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의료기관 근로자의 환자 개인정보 보호 인식에 대한 평가도구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Assess Hospital Workers' Perception for Protection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2, 2015년, pp.1253 - 1263  

차기정 (경상대학교병원) ,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건강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기관 근로자들의 환자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도구의 개발 및 검증과정은 도구의 개념틀 구성, 기초 문항 작성, 내용타당도 검증, 예비조사를 거쳐 최종문항을 추출하였다. 내용타당도는 3명의 보건의료전문가의 검증을 받았고, 구성타당도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로 검증하였다. 간호사, 병원 행정직원, 여러 보건의료 종사자들로 구성된 의료기관 근로자 2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요인 모델의 적합도가 높아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4요인 13문항으로 구성된 본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alpha는 .83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도구는 의료기관 근로자의 개인정보보호 인식을 측정하기에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도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xamine a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n instrument to assess hospital workers' perception for protection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The process included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generation of initial items, verification of content v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환자 의료정보보호는 단지 특정 의료인이나 의료기관 근로자에게 필요한 활동이 아니라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전체 근로자들이 준수해야 할 보편적인 행위이기에 이들을 대상으로 환자 의료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 있는 도구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의 환자 개인정보 보호 인식에 대한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의료기관 근로자들의 환자 개인정보 보호 행동 실천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내용타당도 검증은 Brown 과 Cronbach의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 산출 방식에 따라 전문가들에게 도구의 범주와 각 문항의 타당성을 4점 척도(‘매우 타당하다’ 4점, ‘타당하다’ 3점, ‘타당하지 않다’ 2점, ‘전혀 타당하지 않다’ 1점)로 평점하도록 하였다. 또한 각 문항에 대한 의견과 도구에 대한 수정의견이 있을 경우 자유롭게 진술하도록 하였다. 내용타당도 지수 산출 방식은 Walta와 Bausall [12]이 제시한 대로 각 문항에서 대해 3명의 전문가들의 점수를 합한 점수를 문항에 대해 모든 전문가가 최고점수 4점을 주었을 때의 점수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 본 도구와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측정도구의 가장 큰 차이는 본 도구는 의료기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환자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한 이후 개발된 도구에 대한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통해서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이 수집된 자료에 국한하여 측정변수간의 상관관계에 근거한 요인구조를 도출하므로 표본마다 차이를 보이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이 가진 제한점을 보완할 수 있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구성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도구의 현장 적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중의 하나이다.
  •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다양한 근로자, 예를 들면 간호사, 의료기술직, 원무 행정직 직원 등의 환자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도구는 문항개발 과정에서 전문가 3인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구의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다.
  • 또한 ‘개인정보 보호 가이드라인[의료기관 편]’[5]에서 국내 많은 의료기관에서 오류를 범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 ‘질문과 응답(Q&A)’ 형식으로 정답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도구 문항 개발시 이를 참고하여 의료기관 근로자들이 실제 의료현장에서 부딪힐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내용을 문항으로 만들어 제시함으로써 내용의 타당성을 높인 것이 전문가들의 높은 CVI 점수를 도출해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MR제도 도입의 장점은? 획기적인 변화 중의 하나로 환자의 진료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자료나 기록을 전산에 입력․보관하는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시스템 도입을 들수 있다. EMR제도의 도입으로 종이로 된 진료차트가 사라지고, 환자의 대기시간감소, 진료정보 접근의 편의성 등 시간과 장소를 초월하여 환자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1]. EMR 시스템이 가진 편리성과 더불어 가장 우려스러운 단점중의 하나는 환자의 개인정보와 진료정보가 의료기관의 EMR 정보시스템에 지속적으로 저장됨에 따라 의료진들간․의료기관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정보 유출의 가능성이 점점 커진다는 것이다[2].
EMR제도 도입의 우려되는 점은 무엇인가? EMR제도의 도입으로 종이로 된 진료차트가 사라지고, 환자의 대기시간감소, 진료정보 접근의 편의성 등 시간과 장소를 초월하여 환자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1]. EMR 시스템이 가진 편리성과 더불어 가장 우려스러운 단점중의 하나는 환자의 개인정보와 진료정보가 의료기관의 EMR 정보시스템에 지속적으로 저장됨에 따라 의료진들간․의료기관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정보 유출의 가능성이 점점 커진다는 것이다[2]. 의료기관에 저장된 환자의 정보는 개인 신상과 같은 일반적인 개인정보 뿐만 아니라, 진료정보, 예를 들면 유전적 특징, 병력, 수술력, 약물 중독이나 성병 등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대한 매우 민감한 정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다른 그 어떤 정보보다 중요하게 보호되어야 한다.
의료기관에 저장된 환자의 정보 보호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EMR 시스템이 가진 편리성과 더불어 가장 우려스러운 단점중의 하나는 환자의 개인정보와 진료정보가 의료기관의 EMR 정보시스템에 지속적으로 저장됨에 따라 의료진들간․의료기관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정보 유출의 가능성이 점점 커진다는 것이다[2]. 의료기관에 저장된 환자의 정보는 개인 신상과 같은 일반적인 개인정보 뿐만 아니라, 진료정보, 예를 들면 유전적 특징, 병력, 수술력, 약물 중독이나 성병 등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대한 매우 민감한 정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다른 그 어떤 정보보다 중요하게 보호되어야 한다. 따라서 의료기관의 근로자들에게 환자의 개인정보 뿐만 아니라 진료정보와 같은 민감한 개인정보를 보호해야 할 필요성은 다른 어느 기관의 근로자들보다 더욱 절실하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 H. Ahn, A study on the level of awareness for patient privacy protection: focusing on healthcare workers,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2011 

