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반병동과 특수병동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중요성인식과 수행 빈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Perceived Importance and Frequency of Core Nursing Skills between General and Special ward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2, 2015년, pp.1264 - 1272  

장은희 (영남이공대학교 간호학과) ,  모문희 (영남이공대학교 간호학과) ,  최은희 (영남이공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핵심기본간호술의 중요성과 실제 빈도가 일반병동과 특수병동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비교 조사연구로 2011년 10월 1일에서 2011년 10월 30일까지 D광역시 소재 Y 대학병원 간호사 18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간호평가원에서 제시한 핵심기본간호술 20개 문항에 대해 자가 보고식으로 작성하였다. 자료 분석SPSS 20.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일반병동과 특수병동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일반병동이 특수병동에 비해 피내주사(p=.011), 수혈요법(p=.028), 단순도뇨(p=.047), 배출관장(p=<.001), 수술 전 후 간호(p=.035), 입원관리하기(p=.027)와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 요법(p=.002)이 유의하게 높았다. 일반병동과 특수병동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실제 수행 빈도는 일반병동이 특수병동에 비해 수혈요법(p=.002), 간헐적 위관영양(p=.032), 단순도뇨(p=<.001), 배출관장(p=<.001), 수술 전 간호(p=.001), 수술 후 간호(p=<.001), 입원관리하기(p=.001), 격리실 출입시 보호장구 착용(p=.021)과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p=<.001)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병동에서 중요하고, 실제로 특수병동보다 많이 수행하는 일반병동에서의 핵심기본간호술과 특수병동에서 중요하고, 일반병동에 비해 많이 수행하는 특수병동에서의 핵심기본간호술을 분류할 수 있었다. 이는 핵심기본간호술 학습을 체계화할 수 있는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초석이 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the core nursing skills between general and special department. Subjects were 182 nurses who work on the hospital. Data was collected using items made by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nd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핵심기본간호술의 중요성과 실제 빈도가 일반병동과 특수병동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비교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반병동과 특수병동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중요성과 실제 수행 빈도를 파악함으로써 한국간호평가원에서 제시한 핵심기본간호술 학습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핵심간호중재란 특정 임상 분야의 특성을 정의해주는 중재로서 특수 분야 간호사들이 가장 자주 사용하거나 50% 이상의 간호사들이 하루에 여러 번 사용하는 간호중재이다[9]. 본 연구에서는 간호평가원에서 2012년 발표한 20가지 핵심기본간호술 항목을 의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가장 간호중재 차이가 있을 것이라 유추되는 일반병동과 특수병동에서 중요하다고 인지하는 핵심기본간호술과 실제로 수행하는 핵심기본간호술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실시하는 간호대학평가 항목에 삽입된 핵심기본간호술 지침의 한계점은? 핵심기본간호술이란 병원에서 근무하는 졸업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핵심실기역량으로[9]2012년부터 한국간호교육평가원(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KABON])에서 실시하는 간호대학평가 항목에 삽입되어있다. 그러나 이는 병동별 특성을 고려한 것이 아니라, 모든 간호영역에서 신규졸업간호사가 갖추어야할 핵심역량으로 구성되어 있어 순차적으로 어떤 것을 먼저 학습해야하는 것에 대한 지침이 되지는 못한다. 물론 임상실습을 나가기 전 간호학생이 이수하는 기본간호학 교과목에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내용이 삽입되어 있으나 이를 통해 핵심기본간호술을 모두 습득한 것으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핵심기본간호술이란? 최근 간호교육은 국내외 보건의료 현장에서 요구하는 간호사 역량을 갖춘 학생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학습 성과 기반 교육 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6], 임상현장의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는데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간호사 핵심 역량(core competence)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이 개편되고 있다[7, 8]. 핵심기본간호술이란 병원에서 근무하는 졸업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핵심실기역량으로[9]2012년부터 한국간호교육평가원(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KABON])에서 실시하는 간호대학평가 항목에 삽입되어있다. 그러나 이는 병동별 특성을 고려한 것이 아니라, 모든 간호영역에서 신규졸업간호사가 갖추어야할 핵심역량으로 구성되어 있어 순차적으로 어떤 것을 먼저 학습해야하는 것에 대한 지침이 되지는 못한다.
특수병동에서 일반병동에 비해 더 많이 수행하는 핵심기본간호술은 무엇인가? 특히 일반병동은 임상실습을 시작하는 간호 대학생들이 처음 접하는 병동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임상실습 전 학습해야할 필수 핵심기본간호술이라 할 수 있다. 특수병동에서는 일반병동에 비해 경구투약, 피하주사, 정맥 수액 주입, 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 적용, 기관절개관 관리와 기본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 사용과 같은 핵심기본간호술을 더많이 수행하고 있었다. 이 중 경구투약, 피하주사, 정맥수액주입, 기본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 사용과 같은 핵심 기본간호술은 일반병동에 비해 더 중요하다고도 인지되는 부분으로 특수병동 실습 전에 반드시 학습해야할 필요가 있는 영역이라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 H. Lee & I. Y. Yoo, "A study of psychosocial distress, intention to quit and nursing performance in general ward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9(2), p. 236-245, 2010. 

    인용구절

    인용 구절

    현재까지 병동별 핵심기본간호술을 파악한 연구로는 일반병동[1], 수술실[2]과 중환자실[3]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상수행능력과 핵심간호중재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2. Y. Y. Lee, K. O. Park, "Analysis of core intervention of operating room using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8(3), p. 361-372, 2006. 

    인용구절

    인용 구절

    현재까지 병동별 핵심기본간호술을 파악한 연구로는 일반병동[1], 수술실[2]과 중환자실[3]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상수행능력과 핵심간호중재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3. Y. O. Kim, "Perceive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RNs in the ICU", Unpublished ma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06. 

