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광역시 남구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조성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Methods of Community Greenway in Nam-Gu, Incheo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1, 2015년, pp.16 - 28  

박숙현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최진우 ((재)환경생태연구재단) ,  최태영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남구의 주민 생활과 밀접한 생활권 주변 지역과 커뮤니티 공간을 연계한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조성방안을 제시하여 생활권 녹지의 확충 및 지역 커뮤니티 형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도시생태 특성으로 토지이용과 녹피율을 조사 분석하여 녹지 확보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거주지 주변 시설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남구를 생활권별로 구분하여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노선을 설정하였고, 노선별 특성을 분석 및 유형화하여 유형별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천광역시 남구는 시가지 87.7%,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가 12.3%이었고, 녹피율은 17.51%로 녹지가 매우 부족하였다. 녹지의 반 이상이 도시외곽에 분포한 면적이 넓은 산림으로서 도시 내 주민 생활권 주변의 녹지확보가 필요하였다. 남구의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시설은 교육시설 7.7%, 공원시설 1.7%, 녹지시설이 1.9% 등으로 교육시설의 비율이 높았다. 남구의 생활권을 총 31개로 구분하였고, 생활권 내 커뮤니티 시설과 녹지를 연계할 수 있는 커뮤니형 그린웨이 20개 노선을 선정하였다. 노선별 특성은 토지이용 및 가로환경과 커뮤니티 시설 측면으로 종합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커뮤니티형 그린웨이의 유형화는 그린웨이 계획의 기능과 목적, 주변 토지이용현황, 커뮤니티 시설 유형을 고려하여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유형별 조성방안은 그린웨이 기능과 목적에 따른 조성방향, 주거지역과 상업업무 지역으로 구분한 토지이용 유형별 조성방향, 근린생활형, 교육형, 종교형, 레크리에이션형 등 커뮤니티 시설 유형별 조성방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그린웨이 녹화유형별 녹화구상에 적합한 녹화방법으로 벽면녹화, 옥상녹화, 베란다 녹화와 같은 건축물 차원과 공원, 학교, 공공기관, 도로, 주차장, 자투리공간과 같은 단지차원으로 구분하여 각 그린웨이 유형별 조성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suggested to enlarge the green area and to connect and improve the present green areas by deriving the lines of community greenway using living areas and community spaces close to the life of residence in Nam-gu.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method of establishing greenw...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의 쾌적성을 높이고자 양질의 공원녹지를 확보하려는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어떠한 방법이 제시되었는가? , 2009). 그러나 양을 늘리는 성과에 반해 공간 간의 연계는 부족하여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각각의 오픈스페이스나 주요 거점들의 연계 및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개념인 그린웨이 계획이 대두되고 있다(Yang et al., 2007).
자발적이고 지속가능한 공간 관리를 위해 중요한 것은? , 2008), 지역주민이 중심이 되어 형성된 커뮤니티 공간에서는 주민들의 자발성과 참여성이 발생되고, 공간에 대한 책임감과 애정을 느끼게 해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관리가 이루어진다(Jung and Choi, 2012). 따라서 자발적이고 지속가능한 공간 관리를 위해 마을 커뮤니티의 형성은 중요하다. 커뮤니티에는 주민을 대상으로 한 지리적 영역의 공유, 사회적 상호작용, 공동유대감의 3가지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Kim, 2010), 특정지역을 공유하면서 구성원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유대감과 소속감을 공유하고, 조화로운 공생을 통해 존속을 꾀하는 사회집단으로 정의할 수 있다(Ha et al.
많은 사회, 경제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것은 무엇인가? 급격한 도시화, 획일적 도시계획이 불러온 공동체의 붕괴와 지역성 상실은 많은 사회, 경제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최근 전국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주민참여에 의한 마을만들기 사업은 마을 주민간의 유대와 공동체 회복을 도모하고, 잃어버린 지역성을 회복시킬 수 있는 방안 중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a, J. M. and M. J. Kim(2005) Street planning of urban detached housing area for re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1(4): 159-166. 

  2. Ha, S. G., J. J. Shin, S. H. Jang, I. O. Hong, and J. G. Seo(1999) Community-based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Korean Center for City and Environment Research 5: 198-219. 

  3. Hong, I. O.(2000) Community based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Housing Policy Studies 8(1): 163-184. 

  4. Hong, I. S. and J. Y. Chung(2004) A study on the formation of communities by locality in the urban housing complex.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2): 27-30. 

  5. Jung, S. Y. and I. S. Choi(2012) A study on the use of the outdoor place of a residence complex as a resident-centered community spac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7(4): 37-47. 

  6. Jung, H. J., J. Y. Choi, and S. W. Yang(2007) A study on greenway types for integrative planning of pedestrian-friendly space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10): 121-130. 

  7. Kirkwood, N. G.(2003) The Art of Greenway Design: Precedents, Practices and Projects. 

  8. Kim, J. H.(2005) Ecological Land Use Plann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Urban Ecosystem: A Case Study of Hanam, Kyeonggi Province.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9. Kim, H. J.(2010) Evalu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Based on the View of Community Activities: Focused on the Gunsan City and Masan City. Ph. 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0. Ko, E. J., K. H. Lee, and K. H. Ahn(2006) Effects of changes in pedestrian environment on the sense of community by the wall removal project : Focused on the case of siheung 3-dong, Seoul.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7(4): 77-86. 

  11. Kwak, K. H., P. G. Choi, and J. M. Ha(2007) Analysis of residents' neighborhood relationship and leisure behavior in residents - The case of permanent rental hous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5): 141-148. 

  12. Lee, J. S.(2008)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community facilities condition.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8: 141-148. 

  13. Lee, K. H.(2009) Effects of neighborhood's walking environment on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 A case study of 12 areas in Seoul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7): 203-210. 

  14. Lee, S. Y., B. H. Lim, and J. Y. Shim(2009) An exploratory study on urban parks and green space system in terms of the open space network - Focused on the city of Daeje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5): 53-63. 

  15. Lee, W. H. and C. S. Lee(2007) study on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future-oriented community service facilitie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2(4): 95-113. 

  16. Lim, D. H. and B. S. Kang(2007) A survey study on the residential behavior of the elderly at Sanggye-dong apartment hous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3): 37-44. 

  17. Lund, H.(2003) Testing the claims of new urbanism: Local access, pedestrian travel, and neighboring behavior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9(4): 414-429. 

  1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06) Planning Guidelines of Green Space Master Plan. 

  19. Nam-gu IncheonMetropolitan City(2010) 22nd 2010 Nam-gu Basic Statistics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20. Nam-gu Incheon Metropolitan City(2012)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 of Nam-gu Incheon Metropolitan City. 

  21. Seoul(2007) Masterplan for the Planting and Management of Street Tree. 

  22. Shin, J. L.(2009) A Study on the Greenway Planning to Enhance the Community Environment.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23. Song, H. S., M. H. Lee, and M. G. Lee(2008) A study on the preference type in residents-participatory Maeulmandeulgi(Machizkuri): Focused on the Gwangju city Bukgu Moonhwadong.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3(3): 37-53. 

  24. Yang, S. W., H. J. Jung, J. Y. Choi, and K. H. Kim(2007) A study on the planning system for urban greenway network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6): 209-220. 

  25. Yoo, S. S.(2009) A Study about the Developing for Greenway -Centering around the City Seoungnam.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Seongnam,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