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학 문항 특성 분석 : 광학 내용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Science Subject: With a Focus on Optic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3, 2015년, pp.465 - 475  

이봉우 (단국대학교) ,  이인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물리의 광학 영역 문항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활용하여 중학생들의 반응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물리 문항 중 광학 영역에 해당되는 10개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광학' 영역의 성취수준은 다른 영역(역학, 전자기학)에 비해서는 높았다. 둘째, '빛' 영역에서 '상의 형성'과 관련되어 학생들이 낮은 성취수준을 보였으며, '파동' 영역에서는 '파동의 전파에서 위상의 변화'와 관련되어 낮은 성취수준을 나타내었다. 셋째, 학생들은 상황 의존적인 문제풀이 전략 및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학 개념에 대한 교육과정 수준의 재검토, 기초학력 단계 학생들에 대한 추가적인 교수학습의 필요성, 실제적인 현상 및 상황 중심의 교수학습의 필요성 등의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ults of physics (optics) in nationwide standardized assessment and to investigate middle-school students' characteristics of achievement by using an option response rate distribution curve.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10 optics problems from the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를 바탕으로 광학(빛과 파동)에 대한 내용을 중학생들이 교육과정 수준에서 어느 정도 성취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는 문항별로 학생들의 반응 특성을 보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다년간 축적된 정보들을 종합하여 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개념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분석결과는 해당 개념의 교수학습 방법의 방향을 정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리의 광학과 관련된 문항의 평가 결과를 통해 중학교 수준 광학 내용의 교육과정 적용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시행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학교 과학 선다형 문항 중 광학 문항과 그 평가 결과에 대한 분석이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학교 과학 문항은 총 40문항으로 서답형 문항을 제외한 선다형 문항은 32문항이다.
  •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 동안 실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학 문항 중 물리의 광학 영역에서 출제된 10개의 문항을 분석하여 중학생들의 광학 관련 내용의 성취수준 및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물리 분야의 광학 영역 문항의 성취도 점수별 답지 반응를 분포 곡선을 통해 특정 문항의 정답과 오답에 대한 중학생들의 반응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성취도 점수를 척도 점수로 변환한 것을 가로축값으로 하고, 각 답지에 대한 반응률을 0과 1 사이의 값으로 나타낸 것을 세로축값으로 한 그래프인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이용하였다.
  • 그러나 어떤 문항에서는 정답지의 반응률이 S자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를 나타내기도 하고, 오답지에 대한 반응률이 특정 성취수준에서 유난히 높게 나타나는 등 일반적인 예상과 맞지 않는 형태를 나타내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답지와 오답지의 반응률 분포 곡선 형태를 문항의 내용과 학생들의 반응을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중학교의 광학 내용은 ‘빛’과 ‘파동(소리)’로 구성되어 있어, 10개의 문항을 ‘빛’과 ‘파동’으로 구분하여 문항별로 정답지와 오답지의 반응률 분포 곡선으로부터 중학생들의 이해정도를 분석하였다.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학생의 원점수를 척도 점수로 변환한 후 분할점수를 기준으로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 등의 4단계 성취수준으로 구분한다. 본 연구에서도 각 집단별로 답지 반응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물리의 광학 영역 문항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활용하여 중학생들의 반응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물리 문항 중 광학 영역에 해당되는 10개 문항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 사회에서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한가? 현대 사회에서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창의력과 과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의 양성이 매우 중요하다. 미국에서는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의 일환으로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교육을 통해 통합교육을 도입하였고, 최근에는 차세대 과학교육기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적용을 통해 과학 관련 지식 습득에 그치지 않고 공학을 통한 실제에의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 (NGSS, 2013).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빛과 파동’ 단원에서 소음이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무엇을 반영한 것인가?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빛과 파동’ 단원에서 소음이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생활 속에서 과학을 활용하는 것을 강조하는 최근의 경향을 반영한 것이다. 2013년 5번 문항(Figure 10)은 아파트에서 층간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방안에 관련된 내용이다.
미국에서는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의 일환으로 무엇을 하고 있는가? 현대 사회에서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창의력과 과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의 양성이 매우 중요하다. 미국에서는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의 일환으로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교육을 통해 통합교육을 도입하였고, 최근에는 차세대 과학교육기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적용을 통해 과학 관련 지식 습득에 그치지 않고 공학을 통한 실제에의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 (NGSS, 2013). 영국(Department of Education, 2013)과 호주(ACARA, 2013)에서도 새로운 교육과정을 통해 창의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CARA. (2013). The Australian curriculum. Retrived from http://www.australiancurriculum.edu.au. 

  2. Bendall, S. Goldberg, F., & Galili, I. (1993).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rior knowledge about ligh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9), 1169-1187. 

  3. Chang, H., Chen, J., Guo, C., Chen, C., Chang, C., Lin, S., Su, W., Lain, K., Hsu, S., Lin, J., Chen, C., Cheng, Y., Wang, L., & Tseng, Y. (2007). Investigating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learning of physics concepts in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 465-482. 

  4. Choi, W. (2013).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n in the Chemistry Item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6), 1186-1201. 

  5. Choi, W., & Jeong, E. (2008).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chievement and Student-related Variable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6.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8), 848-859. 

  6. Choi, W., Lee, I., Lee, C., Jeong, E., Park, J., & Sin, M. (2010).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9 - Analysis of the Science Acievement Test Result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RRE 2010-6-5. 

  7. Department of Education (2013) National Curriculum Science programmes of study: key stages 1 and 2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Department of Education, London. 

