색소는 주로 탄닌 성분으로 산화・환원반응을 기질로 하여 색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며(11), 폴리페놀 성분들은 항산화, 항암 및 항아토피 등에도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2,13).
천연색소 소재 중 착색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더욱이 천연색소는 합성색소에 비해 환경과 인체에 대한 독성 및 발암성이 적고 항균, 항암, 항염 등의 생리적 기능성이 있음이 알려짐에 따라 섬유염색에만 한정되어 이용되던 것이 근래에는 식품, 화장품, 비누, 모발 염색 및 페인트 등 다양한 분야에 소재로 응용되고 있다(1). 천연색소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첫째는 보통식품으로 사용하지 않고 착색 목적으로 사용하는 아나토, 코치닐, 치자, 오배자 및 홍화황 색소 등이 있고 둘째는 보통식품으로 사용하는 포도과피, 파프리카, 홍국, 비트 및 카카오 색소 등이 있는데, 이러한 색소는 주로 식물류에서 그 원료를 추출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코치닐 색소와 같이 선인장에 기생하는 연지벌레를 원료로 추출하는 동물성 색소도 존재한다(2).식물체는 다양한 형태의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페놀성 화합물은 대표적인 식물 유래의 색소성분으로 생체 내의 DNA 손상, 암유발, 노화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리 라디칼에 의한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생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유용성분으로 주목받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Boo HO, Shin JS, Hwang SJ, Bae CS, Park SH. 2012. Antimicrobial effec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having natural plant pigments. Korean J Plant Res 25: 80-88. 

  2. Song JC, Cho WD. 1997. Processed food and food colorants. Food Technology 10: 63-80. 

  3. Azuma K, Nakayama M, Koshika M, Ippoushi K, Yamaguchi Y, Kohata K, Ito H, Higashio H. 1999.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 Agric Food Chem 47: 3963-3966. 

  4. Huang MT, Ho CT, Lee CY.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In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Maple Press, New York, NY, USA. p 2-7. 

  5. Jang JR, Kim KK, Lim SY. 2009.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dried beet (Beta vulgaris) on antioxidant in cell systems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832-838. 

  6. Bernadeth T, Zuliyati R, Munkhjagal BE, Park SH, Choi BD. 2013.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scidian tunic carotenoids as a source of color cosmetics. Korean Soc Biotechnol Bioengineer J 28: 36-41. 

  7. Song ES, Jeon YS, Cheigh HS. 2001. Antioxidative effect of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in mustard leaf kimchi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421-425. 

  8. Lee MH, Han JS, Kozukue N. 2005. Changes of chlorophyll contents in spinach by growth periods and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339-345. 

  9. Lee HS, Chang JH, Kim IH, Nam SW. 1998. Dyeing of cotton with clove extract. J Korean Soc Dyers Finishers 10: 29-35. 

  10. Lee OH, Jung SH, Son JY. 2004. Antimicrobial activity of clove extract by extraction solv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94-499. 

  11. Huh MW, Bae JS, An SY. 2008. Dyeability and functionality of silk fabrics treated with persimmon juice. J Korean Soc Cloth Ind 19: 1036-1044. 

  12. Jo YH, Park JW, Lee JM, Ahn GH, Park HR, Lee SC. 2010.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parts of Jangseong Daebong persimmon (Diospyros kaki cv. Hachiy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500-505. 

  13. Heo JC, Lee KY, Lee BG, Choi SY, Lee SH, Lee SH. 2010. Anti-allergic activities of ultra-fine powder from persimmon. Korean J Food Perserv 17: 145-150. 

  14. Cha BC, Lee SB, Rhim TJ, Lee KH. 2000. Constituents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from Galla Rhois (Rhus javanica Linne). Kor J Pharmacogn 31: 185-189. 

  15. Song GY, Park BJ, Kim SH. 2002. Antithrombotic effect of Galla Rhois. Kor J Pharmacogn 33: 120-123. 

  16. Kurokawa M, Basnet P, Ohsugi M, Hozumi T, Kadota S, Namba T, Kawana T, Shiraki K. 1999. Anti-herpes simplex virus activity of moronic acid purified from Rhus javanica in vitro and in vivo. J Pharmacol Exp Ther 289: 72-78. 

  17. Chen LG, Chang WL, Lee CJ, Lee LT, Shin CM, Wang CC. 2009. Melanogenesis inhibition by gallotannins from Chinese galls in B16 mouse melanoma cells. Biol Pharm Bull 32: 1447-1452. 

  18. Kim KH, Ahn SC, Lee MS, Kweon OS, Oh WK, Kim MS, Sohn CB, Ahn JS. 2003.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 isolated from the barks of Phellodendron amurens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03-509. 

  19. Lee JG, Choi JY, Oh JS, Jung HW, Choi EH, Lee HS, Kim JA, Chang TS, Son JK, Lee SH. 2007. Isolation of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y compounds from the Phellodendri Cortex. Kor J Pharmacogn 38: 387-393. 

