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린공원에 대한 환경지각이 이용자의 건강증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의 8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erception in Neighborhood Park on User's Recognition of Health Improvement - Focusing on 8 Neighborhood Parks in Changwon 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1, 2015년, pp.54 - 68  

박영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우성 (대구대학교 조경학과)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본 연구는 근린공원에 대한 이용자의 공원지각환경이 건강증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의 8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공원별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먼저 공원별 공원지각환경에서는 대부분의 공원이 집에서 공원까지의 거리와 집에서 공원까지의 길 환경이 높게 평가된 반면, 수공간과 공원 내 다양한 볼거리는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23개의 지각환경 변수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경관성, 안락성, 접근성, 활동성, 편의성, 쾌적성의 6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토대로 건강증진인식과 지각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8개 공원 중 4개 공원에서 지각환경요인이 신체적 건강증진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접근성과 활동성이 3개의 공원에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또한, 심리적 건강증진인식의 경우, 8개 공원 중 5개 공원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성이 4개의 공원에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기존의 공원 환경을 개선하고, 새로운 공원을 조성하고자 할 때 효율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erception in neighborhood parks on user's recognition of health improvement. This study used objective field survey data and subjective user survey data at 8 neighborhood parks in Changwo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er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조성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장소의 관점에서 지각된 공원 내부 환경(이하 ‘공원 지각환경’이라 한다)을 평가하고, 이용자의 건강증진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조성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장소의 관점에서 지각된 공원 내부 환경(이하 ‘공원 지각환경’이라 한다)을 평가하고, 이용자의 건강증진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공원지각환경과 건강증진인식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 하여, 이를 토대로 이용자들에게 공원이 보다 효과적인 건강증진장소로 인식되기 위한 환경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또한 이용자에 의해 지각된 ‘공원지각환경’과 자가 평가적 개념인 ‘건강증진인식’을 평가지표로 활용하여, 실제 이용자의 의식이 반영된 공원 환경을 분석 하고 건강증진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8개의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공원지각환경이 이용자들의 건강증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원별 지각환경 및 건강증진인식을 분석한 결과, 전체 공원 지각환경의 평균은 반송공원이 가장 높고, 용지문화공원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음정공원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 이상의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근린공원을 대상지로 하여 공원 환경과 건강증진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분석 하고자 한다. 또한 이용자에 의해 지각된 ‘공원지각환경’과 자가 평가적 개념인 ‘건강증진인식’을 평가지표로 활용하여, 실제 이용자의 의식이 반영된 공원 환경을 분석 하고 건강증진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공원의 기능 및 효과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도시공원의 기능 및 효과는 매우 다양하지만, 특히 오늘날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생활에서 오는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는 도시기반시설로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Lee and Heo, 2004). 실제 여러 연구에서 공원의 이용이 신체활동을 증진시키고(Cohen and Scott, 2006; Bedimo-Rung et al., 2005), 부정적인 감정을 감소시켜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Orsega-Smith et al., 2004; More and Payne, 1978), 우울증 또한 감소시킨다는 결과가 확인되었다(Ho et al., 2003).
도시공원은 어떤 공간인가? 도시공원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에 따라 도시의 자연경관을 보호하고, 시민들의 건강 및 정서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해 계획된 옥외공간이다. 도시공원의 기능 및 효과는 매우 다양하지만, 특히 오늘날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생활에서 오는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는 도시기반시설로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Lee and Heo, 2004).
23개의 지각환경 변수들을 요인분석한 결과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연구결과에 따르면, 먼저 공원별 공원지각환경에서는 대부분의 공원이 집에서 공원까지의 거리와 집에서 공원까지의 길 환경이 높게 평가된 반면, 수공간과 공원 내 다양한 볼거리는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23개의 지각환경 변수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경관성, 안락성, 접근성, 활동성, 편의성, 쾌적성의 6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토대로 건강증진인식과 지각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8개 공원 중 4개 공원에서 지각환경요인이 신체적 건강증진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e, J. H.(2011)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in Life Gymnastics in the Urban Park o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 Baek, S. K. and K. H. Park(2014) Associ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3): 1-12. 

  3. Bedimo-Rung, A. L., A. J. Mowen, and D. A. Cohen(2005) The significance of parks to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A conceptual model.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2S2): 159-168. 

  4. Besenyi, G. M.(2003) Park Environments and Youth Physical Activity: Exploring the Influence of Proximity and Features Across Kansas City Missour. Master Thesis, Kansas State University. Manhattan, Kansas, USA. 

  5. Cohen, D. A., J. S. Ashwood, M. M. Scott, A. Overton, K. R. Evenson, L. K. Staten, D. Porter, T. L. Mckenzie, and D. Catellier(2006) Public parks and physical activity among adolescent girl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118(5): 1381-1389. 

  6. Cohen, D. A., T. L. Mckenzie, A. Sehgal, S. Williamson, D. Golinelli, and N. Lurie(2007) Contribution of public parks to physical activit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7(3): 509-514. 

  7. Dishman, R. K. and L. R. Gettman(1980) Psychobiologic influences on exercise adherence.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4): 295-310. 