  8. Eshach, H., & Schwartz, J. (2006). Sound stuff? Naive materialism in middle-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sound.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 733-764. 

  9. Galili, I., Goldberg, F., & Bendall, S. (1991). Some reflections on plane mirrors and images. The Physics Teacher, 29(7), 471-477. 

  10. Goldberg, F., & McDermott, L. C. (1986). Student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image formation by a plane mirror. The Physics Teacher, 24(8), 472-480. 

  11. Jeong, U. Y. & Choi, W. H. (2008). Trend Analysis of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2003 to 2006.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5), 438-452. 

  12. Kim, H., & Jeong, J., (2012). An Analysis of the Result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Science at Grade 9.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2), 394-407. 

  13. Kim, K., Kim, W., Choi, I., Sang, K., Kim, H., Shin, J., Kim, J., & Sohn, W. (2011a).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Academic Improvement from NAEA(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2010.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RRE 2011-2-4. 

  14. Kim, M., Kim, D., Kim, Y., Chin, J, Kim, H, Lee, B., Jo, Y., Lee, I., Kim, H., Lee, Y., & Lee, C. (2011b).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fo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RRE 2011-3-1. 

  15. Kim K., Kim, J., Kim, K., & Han, B. (2007). Analysis of misconceptions about sound waves of pre-service teachers. Sae Mulli, 55(6), 397-408. 

  16. Kim, D., Kim, D., Kim, Y., Kim, J., Lee, J., Seo, M., Jo, Y., Lee, K., Lee, I., Sim, J., Pae, J., Jung, G., Choi, W., & Park, Y. (2013a). A Study of the Features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2013.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RRE 2013-4. 

  17. Kim, D., Lee, I., Kim, M., Jeong, E., & Kang, H. (2012). Analysis of the 2011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ORM 2013-37-4. 

  18. Kim, H., Lee, I., Kim, M., Jeong, J., & Sin, M. (2011c). Analysis of the 2010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ORM 2011-3-5. 

  19. Kim, H., Lee, I., Lee, B., Lee, K., & Sim, J., (2015).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Science Subject through the use of Option Response Rate Distribution Curv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1), 121-130. 

  20. Kim, D., Lee, I., Sim, J., Choi, W., & Park, Y. (2013b). Analysis of the 2012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ORM 2013-37-4. 

  21. Kim, Y., & Paik, S. (2008). The cognition changes related to the teaching methods of "Light" chapter for 7th grade as experienced by science teachers in abduction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6), 507-518. 

  22. Kucukozer, A. (2010). Prospective science teachers' misconceptions concerning wave. Journal of Turkish Science Education, 7(2), 66-75. 

  23. Kwon, G., Bang, S., Lee, S., & Lee, G. (2006). Context-dependency of students' conceptions in optics: Focused on vision & mirror ima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3), 406-414. 

  24. Lee, B. (2012). Analysis of 'image' in middle-school science textbooks. New Physics: Sae Mulli, 62(6), 589-600. 

  25. Lee, B., & Choi, E. (2008). Effect of learning Chinese characteres on understanding th vocabulary of physics. Sae Mulli, 57(2), 114-119. 

  26. Lee, B., & Lee, Y. (2005).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physics content relevance i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Sae Mulli, 50(6), 383-393. 

  27. Lee, C., Nam, M., Nam, G., Park, E., Kim, H., Kwon, J., Choi, W., Lee, I., Kim, M., Song, M, Jeong, E., Park, J., Sin, M., Choi, J., Ko, E., & Kim, D. (2010). A Study on improv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implementing, and scoring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RRE 2010-6-1. 

  28. Lee, J., Nam, K., Son, J., & Lee, S. (2004). An analysis of the type of teacher and student's concept on ray-tracing and spectrum in the middle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6), 1189-1205. 

  29. Lee, I., Sim, J., Kim, H., Lee, K., & Lee, B. (2014). Analysis of the 2013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Paper ORM 2014-30-4. 

  30. Maurines, L. (1992). Spontaneous reasoning on the propagation of visible mechanical signal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4, 279-293. 

  31.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MEST) (2009). National Science Curriculum. 

  32. NGS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USA: NGSS Lead States. 

  33. Oh, W., & Kim, J. (2002).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s of vision and of the properties of light. Sae Mulli, 45(3), 163-170. 

  34. Oh, W., & Kim, J. (2006). Concepts about light and waves of non-physics major secondary school-science teacher. Sae Mulli, 52(6), 512-520. 

  35. Park, J., & Yoo, J. (2010). An analysis of physics textbooks' and of teachers' representations of sound waves in pipes from the views of concrete vs. abstract and microscopic vs. macroscopic. New Physics: Sae Mulli, 60(9), 960-975. 

  36. Pejuan, A., Bohigas, X., & Jaen, X. (2012). Misconceptions about sound among engineering stud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1, 669-685. 

  37. Sengoren, S., Tanel, R., & Kavcar, N. (2006). Drawings and ideas of physics teacher candidates relating to the superposition principle on a continuous rope. Physics Education, 41(5), 453-461. 

  38. Song, J., Kim, I., Kim, Y., Kwon, S., Oh, W., & Park, J. (2004). Science misconception map. Seoul: Books-Hill. 

  39. Wittmann, M C. (2002). The object coordination class applied to wavepulses: analysing student reasoning in wave phys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1), 97-118. 

  40. Wittmann, M. C., Steinberg, R. N. & Redish, E. F. (1999). Making sense of students making sense of mechanical waves. The Physics Teacher, 37, 15-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