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통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과학 평가 문항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Science Subject through the use of Option Response Rate Distribution Curv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1, 2015년, pp.121 - 130  

김현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인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봉우 (단국대학교) ,  이기영 (강원대학교) ,  심재호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가 수준의 표준화된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교육정책 수립이나 교수활동 개선에 반영하는 과정은 교육의 책무성으로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활용하여 평가 문항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시행된 과학과 성취도 평가 결과를 성취 수준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성취도 점수에 따른 특정 문항의 정오답 반응률을 토대로 최적 곡선을 추정한 그래프인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활용하여 선다형 평가 문항 112개의 정답지와 오답지 반응률 곡선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문항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답지는 5가지 유형(S자형, J자형, 직선형, F자형, 계단형)으로 분류하였고, 오답지는 4가지 유형(보통형, 평지형, 산지형, 상승형)으로 분류하였다. S자형의 정답지 반응 곡선과 보통형의 오답지 반응 곡선이 조합인 문항이 가장 많았으며, 성취 수준에 따라 학생들을 변별하는데 적절한 문항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정답 반응률 분포와 오답 반응률 분포가 서로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수 학습, 교실 평가 등에서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dentifying students' achievement level and reflecting it on educational policy making or instructional improvement by analyzing the results of nationwide standardized assessment is an integral part of accountability in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premise,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N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목적은 교육과정에 설정된 교육 목표에 견주어 학생들의 도달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학생 개개인의 학업성취 수준을 진단하여 부족한 부분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성취도 평가 결과를 통해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개별학교의 교육성과를 확인하여 학교에 대한 실효성 있는 차별적 지원을 하며, 학생과 학교, 교육청 등에 교육 향상도를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여 교육 성과와 지원 체계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함이다(Kim et al.
  • 첫째, 교수 학습과 관련된 제언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정오답 반응률 분포 곡선을 살펴보면, 학생들이 갖는 오개념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문항의 오답률을 분석하여 학생들이 오개념을 나타내는 경우에 대한 처치 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따라서 방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의미를 도출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새로운 분석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척도 점수에 따른 정답과 오답의 답지별 반응률 분포 곡선을 활용한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그 결과로부터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문항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 문항은 단위 부피당 질량을 의미하는 밀도가 물질의 특성임을 이해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같은 물질은 밀도가 같고, 다른 물질이면 밀도가 다름을 이해하고 있는지, 밀도는 세기 성질이므로 물질의 양과 관련 없음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 문항의 전체 정답률은 5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이유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의 경우, 2007년 개정 교육과정(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과 2009 개정 교육과정(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9)에 이어 최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이 개발되었고 2016년에 새로운 과학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새로운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 많은 나라에서도 국가의 과학 교육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과학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있다. 미국은 차세대 과학교육 표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GSS)(NRC, 2012)을 제시하였으며, 영국과 호주 등 많은 나라에서 최근에 교육과정 개정을 실시하였다.
성과 및 체계 측면에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무엇을 위함인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목적은 교육과정에 설정된 교육 목표에 견주어 학생들의 도달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학생 개개인의 학업성취 수준을 진단하여 부족한 부분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성취도 평가 결과를 통해 교육과정, 교수․ 학습,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개별학교의 교육성과를 확인하여 학교에 대한 실효성 있는 차별적 지원을 하며, 학생과 학교, 교육청 등에 교육 향상도를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여 교육 성과와 지원 체계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함이다(Kim et al., 2011a).
우리나라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를 통하여 국가 수준에서 우리나라 학생의 학업 성취수준을 진단하고, 이에 따라 교육정책 수립과 교수․ 학습 개선을 위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Kim et al., 2011a: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lack, P. J. (1998). Testing: friend or foe? theory and practice of assessment and testing. London: Farmer. 

  2. Choi, W. (2013).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n in the Chemistry Item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6), 1186-1201. 

  3. Choi, W., & Jeong, E. (2008).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chievement and Student-related Variable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6.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8), 848-859. 

  4. Corcoran, T., & Silander, M. (2009). Instruction in high schools: The evidence and the challenge. The Future of Children: America's High Schools, 19, 157-183. 

  5. Corcoran, T., Mosher, F. A., & Rogat, A. (2009).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reform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Report #RR-63). Philadelphia, PA: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6. Duschl, R., Maeng, S., & Sezen, A. (2011). Learning progressions and teaching sequences: A review and analysi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7(2), 123-182. 

  7. Jeong, E., & Choi, W. (2008). Trend Analysis of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2003 to 2006.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5), 438-452. 

  8. Kim, D., Kim, D., Kim, Y., Kim, J., Lee, J., Seo, M., Jo, Y., Lee, K., Lee, I., Sim, J., Pae, J., Jung, G., Choi, W., & Park, Y. (2013a). A Study of the Features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2013.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RRE 2013-4. 

  9. Kim, D., Lee, I., Kim, M., Jeong, E., Kang, H., & Choi, Y. (2012). Analysis of the 2011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ORM 2013-37-4. 

  10. Kim, D., Lee, I., Sim, J., Choi, W., Park, Y., & Joo, K. (2013b). Analysis of the 2012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ORM 2013-37-4. 

  11. Kim, H., & Jeong, J. (2012). An Analysis of the Result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Science at Grade 9.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2), 394-407. 

  12. Kim, H., Lee, I., Kim, M., Jeong, J., & Sin, M. (2011c). Analysis of the 2010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ORM 2011-3-5. 

  13. Kim, K., Kim, W., Choi, I., Sang, K., Kim, H., Shin, J., Kim, J., & Sohn, W. (2011a).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Academic Improvement from NAEA(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2010.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RRE 2011-2-4. 

  14. Kim, M., Kim, D., Kim, Y., Chin, J, Kim, H, Lee, B., Jo, Y., Lee, I., Kim, H., Lee, Y., & Lee, C. (2011b).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fo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RRE 2011-3-1. 

  15. Lee, C., Nam, M., Nam, G., Park, E., Kim, H., Kwon, J., Choi, W., Lee, I., KIm, M., Song, M, Jeong, E., Park, J., Sin, M., Choi, J., Ko, E., & Kim, D. (2010). A Study on improv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implementing, and scoring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RRE 2010-6-1. 

  16. Lee, I., Sim, J., Kim, H., Lee, K., Lee, B., & Jeong, I. (2014). Analysis of the 2013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ORM 2014-30-4. 

  17.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National Science Curriculum. 

  18.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MEST) (2009). National Science Curriculum. 

  19.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Committee 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New K-12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committee on science learning, kindergarten through eighth grade. R.A. Duschl, H.A. Schweingruber, & A.W. Shouse (Ed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