  8. Frumkin, H.(2003) Healthy place: Exploring the evidenc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9): 1451-1456. 

  9. Giles-Corti, B., M. H. Broomhall, M. Knuiman, C. Collins, K. Douglas, A. Lange, and R. J. Donovan(2005) Increasing walking: How important is distance to, attractiveness, and size of public open spac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2S2): 169-176. 

  10. Grahan, P. and U. Stigsdotte(2003) Landscape planning and stress. Urban Forestry and Urban Greening 2: 1-18. 

  11. Hamilton, K. L.(2011) Park Usage and Physical Activity: An Exploration of Park Features, Neighborhoods, and Park Programs. Master Thesis, Queen's University. Kingston, Canada. 

  12. Hillsdon, M., J. Panter, C. Foster, and A. Jones(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 and quality of urban green space with population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The Royal Institute of Public Health 120: 1127-1132. 

  13. Ho, C. H., L. Payne, E. Orsega-Smith, and G. Godbey(2003) Parks, recreation and public health. Parks and Recreation 38(4): 18-27. 

  14. Idler, E. L. and S. Kasl(1991). Health perceptions and survival: Do global evaluations of health status really predict mortality? Journal of Gerontol 46(2): S55-65. 

  15. Idler, E. L. and Y. Benyamini(1997)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A review of twenty-seven community studies. Journal of Health Soc. Behav. 38(1): 21-37. 

  16. Kaczynski, A. T., L. R. Potwarka, and B. E. Saelens(2008) Association of park size, distance, and features with physical activity in neighborhood park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8(8): 1451-1456. 

  17. Kaczynski, A. and S. W. Stanis(2012) Community Park Audit Tool (CPAT). 

  18. Kaplan, G. A. and T. Camacho(1983) Perceived health and mortality: a nine-year follow-up of the human population laboratory cohort.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 117(3): 292-304. 

  19. Kaplan, R.(1993) The role of nature in the context of workplac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26: 193-201. 

  20. Kim, B. S., U. S. Kim, G. H. Hong, J. G. Park, J. J. Park, G. J. Joe, B. H. Choe, H. J. Jang, J. J. Woo, and R. J. Lee(2002) Modern Society and Sports. Seoul: HongGyeong. 

  21. Kim, S. H.(2003)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Functional Revitalization of Neighborhood Park in Uijeongbu. Master Thesis, Daejin University. Pocheon, Korea. 

  22. Kim, J. H.(2003) A Study on User's Behavior of Neighborhood Park Facilities. Master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23. Kim, S. H.(2011) A Study of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roposals for Outdoor Exercise Equipments in Neighborhood Park. Master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24. Lee, J. S.(2013) The Effect of Self-perceived Health on Medical Care Utilization.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5. Lee, S. Y. and J. Heo(2004)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by benefit sought in neighborhood park: Focused on the neighborhood park in the city of Taej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3): 114-123. 

  26. Lee, S. G., W. S. Lee, S. K. Baek, S. K. Jung, and K. H. Park(2013) The influence of neighborhood-based physical environment on park usage for physical activity: Focused on Changwon-si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7): 5-21. 

  27. Loukaitou-Sideris, A. and A. Sideris(2010) What brings children to the park?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variables affecting children's use of park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6(1): 89-107. 

  28. McCormack, G. R., M. Rockn, A. M. Toohey, and D. Hignell(2010)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associated with park use and physical activity: A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Health and place 16: 712-726. 

  29. Moon, H. S.(2006) A Way to Revitalize Using Green-space of Daegu City as a Place of Physical Activities for Health. Master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30. More, T. and B. Payne(1978) Affective responses to natural areas near citi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0(1): 7-12. 

  31. Orsega-Smith, E., A. J. Mowen, L. L. Payne, and G. C. Godbey(2004) The interaction of stress and park use on psycho-physiological health in older adult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6(2S2): 232-256. 

  32. Paquet, C., T. P. Orschulok, N. T. Coffee, N. J. Howard, G. Hugo, A. W. Taylor, R. J. Adams, and M. Daniel(2013) Are accessi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open spaces associated with a better cardiometabolic healt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3. Park, K. H., W. S. Lee, T. H. Kim, and E. J. Kim(2014) Effect of satisfaction in neighborhood park environments o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The case of Seongsan-gu and Uichang-gu in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3): 64-75. 

  34. Park, Y. E.(2005) Preferences of the Arch Bridge Shape for a Urban Landscape Improvement. Mas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35. Payne, L. L., E. Orsega-Smith, M. Roy, and G. C. Godbey(2005) Local park use and personal health among older adult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23(2): 1-20. 

  36. Stevens, R. D.(2005) Walkability around Neighborhood Parks: An Assessment of Four Park in Springfiled Oregon. Master Thesis, University of Oregon. Eugene, Oregon, USA. 

  37. Sugiyama, T. and C. W. Thompson(2008) Associ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neighbourhood open space and older people's walking. Urban Forestry and Urban Greening 7: 41-51. 

  38. Thompson, C. W.(2002) Urban open space in the 21st centur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0: 59-72. 

  39. http://www.mw.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