  20. Lee SE, Seong NS, Bang JK, Park CG, Sung JS, Song J. 2003.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127-134. 

  21.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AOCS 58: 966-968. 

  2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3. Re R, Pellegrini N,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 1237. 

  24.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FRAP) of plasma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25. Watanabe J, Kawabata J, Kurihara H, Niki R. 199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from tochucha. Biosci Biotechnol Biochem 61: 177-178. 

  26. Lim CS, Li CY, Kim YM, Lee WY, Rhee HI. 2005. The inhibitory effect of Cornus walteri extract against $\alpha$ -amyla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103-108. 

  27. Saisuburamaniyan N, Krithika L, Dileena KP, Sivasubramanian S, Puvanakrishnan R. 2004. Lipase assay in soils by copper soap colorimetry. Anal Biochem 330: 70-73. 

  28. Bae JS, Lee HS, Lee HY, Yoo BH, Kim TW, Kim YH, Kim TH. 2012. Evalu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hus javanica. Korean J Food Preserv 19: 751-756. 

  29. Do JR, Kim KJ, Park SY, Lee OH, Kim BS, Kang SN. 2005.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J Food Sci Nutr 10: 81-87. 

  30. Dong S, Jung SH, Moon JS, Rhee SK, Son JY. 2004. Antioxidant activities of clove by extraction solv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609-613. 

  31. Scalbert A, Johnson IT, Saltmarsh M. 2005. Polyphenols: antioxidants and beyond. Am J Clin Nutr 81: 215-217. 

  32. Sakihama Y, Cohen MF, Grace SC, Yamasaki H. 2002. Plant phenolic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phenolics- induced oxidative damage mediated by metals in plants. Toxicology 177: 67-80. 

  33. Han SH, Woo NRY, Lee SD, Kang MH. 2006.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ndemic plants extracts in Kor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49-55. 

  34. Lee SE, Sung NS, Park CG, Seong JS. 2002.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ty of oriental medicinal plant materials. Korean J Crop Sci 10: 171-176. 

  35. Kim J, Kim SA, Yun WK, Kim EJ, Woo MK, Lee MS. 2004.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for 5 kinds of sp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426-1431. 

  36. Labuza TP. 1971. Kinetics of lipid oxidation in foods. CRC Crit Rev Food Technol 2: 335-405. 

  37. Lee HR, Jung BR, Park JY, Hwang IW, Kim SK, Choi JU, Lee SH, Chung SK.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Korean J Food Preserv 15: 445-449. 

  38. Oh SM, Han W, Wang MH. 2010. Antioxidant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from different extracts of Zanthoxylum schnifolium fruits. Kor J Pharmacogn 41: 130-135. 

  39. Kim NR, Chi LW, Lee CH. 2013.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nine pteridophyte species native to Korea. Korean J Plant Res 26: 411-416. 

  40. Hwang JY, Han JS. 2007. Inhibitory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extracts on carbohydrate digestive enzymes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89-994. 

  41. Park YH, Lim SH, Ham HJ, Jeong HN, Lee KJ, Kim KH, Kim SM. 2010.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976-979. 

  42. Lee WY, Ahn JK, Park YK, Park SY, Kim YM, Lee HI. 2004. Inhibitory effects of proanthocyanidin extracted from Distylium racemosum on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activities. Kor J Pharmacogn 35: 271-175. 

  43. Bitou N, Nimomiya M, Tsjita T, Okuda H. 1999. Screening of lip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Lipids 34: 441-445. 

  44. Kim DH, Kim BWE, Kim MJ, Sun WC, Jung SA, Kim HJ, Jung DH, Kim TW, Cho YJ, Ahn DH. 2012. Effects of heat, pH, and gamma irradiation treatments on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Sargassum thunbergii ethano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566-570. 

  45. Bitou N, Ninomiya M, Tsujita T, Okuda H. 1999. Screening of lip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Lipids 34: 441-445. 

  46. Daiber KH. 1975. Enzyme inhibition by polyphenols of sorghum grain and malt. J Sci Food Agric 26: 1399-1411. 

  47. Jung JS, Park JS, Kim TK. 2008. Coloration of cotton fabrics with tannins of persimmon extracts by heating process. J Korean Soc Dyers Finishers 20: 25-30. 

  48. No HK, Lee MH. 1998. Removal of astringency in persimmons by chito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648-652. 

  49. Peter GK. 2000.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404: 635-643. 

  50. Wellman NS. 2002. Causes and consequences of adult obesity: health, social and economic impacts in the United States. Asia Pac J Clin Nutr 11: 705-709. 

  51. Ji HH, Jeong HY, Jin SJ, Kwon HJ, Kim BW. 2012.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methanol extracts of Oenanthe javanica seed in 3T3-L1 preadipocytes. J Life Sci 22: 1688-1696. 

  52. Lee JA, Ahn EK, Hong SS, Oh JS. 2012. Anti-obesity effect of ethyl acetate extracts from Agrimonia pilosa Ledeb. in 3T3-L1 preadipocy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1-1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