  2. H. A. Park, J. E. Kim, K. A. Seo, S. M. Lee, Y. H. Yeom, J. A. Kim, J. E. Bae, Y. S. Lee, E. J. Lee, K. H. No, M. H. Han, Health informatics, Hyunmunsa, 2005 

  3.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http://www.law.go.kr 

  4. D. S. Kim, M. S. Kim, Development of an information security standard for protecting health information in u-Health environment, IE Interfaces, 20, 4, p.177-185, 2007 

  5. Ministry Health & Welfare,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Guidelines-Medical Institutions, 2012 

  6.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http://www.koiha.or.kr 

  7. M. Y. Lee, Y. I. Park, A study on the nurse'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protecting patient privacy, Clinical Nursing Research, 11(1), p.7-20, 2005 

  8. I. H. Lee, H. J. Park, A. M. Shin, C. S. Som, Y. N. Kim, Behavior for protecting patient medical record of physical therapist,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3(1), p.15-20, 2009 

  9. C. H, Kim, S. Y. Jeong, Y. S. Song,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patient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PPIP)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1, p.479-490, 2013. DOI: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11.479 

  10. M. Yu, M. O. Kim, Neonatal nurse'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behavior to protect patient privacy,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8(4), p.424-433, 2012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424 

  11. M. Y. Lee, Y. S. Song, A study on patients' perception of nurse's behavior in protecting patient privacy,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2), p.204-212, 2007 

  12. C. W. Waltz, l. R. B. Bausel, Nursing research: Design, statistics and computer analysis, F.A. Davis, 1981 

  13. B. G. Tabachnick, L. S. Fidell,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3rd ed.), Harper Collins, 1996 

  14. D. Polit, C. T. Beck, Nursing research-generating and assessing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8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 

  15. C. L. Kim, SAS data analysis, 21century press, 2012 

  16. J.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1978. 

  17. D. L. Streiner, G. R. Norman, Health measurement scales: A practical guide to their development and use (4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DOI: http://dx.doi.org/10.1093/acprof:oso/9780199231881. 001.0001 

  18. R. F. DeVellis, Scale development : Theory and application (3rd e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2012 

  19. OECD, Guidelines for the security of information systems and networks 2002. Paris: OECD Publications,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