    인용구절

    인용 구절

    현재까지 병동별 핵심기본간호술을 파악한 연구로는 일반병동[1], 수술실[2]과 중환자실[3]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상수행능력과 핵심간호중재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4. Y. K. Ko, "Group cohesion and social support of the nurses in a special ward and a general ward in Korea",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9(5), p. 601-610, 2011. DOI: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0.01186.x 

  5. M. H. Sung, "A comparative study o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nurses in ICU and Nurses in general ward",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2(1), p. 104-112, 2006. 

  6. E. J. Lee, W. H. Jun, "Sense of coherence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2), pp. 163-171, 2013.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163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최근 간호교육은 국내외 보건의료 현장에서 요구하는 간호사 역량을 갖춘 학생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학습 성과 기반 교육 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6], 임상현장의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는데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간호사 핵심 역량(core competence)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이 개편되고 있다[7, 8].

  7.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Nurse core competency and nursing education learning outcomes", Retrieved September 3, 2013, from http://www.kabon.or.kr/, 2012. 

  8. Seo, I. S., & Oh, S. M., Park, H. O., Ma, R. W. "Effects of Basic Clinical Practice Program in Academic Motivation,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Nursing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4 pp. 2276-2284,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4.2276 

  9. J. C. McCloskey & G. M. Bulechek, "Nursing interventions used in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94(10), p. 59-66, 1994. DOI: http://dx.doi.org/10.2307/3464585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핵심기본간호술이란 병원에서 근무하는 졸업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핵심실기역량으로[9] 2012년부터 한국간호교육평가원(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KABON])에서 실시하는 간호대학평가 항목에 삽입되어있다.

    핵심간호중재란 특정 임상 분야의 특성을 정의해주는 중재로서 특수 분야 간호사들이 가장 자주 사용하거나 50% 이상의 간호사들이 하루에 여러 번 사용하는 간호중재이다[9].

  10. J. Y. Choi, K. S. Jang, "Comparison of cancer nursing interventions recorded in nursing notes with nursing interventions perceived by nurses of an oncology unit-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5(3), p. 441-450, 2005. 

  11. E. H. Choi & J. Y. Seo, "Comparison among with Nursing Records, Nursing Intervention Priority Perceived by Nurse and Nursing Intervention Frequency of General Surgery Depar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21(3), p. 349-354, 2009. 

  12. M. H. Sung, J. H. Jeong, "Defining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nurses in a teritary hospital and comparing different units based on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2(1), p.76-93, 2006.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근무 병동별로도 간호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가 달랐다[12].

    현재까지의 연구와 비교해보면, 연구도구가 달라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Sung과 Jeong (2006)이 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를 대상으로 35개 분야 핵심 역량을 도출한 것 중[12] 본 연구의 핵심기본간호술만을 발췌하여 비교한다면 감염관리와 투약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13. M. O. Lee, "Study of coping strategi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between general ward nurses and special ward nurses", Unpublished ma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2006. 

    인용구절

    인용 구절

    정신성, 전염성, 난치병, 나병상 이외의 병동을 말하며 진료과별, 만성, 급성별, 성·연령별 등에 대응한 설비, 관리 체제가 필요한 병동을 의미하며[13], 본 연구에서는 모든 중환자실, 정신과 병동, 산실, 투석실, 수술실, 마취 회복실, 응급실과 외래병동을 제외한 병동 전체를 의미한다.

    환자의 증상에 따른 특별한 설비, 관리가 요구되는 병동을 의미하며[13] 본 연구에서는 모든 중환자실, 정신과 병동, 산실, 투석실, 수술실, 마취회복실, 응급실을 의미한다.

  14. J. M. Kim, S. H. Lee,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related to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An analysi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p. 229-238, 2012.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2.229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병원감염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 빈도가 높은 것은 병원감염으로 인한 의료의 질 저하, 경제적 손실, 윤리적 문제와 의료기관의 이미지 손상과 환자의 불신감[14] 등을 예방하고 환자의 예후를 증진하고자[15] 하는 노력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5. J. S.Eom, J. Y. Song, H. J. Cheong, W. J. Kim, "Infectious disease consultations from surgical departments in a university hospital. Infection and Chemotherapy", 39(6), p. 287-291, 2007.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병원감염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 빈도가 높은 것은 병원감염으로 인한 의료의 질 저하, 경제적 손실, 윤리적 문제와 의료기관의 이미지 손상과 환자의 불신감[14] 등을 예방하고 환자의 예후를 증진하고자[15] 하는 노력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6.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accreditation standard for hospitals standards for hospitals standards lists version. Retrieved November 14, 2012, from view the standards hospital only version web site. 2011. 

    인용구절

    인용 구절

    감염관리는 병원인증평가에도 삽입되어 있어[16] 감염관련 핵심기본간호술은 간호 대학생이 반드시 학습해야하는 필수 핵심기본간호술이라 사료된다.

  17. I. G. Kwon, M. S. Cho, H. Y. Shi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nursing intervention in the oncology unit in a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2), p. 260-273, 2007. 

  18. Y. A. Kim, S. Y. Park, E. J. Lee, "Comparis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nursing interventions linked to nursing diagnosis in cerebrovascular disorder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2), p. 296-310, 2008. 

  19. M. H. Cho, I. S. Kwon,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p. 143-154, 2007.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간호 대학생이 임상실습 중 경험하는 간호활동의 97.9%가 활력징후 측정인 것을 고려한다면[19], 간호 대학생들에게 많이 위임하고 있음을 지지하는 결과일 수도 있다.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